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글로벌 리더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선박 자동화 환경에 최적화된 HMI(Human Machine Interface) 솔루션인 ‘프로페이스(Pro-face) HMI GP6000’ 시리즈를 앞세워 스마트십(Smart Ship)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해양 및 조선 산업은 IMO(국제해사기구)의 온실가스 규제 강화와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이라는 복합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자율 운항 기술의 발전으로 선원과 선박 시스템 간의 연결성을 높이는 HMI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해양 환경의 엄격한 요구를 충족하면서 스마트십 완성도를 높이는 차세대 HMI ‘프로페이스 HMI GP6000’ 시리즈를 선보였다. GP6000 시리즈는 극한의 온도, 충격, 염분, 습기, 직사광선 등 열악한 해양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IP66F, IP67F, UL 50/50E 등 국제 방진·방수 규격을 충족하며, -20°C에서 +60°C까지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성능을 유지한다. 또한 진동과 충격에 강한 구조를 갖추고, 강한 햇빛에서도 뛰어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안티글레어 시트를 옵션으로 제공한다.
토마토시스템은 흥국화재해상보험의 차세대 시스템 ‘Next Core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 자사 UI/UX 개발 솔루션 ‘엑스빌더6(eXBuilder6)’를 공급한다고 21일 밝혔다. 흥국화재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보험 핵심 업무 전반을 개선하는 ‘Next Core’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급변하는 보험 시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상품 및 영업 경쟁력 강화, 미래 성장을 위한 안정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프로젝트는 총 3단계로 진행되며, 현재는 1단계 사업으로 ‘장기 청약 시스템 분리 및 고도화’가 추진 중이다. 주요 범위는 ▲PF 고도화 ▲장기청약 애플리케이션 및 UI·UX 개선 ▲업무 포털 전환 등을 포함한다. 특히 이번 사업은 영업채널 시스템뿐 아니라 기간계 시스템의 전체 화면까지 ‘엑스빌더6’로 전면 전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시스템 전반에 걸친 UI 표준화와 일관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흥국화재 관계자는 “시스템 전반에서 UI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해 사용자 경험 향상과 업무 생산성 극대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엑스빌더6’는 HTML5 기반의 차세대 UI/UX 개발 솔루션으로, 금융·보험업계의
LS일렉트릭, ‘코마린 2025’에서 전력공급·자동화·사이버 보안까지 총망라 글로벌 9대 선급 인증…추진·제어·보호 시스템 통합한 ‘토털 솔루션’ 제시 LS일렉트릭이 선박 자동화와 전력변환 기술의 차세대 혁신을 선보이며 해양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 LS일렉트릭은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조선·해양 기자재 전시회 ‘국제 조선 및 해양 산업전(KOMARINE 2025)’에 참가해, ‘더 큰 세상으로! 바다로!(We play big! Moving on to the ocean!)’를 슬로건으로 선박 자동화 및 전력변환 솔루션 전 라인업을 공개한다. 전시 부스는 ‘LS 선박 솔루션’을 주제로 구성됐으며, △선박 자동화 솔루션(PLC, HMI, AC Drive) △사이버 보안 솔루션 △2MW급 모듈러 드라이브 프로토타입이 핵심 전시품으로 소개한다. 특히 LS일렉트릭의 PLC, HMI, AC Drive 제품은 국제선급연합회(IACS) 소속 9대 선급 인증(ABS, BV, CCS, DNV, KR, LR, NK, RINA, RS)을 모두 획득했다. 이는 제품이 글로벌 해양 안전·품질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하며, 국내 전력·제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고급 AI 해외인재 지원사업’ 최종 통과해 오혜진 카네기멜런대학교 교수팀과 손잡고 피지컬 AI 및 휴머노이드 융합 연구 본격화 50억 원 투자로 글로벌 AI 주도권 향한 대도약 예고 클로봇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주관 ‘최고급 AI 해외인재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해당 사업은 오는 2028년까지 4년간 추진된다. 