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AI데이터센터 개소 후 2개월간▲‘A100’, ‘BOW’ 기반 고성능 가속기 ▲대용량 스토리지 ▲NHN클라우드 ‘AI EasyMaker’ 등 AI 개발도구 등 무상 제공 인공지능사업융합사업단(단장 김준하, 이하 AICA)과 NHN클라우드(공동대표 백도민, 김동훈)가 AI 연구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NHN클라우드는 AICA가 추진하는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광주 AI데이터센터’의 이용자를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AICA가 국내 AI 기술·제품·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고 유관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를 위해 AICA는 이용자를 선 모집하고 향후 광주 AI 데이터센터 조성 이후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개발환경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11월부터 2개월간 무상 제공한다. 이후로도 다양한 기관과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을 이어 나갈 방침이다. 모집 대상은 대학, 연구/공공기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협회 등 AI 개발, AI 모델 학습을 필요로 하는 단체로, 개인이나 대기업은 신청이 불가하다. 지원은 ‘AI 통합지원 서비스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10월 6일(금) 오후 5시까지 접수를 받고 연구목적,
고복합 High-End 모델 'XV20/26, XD20/26III' 출시...스마트 제조 소프트웨어 솔루션(Hi-CPS) 시연 한화정밀기계(대표 류두형)는 9월 18일부터 23일까지 6일간 독일 하노버에서 열리는 'EMO 하노버 2023'에 참가해 유럽 고객을 겨냥한 CNC 자동선반을 선보였다. 한화정밀기계는 이번 전시회에서 기존 일본산 수입기 위주의 시장, 특히 의료기 산업 고객들의 니즈를 적극 반영하여 가공 대응력과 생산성을 높인 자동선반 'XV20/26'을 출시했다. 아울러, 기존 베스트 셀링 라인업의 업그레이드 제품인 'XD20/26III'도 선보였다. 이 두 제품의 출시로, 범용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수요층이 두터운 Ø20/26mm의 최대 가공경 시장에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뤄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고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공장 운영에 초점을 맞춰 원격 모니터링을 고도화한 솔루션인 Hi-CPS를 현장에서 시연했다. Hi-CPS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으로, 제품이 생산되는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해 인건비와 생산비용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도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한화정밀기계 공작기계 사업부장 공덕근 상무는 "앞
기계 측정값 같아도 색 종류·채도에 따라 느껴지는 밝기 달라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업계 최초로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이하 SEMI)에 제안한 체감휘도(eXperienced Color Range, XCR) 측정법이 최근 국제 표준으로 정식 제정됐다고 20일 밝혔다. SEMI는 전세계 2500여 개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이 참여하는 산업 단체로, 관련 국제 표준을 심의∙제정하는 기관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고안해낸 '체감휘도 측정법'은 휘도값이 같을 경우 색재현력이 우수한 디스플레이가 훨씬 더 밝아보이는 현상을 '체감휘도'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표준화한 화질 평가법이다. 과거 디스플레이의 밝기 성능은 단순히 '휘도(Luminance)'로만 설명할 수 있었다.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촛불 1개로 일정 면적을 비출 때의 단위 밝기(1니트)보다 몇 배 밝은지 계산하는 방법이다. 문제는, 휘도계로 측정한 두 화면의 휘도 값이 같더라도 실제 사람의 눈으로 봤을 때에는 분명한 차이가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람이 느끼는 밝기에는 휘도뿐만 아니라 색상의 종류와 채도(색의 맑고 탁한 정도)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데, 기존의 휘도 측정법은 이 같
