이글루코퍼레이션과 엔드포인트 보안 전문기업 에브리존이 글로벌 안티랜섬웨어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양사는 3일 화이트디펜더(WhiteDefender)를 기반으로 한 보안 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이글루코퍼레이션의 하이브리드 XDR(Extended Detection & Response) 아키텍처와 에브리존의 100% 시그니처리스 안티랜섬웨어 솔루션 화이트디펜더를 결합해 랜섬웨어 대응 역량을 고도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XDR은 여러 보안 도메인과 데이터 소스를 통합해 위협을 탐지·대응하는 차세대 보안 체계로 기존 보안 인프라와 유연하게 연계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췄다. 이를 통해 조직은 사용자·계정·자산 전반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필요한 기능을 상황에 맞춰 선택적으로 연동할 수 있다. 화이트디펜더는 행위 기반 탐지·차단 알고리즘을 통해 알려지지 않은 신·변종 랜섬웨어까지 실시간 차단하는 기술로 공공기관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이미 다양한 보안 인증을 획득해 안정성과 신뢰성을 입증받았으며, 이번 협력으로 XDR과 통합됨에 따라 더 넓은 산업군에서 효과적인 보안 체계를 구축할
오케스트로가 오는 4일 열리는 온라인 웨비나 ‘Beyond(脫) VMware 2025: 새로운 가상화 전략을 묻다’에서 자사 서버 가상화 솔루션 ‘콘트라베이스(CONTRABASS)’를 중심으로 한 전환 전략을 발표한다. 웨비나는 올쇼TV를 통해 생중계되며 VM웨어 전환을 고민하는 기업들에게 기술적 대안과 운영 해법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브로드컴의 VM웨어 인수 이후 가상화 환경은 기술, 운영, 라이선스 정책 전반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오케스트로는 ‘OKESTRO로 시작되는 beyond VMware’를 주제로, 콘트라베이스의 핵심 기능과 실제 전환 사례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 시나리오를 공개한다. 발표는 서영석 오케스트로 솔루션전략본부장이 맡아 35분간 진행한다. 콘트라베이스는 GPU 가상화, 스케줄링, 모니터링 등 AI 인프라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스케줄 기반 스냅샷 자동 생성, 가상머신 최적 배치, 호스트 유지보수 모드 등 운영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도 포함된다. 특히 운영 시스템 전환의 핵심인 마이그레이션 툴 ‘콘트라베이스 레가토(CONTRABASS-Legato)’는 CDP 기반 연속 복제를 통해 초단위 컷오버 기능을 제공하며 VM웨
AI 교육 전문기업 위버스브레인과 AI 매니지드 서비스(MSP) 기업 베스핀글로벌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대상(B2G) AI 교육 서비스 시장 공략에 나선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맞춤형 AI 교육 플랫폼을 제작하고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은 정부가 ‘AI 대전환(AX)’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고, 공공 분야에 민간 AI 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방침에 맞춰 이루어졌다. 양사는 위버스브레인의 독자적 AI 기술을 활용한 전문 분야 맞춤형 외국어 학습 서비스 ‘맥스AI월드’와 베스핀글로벌의 생성형 AI 에이전트 플랫폼 ‘헬프나우 AI’를 결합하여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공공기관과 지자체 임직원의 글로벌 역량 및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위버스브레인 조세원 대표는 “AI 기반 초개인화 학습과 산업군별 전문 외국어 콘텐츠 제공으로 기업 교육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아 왔다”며 “베스핀글로벌의 AI 매니지드 서비스 역량이 더해진다면 공공 분야 및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핀글로벌 허양호 대표는 “베스핀글로벌의 산업별 AI 솔루션 역량
프랜차이즈 통합 관리 솔루션 ‘큐로 비즈’를 운영하는 ㈜모코플렉스(대표 박나라)가 점주들의 배달 수익 증대를 위한 매장 자체 배달 전환 솔루션 ‘큐로 딜리버리’를 본격적으로 선보였다. 모코플렉스는 배달 플랫폼의 높은 중개 수수료, 배달팁, 광고 할인 요금 등으로 인해 점주들의 실제 수익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번 솔루션을 개발했다. ‘큐로 딜리버리’는 고객의 주문이 배달 플랫폼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매장으로 접수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솔루션의 핵심은 ‘QR코드 전단지’다. 모코플렉스는 모든 배달 주문 고객에게 매장 전용 QR코드가 포함된 전단지를 함께 전달한다. 고객이 이 QR코드를 통해 추후에 직접 주문하면, PG(결제대행) 수수료를 제외한 모든 금액이 점주에게 정산된다. 모코플렉스는 정식 출시에 앞서 3개월간 '큐로 딜리버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점주들에게 배달 플랫폼 이용 시보다 최대 47% 더 높은 배달 정산액을 지급하며 수익성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모코플렉스는 ‘큐로 딜리버리’ 도입 매장을 위한 다양한 추가 서비스도 제공한다. 방문, 배달, 포장 주문에 대한 포인트 통합 적립 시스템 과 리뷰 및 이벤트 알림 자동화 마케팅 을
