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025년 1월 17일부터 시행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교통약자법)」 및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생활물류서비스법)」 시행령 개정안을 7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개정안은 교통약자와 소화물 배송 서비스 이용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물류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 중 하나는 장애인콜택시 운전원 및 소화물 배송 대행 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취업 제한이다. 살인, 성범죄, 마약사범 등 강력범죄 이력이 있는 사람은 범죄 경중에 따라 최대 20년간 취업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성범죄자의 경우 최대 18년간, 마약 관련 범죄자는 최대 20년간 종사자로 일할 수 없도록 규정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제한이 교통약자와 물류 서비스 이용자의 안전을 대폭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교통약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버스 및 택시 운전자에게 의무 교육이 확대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기존에는 저상버스 및 철도 승무원 등 일부에만 교육이 제공되었지만, 이제는 시내·시외버스, 전세버스, 수요응답형 버스 등 모든 운전자에게 교통약자 이해, 비상 상황 대처, 응대 요령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가 2025년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에 총 862억 원을 투자하며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수소 및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인공지능(AI) 기반 기후 예측 기술 개발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기술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실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3일 ‘2025년도 연구개발 사업 종합시행계획’의 일환으로 이번 시행계획을 마련했으며, 1월 말부터 신규 과제 공고를 통해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이는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응을 강화하고 산업과 학계의 협력을 통해 기술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주요 투자 분야 중 하나는 무탄소 에너지 기술 개발이다. 태양전지, 연료전지 등 무탄소 발전원을 활용해 에너지 의존도를 완화하고, 차세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 고도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각각 57억 원과 42.75억 원이 투입된다. 이외에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래 기후 예측 기술 개발에 31억 원이 배정돼 기후재난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국제 협력
수이(SUI) 기반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 나비 프로토콜이 2024년 한 해 동안 달성한 주요 성과를 발표하며 DeFi 업계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나비 프로토콜은 작년 한 해 2,000% 성장을 기록하며 총예치금(TVL)이 7.5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비-EVM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대출 프로토콜 중 상위 5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플랫폼은 90만 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745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지원하며, 예치금 279억 달러와 대출 176억 달러를 성공적으로 성사시켰다. 이를 통해 900만 달러 이상의 매출과 179만 달러의 누적 수익을 기록하며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입증했다. 나비 프로토콜은 수이 블록체인을 활용해 플랫폼의 접근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를 위해 21개 이상의 지갑을 통합하고 스테이블 코인, BTCFi LSTs, 수이 네이티브 자산 등 17개의 유동성 풀을 운영하며 수이 네트워크의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나비 프로토콜은 지난해 1분기, OKX Ventures, dao5, Hashed 등 주요 투자자로부터 200만 달러를 유치하며 NAVI 생태계 확장의 기반을 다졌다. 또한 리퀴드 스테이킹 프