KT는 지능화 설루션 전문기업 비아이매트릭스와 자연어를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아울러 양사는 데이터 분석 전용 언어모델 개발, AI 기반 데이터 분석 설루션 개발, 데이터 플랫폼 시장 발굴 및 도메인 특화 데이터 분석 설루션 개발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성환 KT 서부법인고객본부장은 "국내 대표 로우코드 데이터 분석 설루션 기업 비아이매트릭스와의 사업 및 기술 협력을 통해 제조업, 병원, 지자체 등 여러 분야에서 AI 기술과 AI 기반 데이터 분석 설루션을 활용한 시장기회를 발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는 22일 베트남 하노이 기획투자부 청사에서 베트남중소기업협회와 양국 중소기업 교류 및 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과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정보 및 인적 교류 활성화를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중기중앙회는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노동, 금융 지원 확대 등 베트남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도 요청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베트남은 한국의 제3위 교역국이자 중소기업의 주요 생산 거점"이라며 "양 기관은 서로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시장 정보 제공을 강화하는 등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벡오프 오토메이션(Beckhoff Automation)은 최근 열린 Pack Expo 2023에서 통합형 머신비전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TwinCAT Vision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되는 산업용 카메라, 렌즈 및 조명으로 구성된다. 벡오프의 관계자는 "TwinCAT Vision 소프트웨어에 비전을 통합함으로써 비전 검사 결과와 나머지 기계 제어 사이의 지연을 제거한다. 또한 검사 프로세스 중에 실시간으로 카메라와 조명을 구성하여 조명의 파장을 쉽게 변경하고 모션 축과 매우 엄밀한 동기화로 카메라를 트리거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벡호프의 새로운 카메라, 렌즈 및 조명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최대 24백만 화소 해상도와 2.5Gbit/s의 GigE Vision 전송 속도를 갖춘 IP65/67, EtherCAT 지원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 견고한 잠금 메커니즘, VIS에서 NIR AR 코팅 및 최대 2μm 해상도를 갖춘 산업용 C 마운트 렌즈,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EtherCAT 지원 다색 LED 조명 제품도 IP65/67 등급이다. 아울러 카메라, 조명 및 전자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액체 렌즈로 구성된 완벽한 머신비전 장치로 구성돼
150만명 참여…경쟁률 524대 1 기록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앞둔 두산로보틱스의 일반투자자 대상 청약 결과 33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두산로보틱스 상장 공동 대표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공동 주관사인 KB·NH투자증권, 인수회사인 키움·신영·하나증권 등 7개 증권사가 전날부터 이틀간 일반 청약을 받은 결과 총 149만6,346건이 접수됐다. 청약 증거금은 33조1,093억원이 몰려 올해 최대를 기록했다. 배정 물량이 많은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에 각각 11조4,860억원, 11조4,570억원이 몰렸고, NH투자증권 3조5,470억원, KB증권 3조5,218억원, 하나증권 1조990억원, 신영증권 1조131억원, 키움증권 9,855억원 순이다. 150만명의 투자자가 참여한 가운데 청약 주식 수 기준 25억4,687만120주가 몰려 경쟁률 524.05대 1을 기록했다. 사별 경쟁률은 한국투자증권 539.34대 1, 미래에셋증권 537.97대 1, 하나증권 516.05대 1, NH투자증권 499.65대 1, KB증권 496.10대 1, 신영증권 475.69대 1, 키움증권 462.73대 1로 나타났
중대한 거래 '10만 달러' 한도는 폐지…"삼성 등 업계 반대 반영" 미국 정부가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른 보조금 수혜 기업을 상대로 중국 내 반도체 생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범위를 초안대로 5%로 유지하기로 확정했다고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이날 이같은 내용의 반도체법 가드레일(안전장치) 규정 최종안을 공개했다. 최종안에서는 보조금을 받은 기업이 이후 10년 간 중국 등 우려 국가에서 반도체 생산 능력을 '실질적으로 확장'하는 경우 보조금 전액을 반환하도록 했다. 실질적인 확장은 첨단 반도체의 경우 5% 이상, 28나노 이전 세대의 범용 반도체는 10% 이상이다. 블룸버그는 "반도체법 시행 당국은 390억달러(약 52조845억원)의 보조금과 750억달러(100조1,625억원)의 대출을 제공할 방침"이라며 "중국에서 생산량을 크게 늘리거나 물리적 제조 공간을 확장하는 경우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상무부는 지난 3월 제시한 가드레일 초안에서 금지 대상이던 '중대한'(significant) 거래를 10만 달러(약 1억3,355만원) 이내로 규정했는데, 이번 최종안에서는 이 한도 규
