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시스템즈(OutSystems)가 ‘아웃시스템즈 (Agent Workbench)’의 EAP(Early Access Program) 프로그램을 17일 공개했다. 에이전트 워크벤치는 기업 내 다양한 부서의 워크플로우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능형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기업 수준의 보안과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아웃시스템즈의 고성능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에이전트 워크벤치는 AI와 사람 간 협업을 원활하게 이끌어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드슨 마틴아웃시스템즈 CEO는 “기업들은 AI와 에이전틱 시스템에 큰 기대를 가지고 있지만 기대와는 달리 끝없는 파일럿 프로젝트와 관리되지 않는 도구의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로 인해 비즈니스 성과가 정체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또한 레거시 시스템, 분리된 데이터, 단편화된 AI 도구, 복잡한 AI 개발 주기가 진행 속도를 지연시키고 있다”며 “우리는 에이전트 워크벤치를 통해 맞춤형 에이전트가 단순히 시험적인 단계에서 벗어나 실제 비즈니스 효율성을 위한 도구로 전환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아웃시스템즈 에이전트 워크벤치는 기업들이 AI 에이전트를 손쉽게 생성하고 기존의 비즈니스
이상경 국토교통부 제1차관이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참석차 방한한 모하메드 알리 알 쇼라파(Mohammed Ali Al Shorafa) 아부다비 자치행정 교통부 의장을 만나 한국과 UAE 간 도시 및 교통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면담을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 발주가 예상되는 아부다비에 우리 기업의 진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아부다비, UAE 경제발전 주도 핵심 토후국 아부다비는 UAE 면적의 86%를 차지하며, UAE 석유 매장량의 94%를 점유하는 핵심 토후국으로 UAE의 경제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아부다비의 국토 교통과 자치행정 업무를 관장하는 아부다비 자치행정 교통부와 고위급 면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소 생산 및 충전 관련 기술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이어왔다. 한국의 첨단 스마트시티 기술 및 경험 공유 이 차관은 이 자리에서 “한국은 AI, 디지털트윈, 로봇 등 첨단 기술을 도시 전반에 적용하여 효율적인 도시 운영이 가능한 미래 도시 모델을 만들고 있다”고 한국의 스마트시티 역량을 소개했다. 이어 “한국의 도시개발 기술과 경험을 통해 아부다비를 친환경 미래 도시로 가꾸어 나가는 데 적극 협력하겠다
에이치엔아이엑스(HNIX)는 티맥스티베로와 DBMS 시장경쟁력 강화 및 혁신적 시너지 창출을 목표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제휴를 넘어 국내 DBMS 생태계 확대와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위한 실질적 파트너십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DBMS 솔루션 시장 확대 ▲영업·기술 지원 시너지 극대화 ▲DBMS 시장 내 경쟁력 강화 등 다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각 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영업망을 결합해 DBMS 솔루션의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와 고객 맞춤형 서비스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HNIX는 티맥스티베로의 주력 제품인 ‘Tibero’의 판매 기회를 적극 확보하고, HNIX 고객사 및 양사가 합의한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정보 공유와 신규 고객 발굴에 집중한다. 티맥스티베로는 HNIX가 제안한 고객사에 대한 영업권을 보장하고, Tibero 판매에 대한 영업 및 기술 지원에 적극 협조한다. 아울러 양사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동향과 다양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유해 시장 대응력과 사업 추진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공
전자문서 기업 유니닥스가 7월 17일 자사의 PDF 편집 소프트웨어 ezPDF Editor 4.0을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유니닥스는 이번 등록을 통해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대상의 공급 확대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디지털서비스몰은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인공지능 솔루션 등을 공공기관이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용 조달 플랫폼이다. ezPDF Editor 4.0은 지난 6월 GS인증 1등급을 획득한 데 이어 이번 등록으로 공공시장 진입 기반을 마련했다. 