카스퍼스키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급성장 중인 양자컴퓨팅이 기존 보안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을 지니고 있다며 선제적 대비를 촉구했다. 카스퍼스키는 3일 기자 발표를 통해 양자컴퓨팅의 양면성을 지적하며 정부·기업·연구기관이 포스트 양자 암호(PQC)로의 체계적 전환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시아태평양은 중국, 일본, 한국, 싱가포르, 인도, 대만, 호주 등이 앞장서며 양자컴퓨팅 도입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금융, 제약, 스타트업 분야에서의 활용이 활발한 가운데, 시장은 지난해 3억9210만 달러에서 2032년 17억8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세르게이 로즈킨 카스퍼스키 META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글로벌 연구분석팀장은 “이는 매우 고무적인 동시에 우려스러운 부분”이라며 “양자컴퓨팅은 혁신을 열 수 있지만 새로운 사이버 위협의 시대를 앞당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카스퍼스키는 가장 시급한 양자 보안 위협으로 세 가지를 지목했다. 첫째, ‘지금 저장하고, 나중에 해독(Store Now, Decrypt Later)’ 전략이다. 공격자가 현재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집해 두었다가 향후 양자컴퓨터로 해독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과거의 외교·금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오므론 인더스트리얼 오토메이션의 최신 E3AS-HF ToF(Time of Flight) 레이저 센서를 공급한다고 3일 밝혔다. E3AS-HF 센서는 산업 자동화와 제조 분야는 물론, 혹독한 환경에서도 까다로운 감지 대상을 안정적이고 연속적으로 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E3AS-HF 센서는 특허 출원 중인 고감도 포토다이오드를 탑재했으며, ±85°의 광각 시야를 지원해 0.05m부터 최대 6m까지의 거리에서 빛 반사율이 낮은 물체도 안정적으로 감지한다. 이를 통해 어두운 배경의 대상, 곡면이나 광택이 있는 표면도 인식할 수 있으며, 오므론의 고유 센싱 알고리즘이 탑재돼 까다로운 각도에서도 높은 감지 성능을 유지한다. 이로써 기존 설비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기기 설계 유연성도 강화된다. 이 시리즈는 특히 원거리에서 적층 높이 측정, 불투명한 액체의 잔량 확인, 제품 고갈(run-out) 또는 넘침(overflow) 감지와 같은 연속 레벨 감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최대 6m의 감지 범위를 지원하기 때문에 센서를 위험 장비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 안전을 보장하고, 예상치 못한 가동 중단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에스투더블유(이하 S2W)가 국제형사경찰기구 인터폴(INTERPOL)과 자사의 보안 AI 플랫폼 ‘퀘이사(QUAXAR)’에 대한 3년 공급 재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S2W는 6년째 인터폴과 협력 관계를 이어가며 민관 공조를 기반으로 국제사회 안보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퀘이사는 자동화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기반으로 사이버 위협을 탐지·대응하는 CTI 솔루션이다. 내부 보안 체계로는 감지하기 어려운 외부 공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공격표면관리(ASM), 디지털위험보호(DRP), 위협인텔리전스(TI)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효율적이고 전방위적인 보안 관리가 가능하다. 출시 이후 인터폴뿐 아니라 일본, 싱가포르, 대만 등 다수의 공공·정부기관과 국내외 대기업에 공급되며 범용성과 제품성을 인정받았다. S2W와 인터폴의 협력은 수사 공조와 정보 공유로 이어졌다. 2020년부터 S2W는 인터폴 사이버범죄국과 협력해 다크웹 인텔리전스를 제공했고 국제 랜섬웨어 조직인 ‘클롭(Cl0p)’, ‘콘티(Conti)’ 검거에 기여했다. 또한 제33회 파리 올림픽 기간에는 올림픽 관련 위협 분석 정보를 인터폴 합동수사팀(JTF)에 제공해
SK텔레콤은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AI 활용 지원과 금융범죄 예방 교육을 포함한 ‘찾아가는 행복안심스쿨’을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오는 12월까지 정선, 울진, 태안, 무안 등 전국 약 120개소를 방문한다. 목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생활 편의성 증대와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이다. ‘찾아가는 행복안심스쿨’은 지난 5월 시작된 ‘찾아가는 서비스’의 세 번째 단계로, 기존 유심 교체 중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AI 활용 교육과 디지털 금융범죄 예방 교육까지 포괄한다. 어르신 고객들은 SKT의 AI 서비스 ‘에이닷(A.)’을 통해 AI 기술을 일상생활에서 쉽게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이를 통해 삶의 편의성을 높이는 긍정적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금융 범죄의 최신 수법과 단계별 대응 방법을 교육받아 피해 예방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프로그램은 유심 교체, 스마트폰 점검·클리닝, 액정보호필름 교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마트폰 사용 중 겪는 문제를 1:1 맞춤형으로 해결한다. 또 AI 상담사 ‘AI Call’을 통해 주 1회, 3개월간 총 12회 교육 내용을 반복적으로 안내해 이해를 돕는다. 11월