산업통상자원부는 새해 첫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산업 기술지원을 위해 2025년도 융합혁신지원단 기술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융합혁신지원단은 총 38개 공공연 협의체로서 공공연이 보유한 기술·인력·장비 등을 활용해 국내 소부장 기업의 현장기술 애로를 해결하는 기술 멘토 역할을 수행 중이다. 융합혁신지원단 기술지원사업은 기업애로의 난이도에 따라 컨설팅 및 현장기술지원(3개월 이내)하는 기술애로분석·단기기술지원(’25년 46억원)과 공공연-기업 간 공동 R&D를 지원(1년 이내)하는 심화기술지원(2025년 34억원)으로 나뉜다. 기술애로분석·단기기술지원은 연중 애로사항 접수 및 기술지원을 실시하며, 심화기술지원은 공고를 통해 총 30개 과제를 선정, 지원할 예정이다. 융합혁신지원단은 2020년 4월 출범 이후 2024년 12월까지 5천여 개 기업, 1만3천여 건의 기술 애로를 지원했으며 이를 통해 수요기업의 기술력 향상, 사업화를 통한 매출액 증가 및 신규고용 증진 등 중소 소부장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올해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소부장 기업지원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상황”이라며 “기존의 업종별 지원
문화 선도산업단지 선정 및 집중 지원, 성공 모델 창출을 위한 발걸음 정부는 2025년 문화선도 산업단지(3개소)를 선정하기 위한 통합공모를 2024년 12월 23일부터 2025년 2월 20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며, 범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문화를 담은 산업단지 조성계획’의 후속 조치로 이루어진다. 문화선도 산업단지 공모는 준공 및 운영 중인 전체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하며, 광역지자체가 기초지자체와 연합체를 구성하여 산업단지별 특성, 입지 여건, 근로자 구성 등을 반영한 조성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각 시·도당 최대 2개 산업단지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 이후에는 각 부처가 추천한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서면 평가, 현장 실사, 발표 심사를 통해 3개소를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산업단지에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지역문화진흥원, 국토연구원 등 관계기관의 컨설팅이 제공되어 세부 사업계획을 보완하고, 내년 4월에 협약이 체결될 계획이다. 문화선도 산업단지에는 산업단지 통합브랜드 개발, 상징물 조성, 구조 고도화 사업, 재생 사업, 특화 문화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패키지 지원이 이루어진
에이비일팔공(AB180)이 국내 모바일 게임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성공 전략을 공유하는 ‘플레이 글로벌(Play Global)’ 컨퍼런스를 성료했다고 8일 밝혔다. 에어브릿지(Airbridge), 몰로코(Moloco), 센서타워(Sensor Tower), 투앤드어하프게이머즈(Two & a half gamers)가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는 지난 7일 서울 강남구에 소재한 센터필드 빌딩에서 열렸다. 국내 모바일 게임 마케터 및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하는 등 높은 관심 속에 진행됐다. 총 6개 세션으로 구성된 행사에서는 ▲하이브리드 & 하이퍼 캐주얼 게임의 광고 수익화 사례 ▲게임 크리에이티브 및 글로벌 시장 트렌드 ▲글로벌 확장을 성공적으로 이끈 게임사의 성공 노하우 등 다양한 실전 정보와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공유했다. 핵심 연사로 나선 에어브릿지 손상혁 데이터 사이언스 팀 리더는 마케터의 고민 중 하나인 광고 수익 최적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손 리더는 인앱 강제 광고 등에 있어 과거 A/B 테스트를 통해 찾아낸 광고 전략이 여전히 유효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설명하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A/B 테스트 결과와 유저 세그
LG전자가 지난해 수요 부진 지속과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도 최대 매출액을 경신했다. LG전자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3조4304억 원으로 전년보다 6.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87조7천442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다. 그러면서 2022년(82조5천215억원) 이후 2년 만에 최대 연간 매출 기록을 새로 썼다. 지난 4년간 LG전자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10% 이상으로 집계됐다. LG전자는 “지난해 가전 구독이나 D2C(소비자직접판매) 같은 사업 방식의 변화가 주력사업의 한계를 돌파하는 원동력으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했다”며 “B2B(기업 간 거래) 사업의 성장 또한 지속되며 전사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주력 사업이자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생활가전은 2년 연속 매출액 30조원 돌파가 유력하다. 공감지능(AI) 가전 및 볼륨존 라인업을 확대하고, 고객 수요 변화에 맞춰 구독, D2C 등으로 사업 방식을 다변화한 결과다. B2B 영역인 냉난방공조(HVAC), 빌트인, 부품 설루션 등의 성장도 꾸준하다. TV 사업은 전반적인 수요 회복 지연에도 유럽 등 프리미엄 시장 수요는 점진적으로
