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임원 3명 중 1명은 AI가 사람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인력 채용을 대체하겠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HR 통합 플랫폼 딜(Deel)이 명함 앱 ‘리멤버’에 의뢰해 지난 6월 11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기업 임원급 인사 24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내 경영진 3명 중 1명(32.5%)은 AI가 더 높은 효율성을 입증할 경우 인력 채용을 AI로 대체할 의향이 있다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절반 이상(56.7%)은 우선 추이를 지켜본 후 결정을 내리겠다고 답했다. 이 중 응답자의 75%는 AI 대체 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직군으로 신입 지원자가 지배적이었고, 이어 중간 관리직(22%)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응답자의 약 절반(47%)이 AI의 도입이 채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8%는 AI의 도입이 채용에 매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답했다. AI 도입으로 가장 영향을 받는 직무로는 개발·엔지니어링(35%)이 1위, 고객 지원(21%), 회계·법무 등 백오피스(18%)가 뒤를 이었다. 또한 67%의 응답자는 “AI가 코딩 작업을 지원함으로써 개발자 수요를 줄이고 있다”고 답했다.
급변하는 CAD 시장, 새롭게 요구되는 ‘효율적 혁신’ 현재 컴퓨터지원설계(CAD) 기술은 제품 설계, 건축, 엔지니어링, 제조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변혁기를 맞은 글로벌 CAD 시장은 인공지능(AI),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클라우드 컴퓨팅, 빌딩정보모델링(BIM), 3D 스캔 데이터 통합 등 최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추세다. 최근 CAD 시장의 주요 이슈는 AI와 머신러닝이 설계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원격 근무 환경 확산과 글로벌 협업 증가로 클라우드를 통한 실시간 설계 공유 및 협업 기능이 핵심 역량으로 부상하고 있다. 건축 및 건설 분야에서는 설계·시공·유지보수 등 전 생애주기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BIM의 도입이 의무화되거나 권장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호환성, 특히 DWG(Drawing) 파일의 충실도와 특정 공급업체(Vendor)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적인 생태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2차원(2D)에서 3차원(3D)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는 ‘인공지능(AI) 기반 엔지니어링(AI-powered engineering)’을 주제로 한 ‘함께 만드는 혁신(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 이하 EIT)’ 기술 시리즈 최신호를 공개했다. 이번 시리즈는 AI(Artificial Intelligence)의 역량과 인적 전문성을 조화롭게 활용하는 방안을 다루고 있다. 현재 AI 기반 툴은 엔지니어들이 복잡한 설계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전례 없는 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AI는 시간 소모가 많은 분석 작업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설계에 대한 인사이트를 더욱 신속하게 도출함으로써 엔지니어들이 더 높은 수준의 과제를 해결하고 기술적 경계를 확장하며 보다 정교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등 본연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생성형 AI와 예측 모델링 기술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통찰력과 기계 지능(machine intelligence, MI) 간의 시너지는 엔지니어링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은 물론, 혁신을 실현할 수 있는 속도 또한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엔지니어들은 이러한 기술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기술의 경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가 ‘Expedite – Skills for Industry’ 자격증을 24일 공개했다. 이는 4가지 과정의 전면 온라인 마이크로 자격증으로, 엔지니어링 이론과 실무 기술을 연결해 학생들이 산업 현장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자격증은 주요 트렌드, 비즈니스 프로세스, 기술 기반 업무 환경을 포함하며 산업 관련 기술에 대한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졸업생이 미래 수요를 충족하는 역량을 갖춘 인력으로서 확신을 가지고 현장에 투입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미래 인력 및 아카데미 전략 담당 수석 디렉터인 도라 스미스는 “지멘스의 신규 자격증은 기술 기반 채용 관행에 점점 더 의존하는 인재 채용의 변화에 대응한다”며 “최근 시장은 정식 학위 프로그램을 보완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전문성과 견고한 기술을 입증하고 적용할 수 있는 지원자를 찾고 선호한다”고 전했다. 