무하유는 뷰티 브랜드 토니모리에 ‘몬스터’ 역량검사 솔루션을 공급했다고 3일 밝혔다. 몬스터는 AI 면접과 AI 역량검사로 구성된 국내 최초 대화형 AI 채용 서비스로, 토니모리는 이 가운데 역량검사 기능을 도입했다. 토니모리는 글로벌 시장 확장에 따라 적합한 인재 채용을 위해 1차 면접 통과자를 대상으로 역량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원자의 성향과 역량을 객관적으로 검증해 최종 채용 단계까지 반영하고 있다. 해당 역량검사는 심리학 기반 문항을 통해 지원자의 인성, 메타인지, 직무 매칭률, 부적응 가능성 등을 종합 진단한다. 특히 조직 내 부적응 유형을 갈등 유발, 불성실 근무, 조기 퇴사 가능성으로 나눠 분석하며, 최종 결과는 양호·주의·위험 3단계 등급으로 제공된다. 최근 기업에서는 조직·직무 적합성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AI를 활용해 지원자의 성향과 역량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고성과자와 비교해 맞춤형 인재를 채용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무하유는 AI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 AI 면접·역량검사 서비스 ‘몬스터’를 통해 약 700여 개 기업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는 토니모리와 같은
KT는 3일 서울 서초구 KT 우면연구센터에서 서울대학교, KAIST와 함께 AICT 공동연구 협력 확대를 위한 킥오프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KT 오승필 기술혁신부문장, 배순민 AI Future Lab장, 서울대 장병탁 교수, KAIST 김기응 교수를 비롯한 교수진과 연구진 등 10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해 연구 과제와 협력 방향성을 논의했다. 이번 공동연구는 KT의 전략적 Open R&D의 일환으로, 서울대와 KAIST로 협력 범위를 확대해 장기 연구개발을 넘어 실제 사업과 직결되는 핵심 AICT 기술 확보에 집중한다. 연구 주제로는 ▲자율형 에이전트 ▲Responsible AI ▲Physical AI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추론 효율화 등이 포함된다. 서울대는 신뢰 기반 인간 중심 AI 고도화를 목표로 ▲강건한 컨텍스트 추론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 ▲RAI 평가 기준 개선 ▲사용자 상호작용 기반 Actionable AI 등을 연구한다. KAIST는 프롬프트 압축 및 최적화를 통해 대규모 언어모델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KT는 GPU·AI 모델·데이터 등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며, 자체 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동형암호 기술 기반 보안 기업 크립토랩과 클라우드 및 보안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2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사무실에서 열렸으며, 크립토랩 천정희 대표와 임원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이재한 클라우드부문 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동형암호는 데이터가 암호화된 상태에서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로, 복호화 과정 없이도 AI 학습이나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 처리 과정에서 원본 노출 없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다룰 수 있어 차세대 보안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클라우드 기반의 동형암호화 기술 연구와 상용화를 위한 공동 사업을 추진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클라우드 인프라 기술 지원 ▲클라우드 전문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며, 크립토랩은 ▲동형암호 기술·노하우 제공 ▲카카오클라우드 기반 사업 기회 발굴을 맡는다. 양사는 클라우드 기반 동형암호화 분야에서 최우선 협력 관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천정희 크립토랩 대표는 “동형암호 기술은 암호화된 안면결제, 생체인증, 벡터 데이터 검색, 유전체 분석, 블록체인, 핀테크 솔루션 등 다양한 영역을 가장 안