충남산학융합원과 공동 교육과정 개설…맞춤형 현장 지도도 현대제철이 충남산학융합원과 함께 충남 도내 중소기업 제조 경쟁력 강화 지원에 나선다. 22일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 따르면 전날 석문국가산업단지에 있는 충남산학융합원에서 도내 13개 중소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비 강건화 활동 전수 교육을 했다. 현대제철은 이를 시작으로 중소기업 수요를 파악해 교육을 지속할 계획이다. 설비 강건화는 작업환경 개선 및 설비 성능을 복원, 안정적 환경을 구축해 최종 제품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등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는 혁신 활동이다. 교육은 설비 강건화 활동 방법과 프로세스를 중소기업이 즉시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실행 절차뿐만 아니라 실습에 중점을 둔 커리큘럼으로 진행된다. 현장 지도를 원하는 기업에는 현대제철 전문 인력이 직접 방문해 맞춤형 컨설팅을 한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대기업이 축적한 제조혁신 지식 및 노하우가 지역 중소산업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충남산학융합원, 중소기업과 협력 채널을 구축한 것"이라며 "교육을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수자원공사 외국 하수도사업 진출 가능해져…환경부, 적극행정 전기차 폐배터리를 분해한 뒤 재조립해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재활용하는 경우 법에 따른 재활용시설이 없어도 재활용업 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한국수자원공사의 외국 하수도사업에 진출도 허용된다. 환경부는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열린 제9차 적극행정위원회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전기차 폐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재제조해 사용하는 경우 폐배터리를 압축·파쇄·분쇄할 별도 재활용시설이 필요없으나 현행 규정상으론 재활용업 허가를 받기 위해 재활용시설을 갖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환경부는 폐배터리를 분해한 뒤 재조립해 ESS 등으로 재제조하고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재활용시설이 없더라도 재활용업 허가를 받을 수 있게 하기로 했다. 현재 수자원공사는 수자원공사법과 정관상 '국외에서 시행할 수 있는 사업'에 상수도사업 등은 포함돼있지만 하수도사업은 없어 외국 하수도사업에 진출할 수 없다. 환경부는 세계 물 시장에서 하수도 분야가 과반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물 분야 전문성을 지닌 수자원공사의 외국 하수도사업 진출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법 개정 전에 이를 허용하기로 했다. 또한 환경
울산과학대학교는 22일 중소조선연구원과 '조선해양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1997년 설립된 중소조선연구원은 중소형 조선소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조선해양 분야 공공 연구기관이다. 협약에 따라 두 기관은 스마트·친환경 선박 분야에서 ▲ 기술 개발과 인력 수급 정책 수립 ▲ 부·울·경 권역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 연관 거버넌스 구축 ▲ 전문 인력 양성 사업 ▲ 일자리 창출 협력 등을 추진하기로 약속했다. 또 울산과학대는 중소조선연구원으로부터 실선 기반의 수조 시험을 할 수 있는 소형 모형선을 기증받는다. 이밖에도 울산과학대는 수행 중인 교육부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 전문대학 지원 사업과 연계해 중소조선연구원과 함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협력·지원 사업을 벌일 예정이다. 울산과학대 조홍래 총장은 "이번 중소조선연구원과의 상호 협력이 학생들을 기업이 원하는 현장 맞춤형 인재로 양성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당 휘발유 1,776.3원·경유 1,676.8원…"오름세 지속" 국제유가가 계속 상승하는 가운데 국내 주유소 휘발유·경유 판매 가격이 11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에 따르면 9월 셋째 주(17∼21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L당 16.7원 오른 1,776.3원이었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15.7원 오른 1,857.6원,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14.1원 오른 1,745.6원이었다. 상표별로는 SK에너지가 1,784.1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가 1,749.0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21.5원 상승한 1,676.8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러시아의 석유제품 수출 금지,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 감산 지지,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영토분쟁 등의 요인으로 소폭 상승했다. 수입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0.9원 오른 배럴당 94.4달러였다. 다만 국제 휘발유 가격은 107.2달러로 전주보다 0.5달러 내렸다. 국제 자동차용 경유 가격은 1.9달러 내린 125