이어 “마이크로 자격증은 검증된 기술을 증명하는 압축된 교육 과정으로 수료 완료 시 인증 가능한 디지털 배지를 제공한다”며 “구직자에게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자신을 차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껴쓰고 다시쓰는 지속가능한 청정 기술(Reduce, Reuse, Reimagine Tech)’을 주제로 하는 ‘함께 만드는 혁신(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 EIT)’ 기술 시리즈 최신호를 공개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미래를 위한 혁신적인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환경에 기여하는 청정 기술을 심도 있게 다룬다. 지속 가능성을 위한 엔지니어링 기술은 재생 에너지 혁신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농업, 운송, 폐기물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사물 인터넷(IoT), 태양광 발전, 데이터 기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전 세계 산업계는 전력 생산 및 소비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엔지니어들은 디지털 포용성과 친환경 컴퓨팅을 구현해 기기의 수명, 복구 용이성, 효율성을 중심으로 전자 제품 설계에 대한 접근방식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있다. 설계 프로세스에 지속 가능성 원칙을 도입하는 것은 새로운 차원의 혁신적인 기회를 열어준다. ‘인간을 잇는 기술(The Tech Between Us)’ 팟캐스트에서는 마우저의 레이몬드 인 기술 콘텐츠 디렉터
매스웍스는 국내 대학생들이 인공지능(AI)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AI 기술 활용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제5회 매트랩(MATLAB) 대학생 AI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라면 누구나 개인 또는 팀으로 참가할 수 있다. 오는 5월 30일까지 참가 신청을 받으며 예선에서는 프로젝트 주제 설명과 매트랩을 활용한 솔루션 구현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최종 우승자는 9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 참가자들에게는 AI 기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매트랩과 시뮬링크(Simulink)를 포함한 다양한 매스웍스 제품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매스웍스는 예선 통과자를 대상으로 매스웍스 엔지니어가 직접 진행하는 온라인 교육을 개최할 예정이다. 온라인 교육에서는 ‘딥러닝 온램프(Deep Learning Onramp)’와 같은 자기 주도형 온라인 교육과정을 활용해 학생들이 매트랩의 다양한 기능을 보다 쉽게 탐색하고, 실제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제공받는 기회가 마련될 예정이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한 이번 대회는 대학생들이 매트랩과 시뮬링크를 활용해 실
유네스코·세계엔지니어링기구협회와 협력체계 구축 1년간 시행되는 ‘세계 엔지니어링의 날’ 허브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한다 다쏘시스템이 가상 환경 ‘버추얼 트윈(Virtual Twin)’을 통해 글로벌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할 방침이다. 다쏘시스템은 유네스코(UNESCO)·세계엔지니어링기구연맹(WFEO) 등과 협력해 버추얼 트윈 기반 비즈니스 혁신을 촉진하고, SDGs 달성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지난 3월부터 내년 3월까지 운영되는 ‘세계 엔지니어링의 날(World Engineering Day 이하 WED)’ 허브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다쏘시스템은 1년 동안 행사·영상·기사 등 각종 콘텐츠를 기획·진행해 엔지니어링의 중요성과 기술이 지속 가능한 혁신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강조할 계획이다. 특히 17가지 SDGs 목표 중 4번 ‘양질의 교육(Quality Education)’, 12번 ‘책임 있는 소비·생산(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3번 ‘기후 변화 대응 (Climate Action)’ 등 달성에 집중한다. 이 과정에서 고객 지원
듀폰이 최근 전자&산업 부문 사장인 존 켐프를 전자사업 분사 이후 설립될 독립 상장회사(가칭 ‘전자회사’)의 최고경영자(CEO) 및 이사회 구성원으로 내정했다고 발표했다. 신설 전자회사는 반도체 및 전자 산업을 위한 첨단 소재 및 기술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오는 11월 1일 출범할 예정이다. 에드 브린 듀폰 이사회 의장은 “존 켐프는 전자 산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입증된 리더십을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전자회사의 CEO로서 최적의 인물”이라며 “그의 탁월한 경영 역량은 향후 독립 상장기업으로서 지속 가능한 성장과 주주 가치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존 켐프는 “우리는 지난 수십 년간 전자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 혁신에 집중해왔다”며 “고성능 컴퓨팅과 연결 기술이 핵심이 되는 중요한 전환기에 신설 전자회사는 소재과학과 엔지니어링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파트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듀폰은 아반토(Avantor)의 사장 겸 CEO인 마이클 스터블필드를 신설 전자회사의 비상임 이사회 의장으로 내정했다. 해당 임명은 분사 완료 시점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알렉산더 M. 커틀러 듀폰 수석 독립
