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사족 보행 로봇 ‘알비큐(RBQ)’, 에버랜드 가을 축제 퍼레이드 참가 첨단 로봇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융합 가능성 선사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인공지능(AI) 기반 사족 보행 로봇 ‘알비큐(RBQ)’ 시리즈를 경기 용인 소재 테마파크 에버랜드 현장에서 공개한다. 알비큐는 에버랜드 가을 축제 '에버랜드 오브 오즈(The Everland of OZ)' 가을 축제 퍼레이드에 참여한다. 축제 기간인 9월 5일부터 11월 16일까지 펼쳐지는 행사에서 퍼포먼스를 수행할 예정이다. RBQ는 공연 의상을 입고 음악에 맞춰 다양한 퍼포먼스와 춤을 선보인다. 동역학 기반 보행 기술과 AI 보행을 병행하는 기술을 통해 상황에 따른 유연한 동작을 구현한다. 특히 시각 정보 없이 AI 보행만으로 경사로를 안정적으로 걷는 모습과 물구나무서기나 옆으로 서기 등 고난도 동작도 참관객에게 펼칠 전망이다. 사측 관계자는 냉각 팬이 없는 팬리스(Fanless) 구조를 채택해 발열과 방수 성능을 최적화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에버랜드 퍼레이드 현장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로봇이 대형 테마파크 퍼레이드에 참여하는 첫 사례다. 퍼레이드
국내 AI·로봇 업체 8개사와 ‘농업·필드 인공지능(AI) 로봇 산업 발전 협의체’ 발족 노동력 부족 등 농업 현장의 구조적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뉴로메카가 국내 농업 현장 고도화를 목표로 한 ‘농업·필드 AI 로봇 산업 발전 협의체’에 합류했다. 이번 ‘농업·필드 인공지능(AI) 로봇 산업 발전 협의체’는 뉴로메카·대동로보틱스·대동에이아이랩·뉴빌리티·에이딘로보틱스·코라스로보틱스·투모로로보틱스·티랩스 등 AI·로봇 분야 업체 총 8개사가 참여한다. 연합 멤버들은 AI 모델, 자율주행, 데이터 분석, 로봇 손·팔 등 각 사의 핵심 기술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다종·이기종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인 플릿 운영 관리(Fleet Operations Management) 등도 공동 연구와 사업화를 통해 개발·고도화된다. 뉴로메카는 협의체 참여에 앞서 자사 스마트팜 로봇 ‘모비애그리(Moby-Agri)’를 선보인 바 있다. 모비애그리는 뉴로메카와 농업 기술 스타트업 ‘아이오크롭스’가 함께 개발한 농업용 서비스 자동주행로봇(AMR)이다. 자율주행 기능으로 농업 현장을 누비며 농작물을 촬영한다. 또한 여기서 도출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AI로 분석해 작물 상태를 모니터링하
셰플러와 비테스코 합병 후, 첫 IAA 모빌리티 전시회 참가 전동화·자율주행 통합 솔루션…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공략 글로벌 모션 테크놀로지 기업 셰플러가 오는 9월 8일부터 12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IAA 모빌리티 2025’에 참가해 약 140종의 혁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와의 합병 이후 첫 공식 무대라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셰플러는 이번 전시에서 전동화 모듈형 부품과 통합 시스템(EMR4), 섀시 및 차체 솔루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솔루션을 중심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겨냥한 확장된 포트폴리오를 공개한다. 특히 EMR4는 전동 모터, 인버터, 감속기를 결합한 3-in-1 통합 구동 시스템으로, 경기도 이천의 셰플러코리아 사업장에서 직접 제조·공급되고 있다. 해당 제품은 구 비테스코의 전력전자 기술과 셰플러의 기계 기술이 결합된 대표적인 합병 시너지 사례로 평가된다. 마티아스 징크 셰플러 파워트레인 & 섀시 CEO는 “비테스코와의 합병으로 전장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해 E-모빌리티 분야의 경쟁력을 한층 높였다”며 “통합된 시스템 솔루션 제공을 통해 자동차 기술 포트폴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Hexagon Manufacturing Intelligence, 이하 헥사곤)는 지난 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헥사곤 라이브 이노베이션 서밋 코리아 2025(Hexagon Live Innovation Summit Korea 2025)’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서밋에서 헥사곤은 ▲정밀 측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지오매직 리버스 엔지니어링 및 품질 검사 솔루션 ▲CAD/CAM 소프트웨어 ▲라이카 지오시스템즈의 3D 스캐닝 기술을 선보이고, 포트폴리오 기반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디지털 혁신과 정밀 측정의 미래를 조명했다. 행사 기조연설은 림분춘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아세안·태평양·인도 지역 사장이 맡아 정밀 측정과 스마트 디지털 트윈이 제조업 혁신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임을 강조했다. 