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지리서치가 개발한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세이지비전'이 비전 시스템즈 디자인(Vision Systems Design)이 주최하는 ‘이노베이터 어워즈’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해당 시상식은 22일부터 나흘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개최된 2023 디트로이트 자동화 로봇 전시회에서 진행됐다. Automate 2023은 로봇, 인공지능, 머신비전, 모션 제어 및 기타 최신 자동화 기술이 모인 북미에서 자동화 기술을 다루는 가장 큰 규모의 전시회다. 비전 시스템즈 디자인이 진행하는 이노베이터 어워즈는 매해 국제적 컨퍼런스에서 머신비전 및 이미지 공정 업계에서 가장 혁신을 가져다준 제품과 브랜드를 평가 및 시상한다. 이노베이터 어워즈는 ‘독창성’ ‘혁신성’ ‘사용자 파급 효과’ ‘시장성’ ‘생산력 향상’ 등의 기준을 바탕으로 혁신을 이끄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세이지리서치의 SaigeVision은 딥러닝 기반의 이미지 분석 기술을 활용한 비전 검사 솔루션이다. 제조업 현장에서 노동력 기반으로 진행되는 제품 외관 검사는 비전 기반 딥러닝 솔루션을 통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제품 품질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이지리서치는…
국제표준 ISO 45001 도입해 안전 관리 기반 및 이행 관리 체계 구축 가능 현장 안전 관련 기록·지표·통계 등 제공해 안전 관리 유지·개선 가능 최근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안전보건법 등 법률이 제정·강화됨에 따라 산업 안전에 대한 요구 및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SK C&C가 작업 현장 안전 관리 및 중대재해예방에 활용 가능 가능한 스마트 안전 관리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이달 8일 밝혔다. 스마트 안전 관리 솔루션은 제조·유통·건설·통신 등 작업 현장 안전 관리가 필요한 기업에 특화된 설계로 개발됐다. SK C&C는 사업주가 기존 산업 안전 관리 시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에 통합 안전 관리 솔루션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솔루션은 사업장과 사업장 내 작업장 개념을 도입해 세부적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해 유연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더불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45001 인증을 획득해 선순환 기반 프로세스를 구현했다. 스마트 안전 관리 솔루션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안전 점검 및 개선 활동 이력과 결과 등을 기록·관리 가능하다. 또한 사업장 안전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종합 디지털 상황판도 마련했다. 이를 활용해…
8일 원/달러 환율이 보합권에서 마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0.1원 내린 1303.7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3.80원 상승한 1307.6원에 개장해 1302.8∼1308.4원 사이 상대적으로 제한된 등락 폭을 보였다. 7일(현지시간) 캐나다 중앙은행인 캐나다은행(BOC)이 시장의 예상과 달리 기준금리를 4.75%로 0.25%포인트(p) 인상하면서 이날 원/달러 환율은 상승 흐름이 예상됐다. 외국인 투자자도 코스피에서 3924억 원, 코스닥시장에서 2331억 원을 순매도했다. 그러나 장중 달러 인덱스가 소폭 하락하면서 환율 상승세가 제한됐다. 오후 3시 30분 현재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1.86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936.01원)에서 4.15원 내렸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이하 KOSA)는 8일 베트남 호치민에서 '한-베 디지털 기술협력 포럼·수출상담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베트남의 디지털 산업 트렌드와 한-베 기술 협력 사례 공유를 통해 국내 ICT기업들의 현지진출을 지원하고자 마련됐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 K-Global@Vietnam' 행사와 함께 개최됐다. 한국과 베트남 정부기관 및 ICT기업 관계자 약 100여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에는, 베트남 하노이 스마트시티 허브를 구축하고 있는 김태호 베스핀글로벌 베트남 법인장의 기조발표를 시작으로 한-베 ICT 기업의 디지털 협력 사례를 공유했다. 기조발표는 '클라우드와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의 베트남 디지털 산업 트렌드'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한-베 기업 간 디지털 협력 사례 발표는 ▲인공지능 플랫폼 기업 솔트룩스 ▲베트남 1위 전자결제 기업 모모(MOMO) ▲베스핀글로벌과 함께 스마트시티를 개발 중인 대우건설 베트남법인 ▲베트남 의료품 유통 솔루션 기업 바이메드(BuyMed) ▲전자문서·전자결재 솔루션 기업 포시에스 순으로 진행됐다. 이와 함께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솔루션 공동개발 협력'