품질 관리(QC)는 제조업에서 정밀도, 일관성 및 안전성이 최우선인 중요한 분야다. 기존에는 품질 관리가 인적 검사 및 정교한 검사 장비에 의존했다. 그러나 증강 현실(AR)의 등장은 품질 관리 수행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AR 기술은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며, 작업자 오류를 줄임으로써 산업이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증강 현실은 이미지, 사운드 또는 데이터와 같은 디지털 정보를 현실 세계에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완전히 몰입감 넘치는 디지털 환경을 조성하는 가상 현실과 달리 AR은 물리적 세계의 인식을 향상시킨다. 스마트 안경이나 모바일 앱과 같은 AR 기기는 사용자가 현실 세계와 가상 요소를 동시에 보고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해준다. 증강 현실, 품질 관리에서 특장점 많아 증강 현실(AR)이 품질 관리에서 제공하는 장점은 크게 5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실시간 데이터 시각화다. AR의 품질 관리에서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실시간 데이터 시각화 기능이다. AR 안경을 착용하거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검사관은 검사하고 있는 제품 또는 장비에 겹쳐 표시된 중요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 정보에는…
자동화 및 디지털화 부문의 혁신 리더인 기술 회사 지멘스(Siemens)와 선삭, 밀링, 연삭 및 적층 제조용 최첨단 머신 툴의 세계적인 선도 공급업체인 디엠지 모리(DMG MORI)는 EMO 2023에서 Siemens Xcelerator에서 머신 툴 가공용 최초의 엔드투엔드 디지털 트윈을 발표했다. Digital Native CNC Sinumerik One을 기반으로 하는 이 제품은 Siemens Xcelerator 마켓플레이스에서 컨트롤러, 고객 맞춤형 DMG MORI 머신 툴 및 공작물의 디지털 트윈을 제공한다. 머신용 디지털 트윈은 지속 가능성, 유연성 및 출시 시간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획기적인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트윈은 스크랩과 실제 머신 손상을 유발하는 프로그래밍 오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실제 머신의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임으로써 최대 40% 더 빠른 생산 램프업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트윈 제품은 또한 비생산적인 머신 시간을 최대 75%까지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프로그램 테스트 및 실행이 실제 머신에서 가상 세계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디엠지 모리의 알프레드 가이슬러(Alfred Geißler) CEO는 “디지
화낙(FANUC Corporation)은 최근 100만 번째 산업용 로봇을 생산했다고 발표했다. 자동화의 선구자로서 화낙의 로봇은 전 세계 생산 시설에서 모든 모양과 크기의 제품을 조립, 취급, 포장, 도장 및 용접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화낙은 1974년에 첫 번째 로봇을 개발했으며 주로 자동차 산업의 공급업체로서 1982년 북미 시장에 진출했다. 오늘날 화낙의 200여 개의 로봇 및 코봇 모델 변형은 항공우주, 농업, EV, 식품 및 음료, 소비재, 의료, 제약, 창고 및 기타 모든 산업에서 사용된다. 화낙 아메리카의 사장 겸 CEO인 마이크 시코(Mike Cicco)는 "기업은 노동력 부족이 심화됨에 따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작은 가게든 대규모 조립 작업장이든 간에 빠른 ROI를 제공하는 사용하기 쉬운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요청이 늘고 있다. 화낙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라고 말했다. 화낙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신뢰성, 정밀도, 속도 및 쉬운 작동을 제공하는 로봇, 컨트롤러 및 머신 툴을 만드는 데 자체 로봇을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마이크 시코는 "고객이 일본에 있는 화낙 본사를 방문하면 고도로 자동화된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