그는 포레스터와 발간한 ‘2025 첨단 제조 산업 보고서’를 인용하며 디지털 트윈이 기업의 민첩성과 품질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투자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어 헥사곤이 정밀 측정 기술과 데이터 기반 솔루션으로 이러한 산업 전환을 지원하며 제조업이 자율성과 경쟁력을 갖춘 미래로 나아가도록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코윈테크가 중국의 지능형 로봇기업 아이플러스모봇(IPLUSMOBOT)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한 로보틱스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양사는 ▲차세대 자율주행로봇(AMR) 플랫폼 공동 기술 개발 ▲스마트팩토리 턴키 솔루션 협업 ▲AI 기반 자율 주행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유럽·북미 등 해외 네트워크 확장을 주요 협력 과제로 설정했다. 코윈테크와 아이플러스모봇은 각각 AMR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 아이플러스모봇은 중국 산업용 물류 Natural Navigation(환경 인식 기반) AMR 점유율 1위 기업으로, 반도체·FPD·식품·제약 등 200여 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지능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코윈테크는 고정밀 도킹 기술 기반 AMR과 스마트팩토리 턴키 구축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아이플러스모봇의 3D 레이저 SLAM, Vision, IMU 등 퓨전 내비게이션 기술 및 대규모 로봇 납품 경험을 결합해 경쟁력을 높일 방침이다. 또한 AI 기반 소프트웨어로 고도화된 AMR을 개발해 산업 현장에서 안정적이고 유연한 공급 체제를 구축하고, 이차전지·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
우듬지팜은 자회사 우듬지E&C가 일본 JFE엔지니어링과 스마트팜 판매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우듬지E&C는 설계와 핵심 자재를 공급하고, JFE엔지니어링은 일본 내 온실자재 판매를 담당한다. 우듬지E&C의 일본 시장 진출은 오는 2027년까지 우듬지팜의 매출 3000억 원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라오스 법인 매출도 더해지며 글로벌 매출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JFE엔지니어링은 환경·에너지 분야의 플랜트, 교량, 산업기계 등을 다루는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2013년부터 스마트팜 시장에 진출했다. 현재는 네덜란드 환경 제어 시스템 기업 프리바사(Priva)의 일본 정규 딜러로서 신설·유지보수·A/S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MAFF)은 스마트농업 실증 프로젝트를 전국 217개 지역으로 확대 중이며, 민간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리서치에 따르면 일본 스마트농업 시장은 2024년 12억 달러에서 2033년 41억 달러 규모로 3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흐름 속에 양사의 협력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듬
국내 인공지능(AI)·로봇 기술 기업 8곳과 ‘농업·필드 AI 로봇 산업 발전 협의체’ 발족해 AI 모델, 자율주행, 로봇 팔(Robot Arm) 등 핵심 기술 공유...K-로봇 글로벌 경쟁력 강화 노린다 대동그룹이 국내 인공지능(AI)·로봇 기술 업체들과 손잡고, 농업 현장용 로봇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 연합을 출범했다. 이번 ‘농업·필드 인공지능(AI) 로봇 산업 발전 협의체’는 대동로보틱스·대동에이아이랩을 주축으로 결성됐다. 협의체에는 뉴로메카·뉴빌리티·에이딘로보틱스·코라스로보틱스·투모로로보틱스·티랩스 등 AI·로봇 분야 업체 총 8개사가 참여한다. 연합 멤버들은 AI 모델, 자율주행, 데이터 분석, 로봇 손·팔 등 각 사의 핵심 기술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다종·이기종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인 플릿 운영 관리(Fleet Operations Management) 등도 공동 연구와 사업화를 통해 개발·고도화된다. 대동그룹은 이번 협의체를 통해 외부 협업이 필요한 기술 영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술 융합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로써 AI 로봇 분야의 핵심 역량 고도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해당 협의체 출범은 국내 로봇 산업이 피지컬 AI(Ph
“청소 인력 대비 3년간 4200만 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 도출” 워키 T1(Worky T1), 대형 공간 효율적 관리 구현 기대 에브리봇이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의 대응 방안으로 자사 청소 로봇 ‘워키 T1(Worky T1)’을 강조했다. 노란봉투법은 ▲사용자 범위 확장 ▲노동쟁의 대상 확대 ▲파업 노동자 대상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 제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업계는 향후 노사 분쟁 증가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인력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로봇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 가운데 에브리봇은 워키 T1 도입 시 이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내놨다. 