로봇 자동화 시스템 브랜드 PICKSYS(픽시스)에서 머신비전을 이용한 가공기 투입 배출 자동화 제품 'PICKSYS MTS'를 소개했다. 머신텐딩 자동화란 협동로봇 등 자동화 장비를 사용해 기계에 자재를 공급하고, 작업이 끝나면 제품이 회수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것을 의미한다. 픽시스의 PICKSYS MTS는 기존 머신텐딩 자동화와 차별되는 특장점이 존재한다. 기존 자동화 구축은 로봇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공간 확보, 어떻게 설치하고 구동할 것인지에 대한 설계와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진행해야 했다. 픽시스는 프레임부터 소프트웨어, 협동로봇까지 하나의 제품으로 제공하고 있어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규격화된 사이즈를 제공한다. 로봇 종류부터 시스템, 설계까지에 들였던 많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PICKSYS MTS는 현장 공간을 파악한 뒤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기존 가공기 또는 설비에 재료를 공급하고 회수하기 위해서 설비간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연결이 필수다. 보통 로봇과 가공기의 인터페이스를 연결해 신호를 주고 받으며, 로봇이 사람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가공기와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기 힘들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머신비전이다. 머신비전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은 한-아세안 ICT 협력 네트워크 형성과 메타버스 산업의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오는 9일 부산 벡스코컨벤션홀에서 개최되는 '2023 한-아세안 ICT 융합 포럼 & 메타버스 컨퍼런스'의 연사와 발표 주제를 8일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부산시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행사로 '한-아세안 ICT 융합빌리지 구축 및 운영'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한-아세안 ICT 융합 포럼에서는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윤정원 단장 '한-아세안 ICT 융합빌리지 성과보고' ▲펀잇 문준석 이사 '태국국립박물관 XR실감 콘텐츠 사례' ▲와이에스티 한상일 이사 '한국의 XR기술을 활용한 한-아세안 XR공동 프로젝트 사례와 성과' ▲싸이드워크엔터테인먼트 국기봉 대표 '실시간 모션 트래킹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댄스 소셜미디어 서비스 스테핀' 등의 발표를 통해 한-아세안 공동프로젝트의 성과를 공유한다. 메타버스 컨퍼런스 세션 1과 2에서는 글로벌 XR·메타버스 기업과 기관에서 연사 및 토론자로 참여해 메타버스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먼저 엔디비아 사이먼 씨 박사가 '기후변화의 이해 : 메타버스,…
'한-이스라엘 비즈니스 세미나' 국내 로봇 대표기업으로 참석 에브리봇이 한-이스라엘 비즈니스 세미나에 참석해 이스라엘 이뉴이티브와 공동 R&D 협약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한-이스라엘 비즈니스 세미나는 한국과 이스라엘 기업이 바이오, 로봇, 스마트모빌리티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업무협약(MOU)과 공동 R&D를 본격화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지난 7일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개최된 이번 세미나에는 이창양 산업부 장관, 이스라엘 엘리 코헨 외교부 장관 등 한-이스라엘 기업인 100여 명이 참석했다. 로봇 분야에서는 공동 R&D 협약식이 체결됐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에브리봇과 SK텔레콤 단 2곳만 선정 됐으며 이스라엘 기업은 이뉴이티브와 인튜이션 로보틱스가 선정됐다. 이번 공동 R&D 협약식에서 에브리봇은 중소기업 중 유일하게 선정되며 로봇 기술력을 다시금 인정받았다. 에브리봇은 글로벌 기업 이뉴이티’와 820만 달러 규모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플랫폼 관련 공동 R&D 협약을 맺었다. 이번 공동 R&D를 기반으로 에브리봇은 이뉴이티브와 서비스 로봇에 특화된 독자적인 AI 전용 프로세싱 모듈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