정부·민간이 공동으로 글로벌 AI 연구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 1차적 목표다. 이를 기반으로 로봇 자율성 고도화, 로봇 학습 효율 향상, 휴머노이드 로봇 실증 모델 완성 등 피지컬 AI(Physical AI) 기반 기술 혁신을 바라보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카네기멜런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 로보틱스학과 오혜진 교수 연구팀과 성균관대학교가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진행된다. 클로봇과 기관들은 글로벌 피지컬 AI 기술력 확보를 위해 협력한다. 총 5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확보해 활동을 전개한다. 클로봇은 이번 협력을 통해 로봇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비전, 휴머노이드 제어 등 로봇이 외부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피지컬 AI 핵심 기술을 강화
감속기·모터·드라이브 등 로봇 핵심 부품 융합한 일체형 스마트 액추에이터 뉴로드라이브(NeuroDrive) 이식 신규 코봇 라인업 ‘옵티3(OPTi3)’, 100% 부품 내재화 성공 “향후 산업용 휴머노이드 액추에이터 시장 공략 가속화할 것” 뉴로메카가 일체형 스마트 액추에이터 ‘뉴로드라이브(NeurolDrive)’를 이식한 자사 신규 협동 로봇(코봇) 시리즈 ‘옵티3(OPTi3)’를 본격 공급한다. 뉴로드라이브는 모터(Motor)·감속기(Reducer)·구동부(Drive) 등 전체 로봇 핵심 부품을 100% 자체 개발·내재화한 국내 최초 부품 통합 기술로 알려져 있다. 뉴로드라이브는 각도 측정 단위인 1각분(arcmin) 이하의 정밀도를 구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정밀 작업 능력과 성능 안정성을 동시에 제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존 자사 스마트 액추에이터 제품 대비 경량화된 약 700g의 무게로 설계된 점도 특징이다. 이로 인한 성능 개선 및 모터 용량 최적화를 지원한다. 제조 경쟁력 측면에서는 수율 및 제조원가 절감을 위한 설계가 적용됐고, 일본 하이엔드 제품 수준의 내구성과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사측에 따르면, 중국산 제품 대
‘디지털ESG 컨퍼런스’ 개최...AI·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전략 논의 (사)디지털ESG얼라이언스가 오는 11월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서울 스페이스쉐어 삼성역센터에서 ‘제5회 디지털ESG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AI·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산업 DX·AX·GX 구현 전략’을 주제로 열리며 기업 공급망 담당자 및 ESG·탄소중립·규제대응·AI·에너지·디지털 전환(DX)/인공지능 전환(AX)/친환경 전환(GX) 관련 산학연 관계자 약 3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정부의 탄소중립 및 ESG 중장기 R&D 과제, 에너지·AI 고속도로 구축 및 데이터 활용 전략, 협단체의 규제 대응 현황과 실질적인 대응 방안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된다. 키노트 세션에서는 i-DEA 강명구 사무총장이 ‘DX/AX/GX 구현을 통한 제조 산업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한다. 오전 세션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정부의 디지털ESG 전략 및 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디지털제품여권(DPP) 규제와 대응 전략을 공유한다. 오후 세션은 산업별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AI 인프라 구축 등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발표
Craft Bank와 요꼬가와, 사람의 감각과 알고리즘이 만난 ‘양조 실험실’ AI가 맥주를 만든다면? 교토 양조장이 보여준 인간-기계 협업의 미래 일본 교토의 수제 맥주 양조업체 Craft Bank가 요꼬가와 그룹 계열사 Yokogawa Digital Corporation과 함께 진행한 개념증명(PoC) 테스트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맥주 발효 시간을 336시간에서 240시간으로 28% 단축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자율 제어 AI와 강화학습 기반 알고리즘을 맥주 발효 과정에 도입한 세계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Craft Bank는 ‘뱅크 IPA(Bank IPA)’라는 자사 대표 제품의 발효 과정에 AI가 생성한 온도 제어 스케줄을 수동으로 적용했다. 그 결과, 발효 기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풍미, 향, 식감 등 기존의 품질 기준을 모두 충족했다. 맥주는 맥아 발효부터 숙성까지 약 2주 이상이 걸리는 복잡한 공정을 거친다. 이 중 발효 과정은 최종 제품의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 구간으로, 효모가 당을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Craft Bank는 그동안 발효 기간 동안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매일 당도와 향을 직접 평가하는 수작