이에 따르면 워키 T1을 도입했을 때 청소 인력 1명 고용 대비 3년간 4200만 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오피스·호텔·병원·학교·쇼핑몰·공장 등 대형 상업 공간의 인건비 절감 솔루션으로 활약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Worky T1은 물청소, 흡입, 걸레질, 먼지 쓸기 등 작업을 수행하는 4-in-One 클리닝 시스템을 갖췄다. 특히 2만 파스칼(Pa)의 흡입력과 3차원 라이다(3D LiDAR) 센서를 탑재했다. 이를 통해 높은 청소 성능과 정밀한
AX(AI Transformation) 시대 국내 제조 분야 혁신을 이끌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미라콤아이앤씨는 오는 9월 25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 3층 한라홀에서 ‘미라콤 솔루션 페어 2025’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MSF는 ‘AX로 진화하는 SDF, 혁신의 패러다임을 바꾸다’를 슬로건으로 제조 AX의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 성공 사례를 폭넓게 공유한다. MSF는 미라콤아이앤씨가 매년 주최하는 기술 행사로 제조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키노트 연사로는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표가 나서 ‘The Rise of Agentic AI: 산업 특화 인공지능은 어떻게 제조업을 혁신하는가?’를 주제로 Agentic AI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이어 미라콤아이앤씨 이영수 연구소장이 ‘지금 바로 AX: 미라콤 플랫폼으로 시작하는 SDF 로드맵’을 발표하며, 제조 기업이 AX를 실행해야 하는 이유와 구체적인 전략을 설명한다. 미라콤아이앤씨는 국내 제조 기업들의 AI 실사용률이 0.1%에 불과한 현실을 지적하며, 데이터 확보 난항과 활용 가이드라인 부재가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MSF에서는 MES, QMS,
無 과불화화합물(PFAS) 및 경량화 소재 채택...전동화·친환경 강조해 이구스가 차세대 자동차 액추에이터에 적용되는 무급유 고기능성 베어링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과불화화합물(PFAS)·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포함하지 않는 재질로 제작돼 친환경성을 강조했다 여기에 -40~200°에 이르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내구성을 유지한다. 전동화·경량화·친환경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발맞춰, 무급유·내마모성을 갖춘 솔루션으로 기대받고 있다. 이번 베어링 신제품은 자체적으로 윤활 성분을 포함한 복합 폴리머 소재로 제작됐다. 이를 통해 외부 윤활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부식에 강하고 소음과 진동을 저감해 최신 전기자동차(EV)에 필수적인 NVH(Noise·Vibration·Harshness) 성능 향상에 기여할 전망이다. 소형 액추에이터 내부에도 맞춤 적용이 가능한 점이 이 제품의 특징이다. 사측은 제품의 품질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품질경영시스템(QMS) 국제 표준 ‘ISO 9001’과 국제 자동차 전담 기구(IATF)의 자동차 산업 QMS인 ‘IATF 16949’ 인증을 받았다. 이러한
KAIST는 3일 기계공학과에서 ‘2025년 딥테크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의 공식 출범을 알리는 킥오프 미팅을 열고, 대전 로봇밸리(Robot Valley) 조성 계획을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추진하는 이번 사업에 최종 선정된 KAIST는 앞으로 3년 6개월간 총 136억5000만 원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혁신 로봇기업을 집중 육성한다. KAIST는 대전이 보유한 우수 연구 인력과 창업·투자 생태계를 연계해 지역 활성화 모델을 창출하고, 로봇산업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특히 ‘인간친화형 로봇(Human-Friendly Robot, HFR)’ 개념을 기반으로 단순 자동화를 넘어 인간과 공간·역할·감정을 공유하는 협력적 로봇 동반자 개발을 지향한다. 이번 사업은 개별 기업 지원을 넘어 로봇산업 전반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한다. KAIST와 엔젤로보틱스, 유로보틱스 등 선도 기업들이 구동기, 회로, 인공지능, 표준 데이터 등 공통 요소기술을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공유하고, 스타트업이 이를 활용해 고객 수요에 맞춘 로봇 제품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과제에는 김정 기계공학과 교수(한국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필수 인프라로 마이크로그리드 꼽혀···맞춤 솔루션 공급 기술 역량에 브랜드 인지도 더해 추가 수주 기대···북미 시장 ‘급성장 모멘텀’ LS일렉트릭이 미국의 대형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4,600만 달러(한화 약 641억 원) 규모의 배전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추진하는 차세대 데이터센터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LS일렉트릭은 마이크로그리드 내 가스 발전 설비를 위한 배전 솔루션을 공급한다. 