SK온 발전 가능성에 자본시장 잇따른 투자...글로벌 톱 기업 발전 토대 구축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 SK온이 장기 재무적 투자를 추가 유치했다고 8일 밝혔다. 직전 투자유치에 성공한 지 9일(영업일 기준)만이다. SK온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5조 원 상당의 재원을 확보해 글로벌 톱(Top)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안정적인 토대 구축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날 이사회를 열어 SK온 투자유치를 위한 주주 간 계약 체결의 건을 승인했다. 지난달 24일 MBK컨소시엄으로부터 유치한 8억 달러(약 1조500억 원) 한도 승인 때와 마찬가지로 SK이노베이션, SK온, 신규 재무적투자자(FI) 간의 계약이다. SK온은 이 FI로부터 4억 달러(약 5300억 원)를 투자받을 예정이다.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하는 이 FI는 MBK컨소시엄의 일원으로 SK온 투자에 합류했다. 이로써 SK온은 최대 4조9700억 원을 조달할 예정이며, 이는 당초 목표였던 4조원을 24% 넘어선 규모다. 앞서 한국투자PE이스트브릿지컨소시엄으로부터 1조2000억 원, 모회사 SK이노베이션으로부터 2조 원, MBK컨소시엄과 SNB캐피탈로부터 각각 8억 달러, 1억4400만 달
KT가 강남구청과 함께 로봇 친화형 미래도시 구현을 위해 '실외 로봇 배송 서비스 제공 MOU'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KT의 로봇 기술과 강남구청의 도시 행정능력을 결합해 실외 로봇 배송 서비스를 개발하고, 음식과 생필품 등을 실외 배송 로봇이 강남구 내 다양한 장소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주민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배송 서비스와 로봇 친화적인 미래 도시 생활을 제공하는 것이다. KT는 로봇 플랫폼, 통합 관제 시스템, 통신 인프라, 실외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해 강남구와 협력하는 다양한 배송 사업 영역에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KT와 강남구청은 지속적인 기술 연구 개발과 서비스 협력을 추진해 강남구에서 로봇을 활용한 혁신적인 배송 모델을 구현하고, 실외 로봇 배송 서비스의 모범 사례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KT AI 로봇사업단 이상호 단장은 "강남구에서 혁신적인 로봇 배송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돼 기쁘다"며 "향후 강남구가 로봇 친화형 미래도시의 출발지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AI 능력 수준, AI 개발 경쟁, 미 국방·안보부서의 AI 활용 현황 등 다룰 예정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규제 요구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 상원이 관련 입법을 위한 준비작업 차원에서 의원 대상 비공개 설명회를 열 예정이라고 미 CNN방송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상원이 AI 산업 관할을 위한 포괄적 법안을 발의하려면 아직 몇 달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 속에 민주당의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향후 몇 주간 의원을 대상으로 하는 AI 관련 설명회를 세 차례 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설명회는 AI의 능력 수준, AI 개발 경쟁, 미 국방·안보부서의 AI 활용 현황 등에 대해 다루며, 마지막 설명회는 상원 최초의 AI 관련 기밀 브리핑이 될 예정이다. 슈머 원내대표는 "AI는 이미 세계를 바꾸고 있다. 일자리의 중대한 재배치를 포함해 노동·국가안보·학교수업 등 모든 것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반복적으로 우리에게 얘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이크 라운즈 상원의원(공화당)은 설명회가 8월 의회 휴회 기간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라면서, 그때가 되면 법안까지는 아니더라도 여러 의견이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슈머 원내대표가 AI
Neousys Technology는 최신 임베디드 플랫폼에서 최대24개의 코어와 32개의 스레드를 탑재한 13세대 Core i9/ i7/ i5/ i3 프로세서인 Intel Raptor Lake를 지원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지원되는 플랫폼에는 산업 및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Nuvo-9000, Nuvo-9531, Nuvo-9501 시리즈, 엣지 AI 컴퓨팅 및 자율주행 차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Nuvo-9160GC 및 Nuvo-10208GC 시리즈가 포함된다. 최신 13세대 코어 프로세서는 최대 24개의 코어와 32개의 스레드를 제공한다. i5, i7 및 i9 프로세서에 통합된 추가 효율성 코어와 증가된 캐시 용량을 통해 Intel은 이전 세대 플랫폼과 비교할 때 싱글-스레드 성능이 최대 15%, 멀티-스레드 성능은 최대 41% 향상되어 제공한다고 밝혔다.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은 이전 10세대 또는 11세대 플랫폼과 비교할 때 최대 2배로 훨씬 더 눈에 띄게 향상됐다. 또한, BIOS 업데이트를 통해 기존 Neousys Intel 12세대 플랫폼도 Intel 13세대 프로세서를 지원해 향후 업그레이드 호환성과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High NA, Ult