위베어소프트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5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선정을 통해 위베어소프트는 데이터 활용과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에게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API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위베어소프트는 이번 사업에서 △데이터의 API화 △대량 데이터 처리 및 관리 효율성 강화 △API 등록 및 활용 간소화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기능 제공 △보안성과 성능을 갖춘 데이터 생태계 구축 등 핵심적인 개선 사항을 수요기업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업들의 데이터 기반 서비스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장영휘 위베어소프트 대표이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 데이터 활용과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위베어소프트의 미들웨어 솔루션 ‘OSORI’는 보안성과 성능, 확장성 면에서 기업들에게 안정적인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선정을 통해 위베어소프트의 기술력을 입증하고, 데이터 활용이 필요한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위베어소프트는 2021년 티맥스소프트의 핵심 연구원들이 설립한 미들웨어 전
밴티크(Vantiq)는 한국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 및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할 리더로 이형근 한국 지사장을 선임했다고 8일 밝혔다. 미국 실리콘 밸리에 본사를 둔 밴티크는 생성형 AI와 실시간 데이터 기술을 결합해 복잡하고 중요한 문제 해결과 인간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한다. 그 외에도 밴티크의 플랫폼은 복잡한 IT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며, 실시간 변화하는 환경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일본 소프트뱅크는 도쿄 다케시바 스마트 빌딩 프로젝트에서 밴티크 플랫폼을 활용해 건물 관리 시스템을 단기간에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이 프로젝트는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내의 모든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고, 생성형 AI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사용자 경험을 혁신적으로 향상시켰다. 이 성공을 계기로 소프트뱅크는 밴티크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직접 투자를 단행했고, 이를 통해 밴티크는 글로벌 기술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했다. 밴티크 플랫폼은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분석, 처리하며 생성형 AI를 활용해 기업이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기술
2024년 2분기와 3분기 전국 산업단지 현황 통계를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산업단지의 조성 및 분양 상황에서 소폭의 변화가 나타났다. 국가 산업단지의 경우, 2분기에는 51개 단지가 있었으나 3분기에는 52개로 증가하였다. 지정 면적은 788,518 천㎡에서 789,624 천㎡로 증가하였고, 관리면적도 482,609 천㎡에서 483,545 천㎡로 소폭 상승하였다. 산업시설구역의 전체 면적은 306,881 천㎡에서 307,639 천㎡로 증가하였으며, 분양 대상 면적은 283,481 천㎡에서 284,242 천㎡로 늘어났다. 분양 면적은 276,045 천㎡에서 276,712 천㎡로 증가하였고, 미분양 면적은 7,436천㎡에서 7,530천㎡로 증가하여 분양률은 97.4%로 유지되었다. 일반 산업단지는 2분기 735개에서 739개로 증가하였고, 지정 면적은 576,038 천㎡에서 577,449 천㎡로 소폭 증가하였다. 관리면적은 566,942 천㎡에서 568,437 천㎡로 증가하였으며, 산업시설구역의 전체 면적은 348,864 천㎡에서 349,590 천㎡로 증가하였다. 분양 대상 면적은 275,142 천㎡에서 275,437 천㎡로 소폭 증가하였고, 분양 면적은 2
엔드레스하우저와 SICK가 프로세스 자동화 부문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가스 분석 및 유량 측정 솔루션을 강화했다. 이 협력은 플랜트 효율성 향상, 환경 보호, 탄소발자국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 산업 고객들에게 보다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SICK의 약 800명의 영업 및 서비스 임직원들은 엔드레스하우저에 소속되어 전문성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엔드레스하우저는 글로벌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기존 시장을 확대하고 신규 고객을 발굴하며, 한층 더 고도화된 기술 솔루션을 제공할 전망이다. 양사는 R&D 및 제조를 위해 합작 투자 회사인 Endress+Hauser SICK GmbH+Co. KG를 설립한다. 이 회사는 독일에 기반을 두고 약 730명의 직원을 고용하며, 2025년 3월 1일부터 양사가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시장 요구를 충족하고 제품 혁신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엔드레스하우저는 2025년 1월 1일부터 SICK의 가스 분석 및 유량 측정 솔루션을 독점적으로 제공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기술적인 이유로 전환 일정이 조정된다. 중국은 2025년 3월, 터키와 사우디아라비