쿤텍은 AI 에이전트 보안 분야 글로벌 기업 SPLX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SPLX는 분기 대비 160% 성장, 포춘 500 신규 고객 확보, PoC 성공률 100% 등의 성과를 내며 급성장 중이다. 최근 700만 달러 시드 투자를 유치했으며 수천 건의 자동화 공격 시나리오와 고속 스캐닝 기반의 AI 보안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SPLX는 ▲AI 자산 가시화 ▲자동화 레드팀(모의공격) ▲AI 취약점 스캐닝 ▲런타임 위협 차단 ▲거버넌스 및 컴플라이언스 기능을 단일 플랫폼으로 제공한다. 최근에는 런타임 보안(Real-Time Guardrails) 제품을 출시하며 AI 개발부터 배포·운영까지 전 주기 보안을 강조하고 있다. 이번 협력으로 쿤텍은 SPLX의 AI 런타임 보호 솔루션과 AI 레드팀 자동화 솔루션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한다. 자사의 ‘이지즈(AEZIZ)’ 공급망 보안 기술과 AI 취약점 스캐닝 및 자산 가시화를 결합해, 프롬프트 인젝션·데이터 유출·LLM 백도어 등 AI 소프트웨어 전 주기 보안 리스크를 탐지·차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사는 금융, 국방,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팩토리, 국가 기반시설 등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LG디스플레이는 자사 4세대 OLED 패널이 UL 솔루션즈(UL Solutions)로부터 한낮의 거실 밝기 수준인 500룩스(Lux) 환경에서 ‘완벽한 콘텐츠 재현력’ 검증을 획득했다고 3일 밝혔다. ‘완벽한 콘텐츠 재현력’ 검증은 밝은 환경에서도 원본 영상의 색과 휘도를 완벽하게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만이 받을 수 있는 인증이다. LG디스플레이의 4세대 OLED 패널은 4K 영상(약 830만 픽셀) 기준 원본 영상의 95% 이상을 정확히 표현하는 성능을 인정받았다. 이는 외부 빛이 차단된 영화관 수준의 영상미를 일상적인 거실 환경에서도 그대로 재현한다는 의미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말 UL 솔루션즈로부터 500룩스 환경에서 ‘퍼펙트 블랙·퍼펙트 컬러’ 검증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 ‘완벽한 콘텐츠 재현력’까지 업계 최초로 세 가지 검증을 모두 획득했다. 4세대 OLED 패널은 소자 하나하나가 빛을 내는 자발광 구조로, 픽셀 단위의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여기에 초저반사 설계가 적용돼 외부 빛 산란과 반사를 최소화하고, 원작자가 의도한 영상을 그대로 표현한다. 특히 HDR(High Dynamic Range)과 SDR(Standard Dynamic Range)
OpenAI가 한국 창작자 지원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글로벌 창작자 프로그램인 ‘크리에이티브 랩(Creative Lab)’의 첫 한국 사례인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이 출범하며, 국내 창작자들의 글로벌 무대 진출을 돕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총 21명의 아티스트가 참여한다. 참가자들은 한 달간 OpenAI의 최신 영상 생성 도구 Sora와 ChatGPT 이미지젠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OpenAI로부터 도구 조기·무료 제공, 실습 중심 학습, 글로벌 창작자 커뮤니티 교류, 작품 발표 기회 등의 지원을 받는다. OpenAI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네 가지 핵심 가치를 구현한다. 첫째는 창작자 중심 원칙으로, 모든 작품의 소유권은 아티스트에게 귀속된다. 둘째는 투명성과 신뢰로, 도구의 가능성과 한계를 명확히 공개한다. 셋째는 커뮤니티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창작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실질적 지원을 통해 즉시 적용 가능한 단계별 노하우를 제공한다. 제이크 윌크진스키 OpenAI 아시아태평양 지역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아티스트가 주도하고 도구가 뒤따를 때 전혀 새로운 형태의 창작이 탄생한다”며, 크리에이티
델 테크놀로지스가 오는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센터에서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25’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상상 속 가능성, 그 한계를 넘어서’를 주제로, 국내외 AI 리더들이 기조 연설과 브레이크아웃 세션을 통해 AI 및 최신 기술에 대한 전략과 혁신 비전을 공유한다. 행사는 김경진 총괄사장의 환영사와 비벡 모힌드라 델 테크놀로지스 본사 수석부사장의 기조 연설로 시작한다. 발표에서는 AI가 비즈니스와 삶을 변화시키는 과정과 혁신 실행 전략을 제시하며, 기업들이 생성형 AI 여정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 전략이 소개된다. 이어 엘리스그룹 김재원 CEO가 ‘Everything of AI: AI 생태계 혁신을 위한 모든 것’을 주제로, AI 교육 플랫폼부터 AI 클라우드 인프라까지 확장되는 AI 특화 이동형 모듈러 데이터센터(PMDC)를 소개한다. 오후 브레이크아웃 세션에서는 ▲‘Dell AI Factory’를 통한 AI 혁신 사례 ▲‘NVIDIA 엔터프라이즈 AI 팩토리 구축’ ▲‘AI 활용 생산성 향상 전략’ 등이 진행된다. 또한 ▲‘모던 데이터 센터 구축’ ▲‘Dell PowerStore 최신 동향’ ▲‘Dell Pro AI PC와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