공급은 내년 2월부터 7월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미국은 최근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 급증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기존 전력망 노후화와 공급 부족이 겹치면서 안정적 전력 수급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신규 데이터센터는 외부 전력망 의존 대신, 자체 발전과 효율적 분산 운영이 가능한 마이크로그리드 방식을 채택하는 추세다. LS일렉트릭은 한국 스마트그리드 및 마이크로그리드 분야의 대표 기업으로, 직류(DC) 기반 전력기기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수주를 계기로 데이터센터용 맞춤형 배전 솔루션을 앞세워 북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1,000개 브랜드·8만 명 관람객 모이는 글로벌 大축제 AI·디지털 트윈·IIoT, 차세대 제조 핵심 기술 총출동 글로벌 제조업의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가운데, ‘제24회 SIA 상하이 국제 스마트 공장 전시회’가 2026년 6월 3일부터 5일까지 중국 상하이 신국제박람센터에서 열린다. 중국설비관리협회가 주최하고 상하이 중전세신 전시그룹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스마트공장과 디지털 제조 전환을 아우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 전시회로, 글로벌 공급망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 2003년 출범한 SIA 전시회는 지난 20여 년간 스마트 제조 산업의 성장을 함께해왔다. 초기에는 자동화 장비와 기초 기술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등 미래 지향적 기술을 포괄하며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완성해가고 있다. 이번 전시는 5만㎡ 규모 전시장에서 1,000여 개 글로벌 브랜드가 참가하고, 8만 명 이상의 전문 관람객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시회 기간 동안 50여 개의 동시 개최 행사도 진행돼, 기업 간 협력과 기술 교류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SIA의 차별화된 가치는 ‘완전한 산업
DJI Mic 3, Osmo 360 등 신제품 대거 공개...자사 전방위 기술 포트폴리오 출격한다 “고품질 콘텐츠 제작 노하우 제공...소비자 접점 확대” DJI가 이달 9일(현지시간) 닷새간 독일에서 열리는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 2025(IFA 2025)’에서 자사 제품 포트폴리오를 대거 선보인다. IFA는 글로벌 가전 및 기술 박람회로, 전 세계 가전 기업들이 최신 제품과 기술을 공개하는 글로벌 축제다. 특히 소비자 전자제품 분야의 주요 트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행사로 알려져 있다. DJI는 이번 전시회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부터 기업·농업 종사자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솔루션을 공개한다. 창작자를 위한 최신 카메라·사운드·드론 기술을 대거 내놓는다. 이 중 자사 첫 360° 카메라 ‘오스모 360(Osmo 360)’은 1인치 360° 이미징과 8K 360° 영상 촬영 기능으로 갖췄다. 여기에 최신 초경량 무선 마이크 ‘DJI 마이크 3(DJI Mic 3)’도 전시된다. 4개의 송신기(TX)와 8개의 수신기(RX)를 탑재했고, 타임코드, 듀얼 밴드 간섭 방지 등 녹음 작업을 간소화하는 기능이 내재화됐다. 이 밖에도 360° 회전 짐벌을 탑재한 라인업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의 자회사이자 열화상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 OEM이 일본의 선도적 드론 제조사인 ACSL과 'Thermal by FLIR' 프로그램 협력을 발표했다. 이 협력을 통해 ACSL의 NDAA 준수 드론인 소텐(SOTEN)에 사용될 듀얼 열화상 탑재체인 '사모(SAMO)'를 공동 개발하게 된다. 'Thermal by FLIR'는 텔레다인 플리어 OEM의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혁신적인 제품의 시장 출시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개발되는 사모(SAMO) 열화상 탑재체는 Hadron™ 640R 듀얼 열화상 및 실화상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다. 이 모듈은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64MP 실화상 카메라와 640x512 해상도의 Boson® 방사측정 열화상 카메라 모듈이 통합되어 있다. 또 플리어의 특허 기술인 MSX®(Multi-Spectral Dynamic Imaging)가 도입되어 열화상에 실화상 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더 선명하고 상세한 열화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