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재도약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 기본계획(2026~2030)’을 확정했다. 이번 계획은 혁신 역량, 시장 역량, 생태계 역량 등 3대 핵심 역량 강화를 골자로 한다.
정부는 24일 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4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위원회에서 해당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새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수요·공급기업이 집적된 국내 대표 생산 거점인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를 2030년까지 10곳 추가 지정한다. 또한 세계 최초·최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15대 ‘슈퍼乙(을) 프로젝트’와, AI를 활용해 극한 환경용 신소재 등 기존 물질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신소재를 개발하는 5대 AI 신소재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아울러 수요·공급기업 간 기술·생산·구매 협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소부장 품목의 공급망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10대 완성형 협력모델을 추진한다. 정부는 신규 협력모델 3건을 선정해 향후 5년간 총 35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기본계획은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정부가 추진해온 소부장 자립화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다. 당시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산업법’을 전면 개정하고, 2020년 10월 제1차 소부장 기본계획을 수립해 대외 의존형 기술의 국산화를 추진해왔다.
새롭게 수립된 이번 제2차 기본계획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첨단산업 육성과 경제안보 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담았다. 특히 AI, 반도체, 탄소중립 등 산업 전환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경쟁력 강화위원회에서는 기본계획 외에도 ▲소부장 특화단지 종합계획(2026~2030) ▲공급망안정화기금의 소부장 지원 방안 ▲3건의 수요·공급기업 협력모델 등 총 4개 안건이 함께 심의·의결됐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근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전과 혁신, 속도를 중시하는 전략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정부는 재정, 기금, 펀드 등 마중물 투자를 확대하고 공급망 안정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