매스웍스가 8일 코엑스 그랜드 볼룸 및 아셈볼룸에서 ‘매트랩 엑스포 2025 코리아’(MATLAB EXPO 2025 Korea)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1500명 이상의 국내외 기술 전문가, 매트랩(MATLAB)과 시뮬링크(Simulink) 사용 고객이 참석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최신 기술 및 엔지니어링 트렌드를 확인했다. 행사는 아비 네헤미아 매스웍스 설계 자동화 소프트웨어 부문 총괄 디렉터와 정병찬 한화로보틱스 대표이사의 기조연설로 시작됐다. 아비 네헤미아 디렉터는 기조연설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Software-defined systems)의 가치와 구현 방법을 심도 있게 다뤘다. 발표에 따르면 모델 기반 설계(Model-Based Design)를 통해 요구사항부터 아키텍처, 기능, 구현, 테스트까지 이어지는 디지털 스레드를 구축하고 AI와 데이터 기반 기능, 클라우드 활용을 통해 하드웨어 변경 없이도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자동차, 산업 기계, 의료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다. 정병찬 한화로보틱스 대표이사는 ‘로봇, 혁신으로 일상과 산업을
립부 탄 CEO "공급자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진정한 협업 관계로 나아갈 것" 인텔이 고객 중심의 사고방식과 엔지니어링 우수성을 앞세워 기술 리더십 회복에 본격 나선다. 인텔 립부 탄(Lip-Bu Tan) 최고경영자(CEO)는 31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Intel Vision 2025’ 기조연설에서 인텔의 전략 방향과 비전을 공유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기조연설에서 탄 CEO는 "CEO로서 가장 우선시하는 것은 고객과 시간을 보내는 일"이라며, 고객과의 긴밀한 소통과 엔지니어링 중심 기업으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했다. 이어 “인텔은 고객의 목소리를 깊이 있게 경청하고, 그들의 과제를 함께 해결하는 기술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기존 공급자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진정한 협업 관계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탄 CEO는 특히 “새로운 시대를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며, 인텔의 방향성이 단순한 반도체 설계를 넘어 AI 시대에 최적화된 풀스택 솔루션 개발에 있다고 강조했다. 고객의 주요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전용 실리콘과 AI 기반 설계 접근법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인텔은 글로벌 반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DI)는 제약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과 엔지니어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애거슨과 양해각서(MOU)를 지난 11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지멘스 디지털 엔터프라이즈 체험센터(KDEXc)에서 진행됐으며, 양사 주요 임직원이 참석해 협력 방향과 공동 사업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지멘스 DI는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화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반면, 애거슨은 제약·바이오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CSV) 및 엔지니어링 전문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및 국내 규정 준수에 강점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제약 분야의 설계 및 공정 엔지니어링 단계에서 자동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 △글로벌 및 국내 규제 기준에 부합하는 CSV 컨설팅 지원 △지멘스 DI의 산업별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 공동 활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사의 생산 효율성 향상, 품질 관리 강화, 규제 준수 지원 등 제조 현장에서의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고, 디지털화된 제조 환경에서 미래