국토교통부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및 '생활 물류 서비스산업 발전법' 시행령 개정안이 1월 7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교통약자법' 개정안은 다음과 같다. 강력범죄자에 대한 장애인콜택시 운전 및 소화물 배송서비스 종사를 제한하는 안을 신설하여 성범죄자, 마약사범 등 강력범죄 전력이 있는 사람의 취업을 최대 20년간 제한하며 특별교통수단 운전원을 고용하려는 기관은 관할 경찰서를 통해 결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교통약자 서비스 교육 대상에 전세버스 등 추가, 교통 복지지표 항목을 신설하여 기존 저상버스, 항공, 철도 승무원 및 선박의 선원을 대상으로 하던 교육을 시내, 시외, 마을, 전세, 수요응답형 버스를 포함한 모든 버스 운전자와 택시 운전자로 확대하며, 버스, 지하철과 같은 교통수단이나 터미널, 철도 역사와 같은 여객시설의 이동 편의와 보행 환경 수준을 지역별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교통 복지지표의 조사 항목 신설했다. '생활 물류 서비스법' 개정안은 다음과 같다. 소화물 배송 대행 서비스사업 종사 제한 안을 신설하여 성범죄 및 강력범죄 등의 전력이 있는 사람은 범죄별 경중에 따라 2~20년간 소화물 배송 대행 서비스사업에 종사할 수
투자 전문 액셀러레이터 씨엔티테크(CNT테크)가 오는 17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2024 초기창업패키지 로켓십 IR 경진대회 데모데이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창업 초기 스타트업들의 투자유치를 돕고 시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이 시행하는 초기창업패키지는 창업 3년 이내의 유망 초기기업을 대상으로 사업화 자금과 창업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씨엔티테크는 지난 2020년부터 주관기관으로 참여해 초기기업들에게 시장 진입, 초기 투자, 실증 검증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며 성공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씨엔티테크는 초기창업패키지 선정 및 졸업기업의 투자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한국앤컴퍼니, 헥토그룹, 조이시티, DB그룹과 협력해 2024년 8월부터 11월까지 IR 경진대회를 진행했으며, 매월 3개씩 총 12개 우수기업을 선정했다. 이번 데모데이에는 에이드올(뉴로모픽 On-Device AI 기반 시각장애인 길 안내 솔루션), 와이드유즈(AI-RPA 기반 스마트 물류 솔루션), 네이처모빌리티(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커런시유나이티드(다이렉트 환전 서비스 큐닛), 트윈위즈(항균/항바이러스 첨가제), 인슈딜(보험증권 가치평가
‘K콘텐츠 연합’ 케이웨이브미디어(K Wave Media Ltd., 舊 케이엔터홀딩스)가 오는 2월 중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하며 글로벌 무대에 첫발을 내디딜 예정이다. 이는 국내 드라마, 영화, 음악을 아우르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서 최초의 사례다. 케이웨이브미디어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승인한 스팩(SPAC) 합병 절차를 통해 나스닥 상장을 진행 중이다. 기존의 사명을 케이엔터홀딩스에서 케이웨이브미디어로 변경했으며 종목코드 ‘KWM’으로 거래를 시작할 계획이다. 내달 초 주주총회에서 글로벌스타 애퀴지션(Global Star Acquisition)과의 합병 안건이 최종 승인되면 모든 상장 절차가 마무리된다. 이러한 나스닥 상장은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더불어 기업 신뢰도 확보, 글로벌 영향력 강화 등 다방면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케이웨이브미디어는 이를 계기로 원천 IP(지식재산권) 확보, 콘텐츠 확장, 수익 다각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케이웨이브미디어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K-콘텐츠의 가치를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며 “문화와 기술의 경계를 허물고 지속 가능하면서
Microchip Technology가 새로운 보안 플랫폼 솔루션인 CEC173x Trust Shield 제품군을 소개하는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 이 제품군은 실시간 플랫폼 Root of Trust (RoT) 장치로, 데이터 보안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다양한 첨단 기술을 탑재했다. CEC173x Trust Shield 제품군은 특히 SPI 버스 모니터링, 라이프사이클 관리, 디바이스 증명, SRAM 기반 PUF(물리적 복제 방지 기능), 위기 복구 메커니즘 및 부채널 공격 방어 기술 등을 지원하며, IoT, 데이터 센터, 통신 장비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번 온라인 세미나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CEC1712/Soteria-G2 및 CEC1736 RoT의 구체적인 기능과 개발 프로세스가 소개될 예정이다. 세미나 진행은 Microchip Technology Korea의 엄명흠 프린시펄 임베디드 솔루션 엔지니어가 맡는다. 엄명흠 수석은 Atmel과 Microchip에서 쌓아온 풍부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보안 설계 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세미나 후반부에는 실시간 Q&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