제품은 윈도우 환경의 PC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1년 사용권과 영구사용권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업체 관계자는 이번 제품에 문서 비교, 텍스트 음성 변환(TTS), 파일 원본 첨부 기능,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ezPDF Editor 4.0은 기존 3.0 제품처럼 합리적인 가격대를 유지하며, 기업용 제품도 곧 공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즈업 세줄 요약] ·국내 금융권,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율 92%… 전략 자산으로 자리매김 ·AWS “AI 혁신 위한 클라우드 예산 확대, 다양한 모델 선택이 경쟁력” ·케이뱅크 “MSA·프라이빗 AI 인프라로 금융 서비스 차별화 추진”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지난 16일 서울 역삼 센터필드 EAST에서 AWS 금융 전략 및 IDC 연구 공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AWS가 IDC와 공동으로 수행한 ‘2025 한국 금융권 클라우드 이용 현황’ 조사 결과가 발표됐으며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과 생성형 AI 전략을 중심으로 금융 산업의 기술 혁신 방향이 제시됐다. AWS 금융 사업부 총괄 노경훈 상무는 "2023년 금융권 IT 예산은 9조4000억 원 규모로, 2024년에는 1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국내 금융기관의 92%가 클라우드를 도입했으며 그중 64%는 실제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프로덕션 환경에서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클라우드가 실험의 장에서 벗어나 전략적 IT 자산으로 자리 잡았고 금융권의 53%가 AWS를 활용 중"이라고 설명했다. IDC 조사에 따르면, 클라우드 예산 확대의 주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최근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수도권은 전반적인 상승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서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지방은 광역시 일부가 상승했지만 8개 도 지역에서는 하락하는 등 지역별로 상이한 흐름을 나타내며 혼조세를 보였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 동향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동일하게 0.03%의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서울은 지난주 0.08%에서 소폭 둔화한 0.07% 상승하였다. 일부 입주 물량의 영향으로 전세가격이 하락하는 지역도 있었으나,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며 서울 전체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강북 14개 구는 0.05% 상승하였다. 광진구(0.14%)는 자양·광장동 학군지 위주로, 용산구(0.13%)는 이촌·문배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폭을 키웠다. 또한 도봉구(0.08%), 노원구(0.07%), 동대문구(0.06%) 등에서도 상승이 관측되었다. 강남 11개 구는 0.08% 상승하였다. 서초구(-0.18%)가 잠원·반포동 위주로 하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송파구(0.27%)는 잠실·방이동 대단지, 강동구(0.22%)는 고덕·둔촌동 주요 단지, 강서구(0.1
로옴(ROHM)은 동작 시의 회로전류를 업계 최소로 억제한 초소형 CMOS OP Amp ‘TLR1901GXZ’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로 구동하는 휴대용 계측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 실내용 검출기 등 소형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측 검출 앰프용으로 적합하다. 본 제품은 ball pitch를 0.35mm까지 좁힌 WLCSP를 채용함으로써 1mm×1mm 이하의 초소형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동작 시의 회로전류를 업계 최소인 160nA (Typ.)로 억제해 초저소비전류화를 실현했다. 이에 따라 한정된 면적에서의 고밀도 실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장수명화 및 장시간 구동에도 기여한다. 또한 입력 오프셋 전압은 저소비전류 OP Amp로는 0.55mV로 매우 낮아, 일반품 대비 약 45% 저감을 실현했다. 입력 오프셋 전압 온도 드리프트※3도 최대 7µV/℃를 보증해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기기에서도 고정밀도 동작이 가능하다. 로옴의 범용 저항기인 초소형 MCR004(0402 사이즈) 및 MCR006(0603 사이즈)을 OP Amp의 게인 조정 등 주변부품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한차원 높은 설계 자유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040