와고코리아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자동화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한자리에 내놓는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와고코리아는 운영기술(OT)과 정보기술(IT)의 통합을 통해 효율성 극대화를 목표하는 엔지니어링·자동화 솔루션 업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스마트 산업 솔루션이 열리다(OPEN. For Smart Industry Solutions)’를 슬로건으로, 스마트 제조 구현을 위한 첨단 자동화 솔루션과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공개한다. 구체적으로, 웹 기반 설계·제어·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솔루션 ‘와고 스카다(WAGO SCADA)’, 빌딩 라이팅 매니지먼트 솔루션 ‘달리(DALI)’를 전시 하이라이트로 전시한다. 이 중 달리는
경남·경북 지역 로봇 판매·유통 본격화 “맞춤형 로봇 솔루션 통해 中企 자동화 지원 강화할 것” 브릴스가 세종엔지니어링 산업용·협동 로봇 유통·판매 공동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세종엔지니어링은 산업용 로봇, 자동 공급 장치, 자동 검사 장치 등을 취급하는 엔지니어링 업체다. 자동화 시스템 설계와 로봇 치팅 분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브릴스는 세종엔지니어링의 이같은 역량과 폭넓은 네트워크에 주목해 경남·경북 지역 공식 대리점으로 지정했다. 세종엔지니어링은 앞으로 브릴스 로봇 시리즈(BRS 시리즈) 유통·판매를 맡게 됐다. 아울러 세종엔지니어링은 브릴스의 산업용·협동 로봇 제품을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자동화 기술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자동 검사기, 머신탠딩, 빈 피킹 등 브릴스 로봇 기술을 접목해 고객 맞춤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브릴스도 세종엔지니어링을 거점 삼아, 경남·경북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자동화 통합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다. 기존 로봇 제품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고객사 맞춤형 자동화를 구현한다는 방ㅊ미이다. 브릴스 측은 이를 통해 로봇 솔루션뿐만 아니라, 자체 로봇 제조 역량까지 강화해 산업 전반에서 자동화 혁신에 기
한국엔지니어링협회가 지난 27일 엔지니어링회관에서 제52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작년 사업실적 및 결산과 올해 사업계획 및 예산 등 부의된 안건을 원안대로 심의·의결했다. 협회는 2024년도 결산에서 효율적인 예산 집행과 전략적 사업 운영을 통해 목표 대비 일반회계 세입은 2.8% 증가하고, 세출은 12.9% 절감하여 안정적인 재정 운영을 실현했다. 특히 학·경력자 승급 제한 완화 등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령 일부 개정 지원,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사업의 성공적 수행과 적정 대가 산출을 위한 표준품셈 21건 마련, 한국엔지니어링산업연구원 설립 등 업계 발전과 산업 진흥을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했다. 2025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심의에서는 엔지니어링산업의 대국민 인지도 확산 및 이미지 개선, 엔지니어링산업의 국제 표준화 운영 지원, 연구원 운영재산 출연 등 전년 대비 6.9% 감액된 125.9억 원의 일반회계 예산을 편성했다. 협회는 2025년 사업계획으로 엔지니어링산업의 위상 강화, 업계 권익 도모 및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내실을 다지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해경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엔지니어링산업은 단순한 기술의 집
쿠카 개방형 협업 플랫폼 ‘모자이크엑스’에 3D익스피리언스 포함돼...소프트웨어 혁신 가속화 “가상 공간에서의 로봇 자동화 혁신” 다쏘시스템이 산업용 로봇 솔루션 업체 쿠카와 협업한다. 앞으로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는 쿠카 개방형 디지털 협업 플랫폼 ‘모자이크엑스(mosaixx)’에 내재화돼 각종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한다. 양사는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행사장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시스템통합(SI) 주체와 엔지니어 사이의 기술적 간극을 좁히기 위해 협업의 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양 이해관계는 현장·공정을 최적화하는 가상의 생태계에서 엔지니어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3D익스피리언스는 가상 공간 ‘버추얼 트윈’ 환경에서 설계·테스트·시뮬레이션·엔지니어링 등 과정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모자이크엑스 안에서 엔지니어링 협업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퀴린 고어츠(Quirin Goerz) 쿠카 디지털 CEO는 "다쏘시스템의 버추얼 트윈 기술을 통해 모자이크엑스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엔지니어는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해 시뮬레이션과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