대만 정밀 분석 및 계측 장비 업체 저스티너스 사이언텍(Justinus Scientech 이하 저스티너스)가 ‘대만 산업주간(Taiwan Industry Week 2025, TIW 2025)’에서 차세대 실험실 자동화(Lab Automation) 솔루션을 선보였다. 타이중은 대만 제조업의 핵심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이 자리에서 열린 TIW 2025는 하드웨어, 금속, 안전, 냉난방공조 네 개 전시회를 통합한 플랫폼으로 올해 2회차 개막을 알렸다. 350여 참가사가 5000여 제품을 선보였다. 슬로건은 '직접 소싱 경험(Experience Direct Sourcing)’과 ‘400여 개 공급사를 한 지붕 아래로(400+ top suppliers under one roof)’로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현장에는 ESG 혁신 홀(ESG Innovation Hall), 하드웨어 & 수공구 혁신 구역(Hardware & Hand Tools Innovation Area), 스마트 빌딩 자재 구역(Smart Building Materials Area) 등이 신설돼 최신 하드웨어·냉난방공조(HVAC)·스마트 설비 등 솔루션이 공개됐다. 아울러 다양한 세미나·포
대만 수공구 제조사 GONG FONG이 ‘대만 산업주간(Taiwan Industry Week 2025)’에서 공개한 제조 효율 혁신법은 수공구 형태 변화와 자동화 라인 구축이다. 타이중은 대만 제조업의 핵심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이 자리에서 열린 TIW 2025는 하드웨어, 금속, 안전, 냉난방공조 네 개 전시회를 통합한 플랫폼으로 올해 2회차 개막을 알렸다. 350여 참가사가 5000여 제품을 선보였다. 슬로건은 '직접 소싱 경험(Experience Direct Sourcing)’과 ‘400여 개 공급사를 한 지붕 아래로(400+ top suppliers under one roof)’로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현장에는 ESG 혁신 홀(ESG Innovation Hall), 하드웨어 & 수공구 혁신 구역(Hardware & Hand Tools Innovation Area), 스마트 빌딩 자재 구역(Smart Building Materials Area) 등이 신설돼 최신 하드웨어·냉난방공조(HVAC)·스마트 설비 등 솔루션이 공개됐다. 아울러 다양한 세미나·포럼과 비즈니스 매칭이 병행돼 타이중 제조 클러스터의 강점을 글로벌 바이어와 현장에서 바로
대만 소재 체결구(Fastener) 제조사 BROADEN이 ‘대만 산업주간(Taiwan Industry Week 2025, TIW 2025)’에 등판했다. 이들은 ‘작은 부품이 산업의 신뢰를 만든다’는 슬로건과 함께 지속 가능한 체결 솔루션을 선보였다. 타이중은 대만 제조업의 핵심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이 자리에서 열린 TIW 2025는 하드웨어, 금속, 안전, 냉난방공조 네 개 전시회를 통합한 플랫폼으로 올해 2회차 개막을 알렸다. 350여 참가사가 5000여 제품을 선보였다. 주요 메시지는 '직접 소싱 경험(Experience Direct Sourcing)’과 ‘400여 개 공급사를 한 지붕 아래로(400+ top suppliers under one roof)’로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현장에는 ESG 혁신 홀(ESG Innovation Hall), 하드웨어 & 수공구 혁신 구역(Hardware & Hand Tools Innovation Area), 스마트 빌딩 자재 구역(Smart Building Materials Area) 등이 신설돼 최신 하드웨어·냉난방공조(HVAC)·스마트 설비 등 솔루션이 공개됐다. 아울러 다양한 세미나·포럼과 비
“툴이 가벼워지고, 하나로 여러 일을 하고, 읽기가 정확해야 공정이 멈추지 않는다” 방위펑(Yu Feng Fang) ALSTRONG 매니저가 사측의 철학을 설명한 부분이다. ALSTRONG은 ‘대만 산업주간(Taiwan Industry Week 2025, TIW 2025)’에서 멀티 기능, 소형·경량화, 정밀, 디지털화(Digitalization)라는 네 축을 내세웠다. 이 자리에서 작은 도구(Tool) 박스와 로봇 라인 정합성을 동시 해결하는 해법을 제시했다. 타이중은 대만 제조업의 핵심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이 자리에서 열린 TIW 2025는 하드웨어, 금속, 안전, 냉난방공조 네 개 전시회를 통합한 플랫폼으로 올해 2회차 개막을 알렸다. 350여 참가사가 5000여 제품을 선보였다. 슬로건은 '직접 소싱 경험(Experience Direct Sourcing)’과 ‘400여 개 공급사를 한 지붕 아래로(400+ top suppliers under one roof)’로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현장에는 ESG 혁신 홀(ESG Innovation Hall), 하드웨어 & 수공구 혁신 구역(Hardware & Hand Tools Innovation