국토교통부가 미래 철도 인재 양성을 위해 구로 철도 관제센터의 첨단 모의 관제 시설을 활용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철도 관련 대학 등 교육기관에 시설을 개방하고, 철도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실무 중심의 관제 교육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오는 7월 18일부터 참여 대학을 모집한다. 모의 관제 시설을 통한 현장 실무 교육 강화 이번에 개방하는 모의 관제 시설(Full Type Simulator)은 실제 철도 관제 환경을 정밀하게 구현한 훈련 시스템이다. 철도 관제사 교육 및 훈련을 위해 2024년 12월 국비 36억 원을 투입하여 구축되었다. 해당 시설은 세 가지 주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첫째, 모의 관제시스템은 현행 관제 콘솔과 동일한 환경에서 열차 통제 및 조정, 설비 제어, 상황 전파 등 모의 관제 업무를 수행한다. 둘째, 교관 제어시스템은 다양한 관제 상황을 입력하여 실시간 교육 및 훈련 관리, 평가를 진행한다. 셋째, 교육 지원시스템은 각종 이론 교육과 열차 스케줄 조정, 신호 및 선로전환기 취급 등 열차집중제어 기능 실습을 지원한다. 국가 철도 관제센터 운영 기관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이 첨단 모의 관제 시설을 활용하여 철도 관련 학과 학
다올티에스는 16일 서울 역삼동 본사에서 ‘다올TS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기업용 AI 플랫폼 전략과 자사 에이전트형 AI 서비스의 최신 기술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다올TS의 홍정화 대표와 장윤찬 부사장, 파트너사 애자일소다(AgileSoDA)의 최대우 대표 및 임은희 상무 등이 참석했다. 다올TS는 발표를 통해 “AI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목표 지향적 자율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다”며 급변하는 AI 생태계 속에서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트렌드를 제시했다. 특히 모든 소프트웨어가 AI 중심으로 재 작성되는 흐름 속에서 SW 개발 및 R&D 분야를 중심으로 생성형 AI(GenAI)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기존의 챗봇을 넘어선 에이전트형 AI가 실제 기업 업무에 적용되며 조직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올TS는 자사의 AI 팩토리 PoC 센터를 통해 ▲AI 인프라 최적화 ▲대규모 언어모델(LLM) 시뮬레이션 ▲데이터 전처리 기술 등을 테스트 및 검증하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AI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날 다올TS는 자사의 AI 통합 어플라이언스 브랜드 ‘Daol Fusion
AI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기업들이 도입을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는 GPU 등 인프라 구축 비용으로 나타났다. 오케스트로는 지난 6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업 및 공공기관 종사자 6615명을 대상으로 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AI 활용방안’ 설문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AI 도입 시 가장 큰 제약 요인은 GPU 등 기술 도입 비용(23.5%)이었다. 이어 전문 인력 부족(22.6%), 데이터 보안 우려(14.4%)가 뒤를 이었다. AI 도입은 초기 구축비도 크지만 사용량 기반의 과금 구조로 인해 장기적인 총소유비용(TCO) 부담이 크다. 여기에 AI 학습과 운영에 활용되는 핵심 데이터가 외부 클라우드에 저장되면서 보안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비용과 보안이라는 이중 부담 속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 AI 환경의 한계가 분명해지면서 내부 데이터를 활용한 프라이빗 AI 환경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AI에 대한 기대 역시 현실적인 해법에 집중됐다. ‘비용 최적화’와 ‘실시간 보안 대응’이 각각 20.7%로 가장 높았고, ‘장애 원인 분석’(17.1%)과 ‘성능 병목 해소’(15.9%)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기대는 기업이 실
KT와 고려대학교가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삼성관에서 AICT 분야 공동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고 실질적인 사업화를 위한 워크숍을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는 KT 기술혁신부문장 오승필 부사장과 AI Future Lab장 배순민 상무를 비롯한 주요 임원진과 고려대학교 윤성택 연구 부총장, 김정현 정보대학장 등이 참석했다. 또 1년 여 간 진행된 15개 공동 과제를 수행해 온 교수진 및 양 기관의 연구진 등 총 20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함께 참여했다. 이날 행사는 KT와 고려대가 지난해 7월 체결한 ‘AICT 공동연구센터’ 설립 협약을 기반으로 마련됐다. 원천 기술 연구와 확보를 넘어 실제 사업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 성과 발표가 진행된 후에는 과제별 심층 토론과 함께 참석자 간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소통의 자리가 이어졌다. KT와 고려대의 산학 공동 연구는 급변하는 AI 혁신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해 2~3년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시각의 연구보다는 실질적인 사업 활용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춰 이뤄졌다. 선진적인 기술 확보에서 나아가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해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빠르게 확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취지다. KT는 고