두산밥캣이 무인·자동화 관련 해외 소프트웨어 기업들과 잇달아 협약을 체결하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두산밥캣은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농업 신기술(애그테크) 소프트웨어 회사인 '애그토노미(Agtonomy)'에 지분투자를 했다고 7일 밝혔다. 애그토노미는 농업 및 조경 장비(GME, Grounds Maintenance Equipment) 관련 애그테크 기업으로 구글 벤처(GV), 도요타 벤처, 미래에셋 벤처투자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애그토노미는 잡초를 뽑거나 풀을 베는 작업, 작물보호제를 살포하거나 농작물을 운반하는 일 등 노동집약적 작업들을 원격으로 실행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전세계가 직면한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 운영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꼽힌다. 트랙터, 잔디깎이, 유틸리티 차량 등 장비와 더불어 다양한 농업 및 조경 관련 어태치먼트를 보유하고 있는 두산밥캣은지난 2월 애그토노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뒤 작업 효율과 정확도를 높이는 원격·무인화 및 전동화 기술을 함께 개발해 왔다. 이번 지분 투자로 양사 간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함에 따라 기술 개
진주시·경상국립대·경상국립대병원 등과 AAM 산업 생태계 조성 위한 업무협약 체결 LG유플러스는 진주시,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GS건설, GS칼텍스와 한국형 미래항공모빌리티(AAM, Advanced Air Mobility)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AAM은 3차원 내 공중 교통체계를 활용한 기존 항공운송 생태계인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에 지역간 항공교통(RAM, Rational Air Mobility)을 포함한 광의의 개념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프리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AAM 시장 규모는 2022년 89.3억 달러에서 2030년 451.2억 달러로 5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내다볼 만큼 국내외 굵직한 기업들의 새로운 먹거리로 꼽힌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협의체는 진주시에서 의료시설을 거점으로 활용한 응급의료서비스(EMS, Emergency Medical Service) 분야 시범도시 사업 기반을 마련하고 미래항공기체(AAV, Advanced Air Vehicle) 실증센터 구축을 통한 운용체계를 검증하는 등 한국형 미래항공모빌리티 산업 생
엘파인이 동축 낙사 조명 'LCRG SERIES'를 출시했다. LCRG SERIES는 고스트 현상 방지 및 고해상도 이미지 추출이 가능한 동축 낙사 조명이다. 동축 낙사 조명은 일반적으로 LED 어레이에서 확산된 빛을 카메라 렌즈와 동일한 광축으로 정렬하기 위해 HALF MIRROR를 사용한다. 기존의 조명은 고스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엘파인은 고해상도 이미지를 요구하는 시장 수요에 고해상도 카메라를 지원하며, 고스트 현상도 방지하는 동축 낙사 조명을 개발했다. 동축 낙사 조명의 HALF MIRROR는 고정밀 광학 GLASS를 사용해 고스트 이미지 방지 및 고해상도 이미징을 구현한다. 또한 특별한 조명 기술로 높은 출력과 균일성을 확보한다. 이 동축 낙사 조명은 CUBE TYPE과 HALF MIRROR TYPE 두 종류로 구성됐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LG디스플레이는 최현철 소형 사업총괄(전무)가 세계 최고 권위의 디스플레이 학회인 SID(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에서 석학회원(Fellow)에 선임됐다고 8일 밝혔다. SID는 매년 역대 석학회원의 추천과 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연구업적이 뛰어난 최상위 0.1% 이내의 회원만을 석학회원으로 선정하고 있다. SID 측은 석학회원 선정 배경에 대해 "탠덤 구조의 고효율 OLED를 개발하고, TV 및 고성능 IT LCD 상용화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최 사업총괄은 지난 30여년간 디스플레이 산업 분야에 몸담으며, 신제품 및 기반 기술 개발에 공헌해왔다. OLED의 유기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아 고휘도 및 장수명 등 내구성이 뛰어난 '탠덤(Tandem) OLED' 구조를 개발하고, 유기발광 소자의 주요 요소인 수소 원소를 강력하고 안정된 구조의 중(重)수소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해 OLED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OLED 제품군을 TV와 스마트폰에서 IT와 자동차 분야로 확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에 앞서, LG디스플레이의 하이엔드 LCD 기술인 광시야각 기술(IPS, In-Pl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