대만 소재 금속 프레임 기술 업체 HSU-I Metal이 ‘대만 산업주간(Taiwan Industry Week 2025, TIW 2025)’ 현장에서 프레임 제조 엔드투엔드(End-to-End) 전략을 공개했다. 이들은 튜브 절단(Cuttint) 및 절곡(Bending), 압착 성형(Press Forming), 용접(Welding), 조립(Assembly)으로 이어지는 풀스택(Full Stack) 제조 역량과 전기 스쿠터, 전기 자전거 등 e-모빌리티 완성 조립 라인을 전면에 내세웠다. 타이중은 대만 제조업의 핵심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이 자리에서 열린 TIW 2025는 하드웨어, 금속, 안전, 냉난방공조 네 개 전시회를 통합한 플랫폼으로 올해 2회차 개막을 알렸다. 350여 참가사가 5000여 제품을 선보였다. 슬로건은 '직접 소싱 경험(Experience Direct Sourcing)’과 ‘400여 개 공급사를 한 지붕 아래로(400+ top suppliers under one roof)’로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현장에는 ESG 혁신 홀(ESG Innovation Hall), 하드웨어 & 수공구 혁신 구역(Hardware & Hand To
대만 제조업의 거점으로 평가받는 타이중에서 ‘대만 산업주간(Taiwan Industry Week 2025, TIW 2025)’이 개막했다. 정밀기계·금속가공·수공구·체결구 등 1500여 제조사가 밀집한 타이중은 대만 산업 생태계의 핵심 허브로 알려져 있다. 올해 행사는 대만국제하드웨어박람회(THS), 국제철강기술타이완(IMT), 직업안전타이완(T-SAFE), 냉동·공조기술타이완(RHVAC Taiwan) 등 4개 전시회를 통합해 열렸다. 80여 개국 350여 개사가 참가해 5000여 제품·솔루션이 총망라했다. 특히 2025년 전시회는 '직접 소싱 경험(Experience Direct Sourcing)’과 ‘400여 개 공급사를 한 지붕 아래로(400+ top suppliers under one roof)’의 주제로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현장에는 ESG 혁신 홀(ESG Innovation Hall), 하드웨어 & 수공구 혁신 구역(Hardware & Hand Tools Innovation Area), 스마트 빌딩 자재 구역(Smart Building Materials Area) 등이 신설돼 최신 하드웨어·냉난방공조(HVAC)·스마트 설비 등 솔루
대만 제조업의 거점으로 평가받는 타이중에서 ‘대만 산업주간(Taiwan Industry Week 2025, TIW 2025)’이 개막했다. 정밀기계·금속가공·수공구·체결구 등 1500여 제조사가 밀집한 타이중은 대만 산업 생태계의 핵심 허브로 알려져 있다. 올해 행사는 대만국제하드웨어박람회(THS), 국제철강기술타이완(IMT), 직업안전타이완(T-SAFE), 냉동·공조기술타이완(RHVAC Taiwan) 등 4개 전시회를 통합해 열렸다. 80여 개국 350여 개사가 참가해 5000여 제품·솔루션이 총망라했다. 특히 2025년 전시회는 '직접 소싱 경험(Experience Direct Sourcing)’과 ‘400여 개 공급사를 한 지붕 아래로(400+ top suppliers under one roof)’의 주제로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현장에는 ESG 혁신 홀(ESG Innovation Hall), 하드웨어 & 수공구 혁신 구역(Hardware & Hand Tools Innovation Area), 스마트 빌딩 자재 구역(Smart Building Materials Area) 등이 신설돼 최신 하드웨어·냉난방공조(HVAC)·스마트 설비 등 솔루
대만 제조업의 거점으로 평가받는 타이중에서 ‘대만 산업주간(Taiwan Industry Week 2025, TIW 2025)’이 개막했다. 정밀기계·금속가공·수공구·체결구 등 1500여 제조사가 밀집한 타이중은 대만 산업 생태계의 핵심 허브로 알려져 있다. 올해 행사는 대만국제하드웨어박람회(THS), 국제철강기술타이완(IMT), 직업안전타이완(T-SAFE), 냉동·공조기술타이완(RHVAC Taiwan) 등 4개 전시회를 통합해 열렸다. 80여 개국 350여 개사가 참가해 5000여 제품·솔루션이 총망라했다. 특히 2025년 전시회는 '직접 소싱 경험(Experience Direct Sourcing)’과 ‘400여 개 공급사를 한 지붕 아래로(400+ top suppliers under one roof)’의 주제로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현장에는 ESG 혁신 홀(ESG Innovation Hall), 하드웨어 & 수공구 혁신 구역(Hardware & Hand Tools Innovation Area), 스마트 빌딩 자재 구역(Smart Building Materials Area) 등이 신설돼 최신 하드웨어·냉난방공조(HVAC)·스마트 설비 등 솔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