‘AGI, 지성과 생명을 품다’ 주제로 의료·교육 영역에 부여된 AI의 가치 조명해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술이 의료와 교육 현장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를 조명하는 ‘AI BUS 2025 : AI BUSAN’ 행사가 7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렸다. 올해 슬로건은 ‘AGI, 지성과 생명을 품다’로, AI의 실질적 가치가 의료와 교육 등 인간 중심의 영역에서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이번 행사는 의료 AI와 교육 AI를 테마로 양일간 운영되며, AGI의 실질 적용 사례, 기술적 진전, 정책 및 산업적 연계에 이르는 폭넓은 담론이 오갔다. 첫째날인 15일은 ‘AGI, 환자 옆에 선 두 번째 의사’를 주제로 의료 현장에서의 활용 사례를 조망했고, 이튿날인 16일은 ‘AGI, 교실에 들어온 두 번째 교사’를 주제로 교육 현장의 변화 가능성을 다뤘다. 행사 첫날은 성상민 부산대병원 융합의학기술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됐다. 기조연설에서는 차동철 네이버헬스케어연구소 의료혁신센터장이 ‘AI, 일상에 건강을 더하고 의료를 혁신하다’를 주제로 의료의 일상화를 견인하는 AI의 역할을 소개했다. 전문가 세션에서는 조민성 AWS
에이전트의 역할 정의, 데이터 접근 권한 설정, 작업 수행 범위 통제 등 지원 워크데이가 기업 내 AI 에이전트 도입과 통합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워크데이는 17일 글로벌 기술 기업과 함께하는 ‘워크데이 에이전트 파트너 네트워크’를 공식 발표하고, AI 에이전트 관리와 연동을 지원하는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ASOR)’ 및 ‘에이전트 게이트웨이’를 함께 공개했다. 이번 파트너 네트워크에는 액센츄어, 어도비, AWS, 구글 클라우드, IBM, 마이크로소프트, KPMG, 딜로이트, PwC를 비롯해 Auditoria.AI, Compa, Paradox, WorkBoardAI 등 글로벌 기업이 대거 참여했다. 이들은 워크데이 ASOR와 연동 가능한 AI 에이전트를 공동 개발하며, 인사·재무 업무의 지능화와 자동화를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워크데이 ASOR는 AI 에이전트를 인력처럼 관리하는 전용 시스템으로, 에이전트의 역할 정의, 데이터 접근 권한 설정, 작업 수행 범위 통제, 성과 측정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즉, 사람이든 에이전트든 동일한 플랫폼 안에서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예를 들어, 워크데이 채용 시스
명확한 사양 기반의 구조화한 개발 방식으로 생산성 및 신뢰성 동시 확보 아마존웹서비스(AWS)가 7월 18일,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자동화하는 통합 개발 환경(IDE) ‘키로(Kiro)’의 프리뷰 버전을 공식 출시했다. 키로는 초기 아이디어부터 운영 환경 배포까지 개발 전 단계를 자동화하며, 기존 AI 코딩 툴의 한계를 넘는 에이전트형 개발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키로의 가장 큰 차별점은 단순한 자연어 기반 코드 생성 기능을 넘어, 명확한 사양 기반의 구조화한 개발 방식을 통해 생산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리뷰 기능을 추가하세요’와 같은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시스템은 사용자 스토리와 수용 기준을 자동 도출하고, EARS 형식 기반의 요구사항을 명세해 기능 구현의 경계를 명확히 설정한다. 이후 키로는 자동화한 기술 설계를 통해 데이터 흐름도, 타입스크립트 인터페이스, DB 스키마, API 엔드포인트를 생성한다. 코드 설계와 문서화가 통합되며, 팀 내 협업 효율성과 유지보수 편의성도 향상된다. 작업 단위로는 단위 테스트, 모바일 호환성, 접근성 등 다양한 구현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작업은 실시
국산 오픈소스 AI 코딩 도구 ‘캐럿(Caret)’이 지난 7월 15일 첫 공개 기술 밋업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기업용 및 교육 시장을 겨냥한 기술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프로젝트의 오픈소스 기여자 모집에도 본격 착수하며 개발자 커뮤니티의 참여 기반을 넓히고 있다. 캐럿은 글로벌 AI 코딩 도구 ‘커서(Cursor)’의 대안으로 주목받는 국내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특히 외산 툴의 높은 비용과 내부 소스 유출 우려로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 환경을 고려해 안전한 AI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VS Code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 기업 현장과 교육기관을 위한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하다. 캐럿은 삼성전자도 도입한 AI 코딩 엔진 ‘클라인(Cline)’을 기반으로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했고, 자체 시스템 프롬프트 개선을 통해 성능을 끌어올린 동시에 비용을 낮췄다. 하드코딩 구조도 개선해 다국어 지원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펄스나인의 가상 아이돌 ‘이터니티’나 OS-Tan과 같은 캐릭터 페르소나를 코딩 에이전트에 적용한 기능은 코딩의 몰입도와 교육적 흥미를 동시에 확보하는 요소로 주목받았다. 이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