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330인치 규모 가상 스크린 통해 차세대 AR 경험 제공 스마트 기술 ‘렌즈 변색 기술’로 차별화 선언 AR 글래스 업체 엑스리얼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AR 글래스 ‘엑스리얼 에어 2 프로(XREAL Air 2 Pro)’의 국내 상륙을 전햇다. 엑스리얼 에어 2 프로는 가상화면 몰입도 조절이 가능한 ‘렌즈 변색 기술’을 적용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사용자는 일체형 버튼을 통해 0·35·100%의 단계별 렌즈 변색 조절이 가능하다. 또 0.55인치 슈퍼 마이크로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인치당 4032 픽셀, FHD(1920 x 1080) 해상도, 10만:1 명암비 등 화면 사양을 보유했다. 엑스리얼의 이번 AR 글래스 신제품은 최대 330인치 가상 스크린에서 AR 경험을 할 수 있다. 여기에 오디오 성능을 개선해 이전 세대 대비 공간 사운드 측면에서 성능이 향상됐고, 지향성 스피커 설계를 담아 누음 차단 및 개인정보보호 요소가 강화됐다. 엑스리얼 관계자는 해당 제품의 연결성 및 확장성도 강조했는데, ISO·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PC 등과 연결이 가능한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무게·밸런스 잡은 18V 롱바디 임팩트 렌치 밀워키가 18V 롱바디 임팩트 렌치 ‘M18 FHIWF1R’을 시장에 내놨다. 이번 신제품은 780mm 세로 형태로 설계된 제품으로, 선 자세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여기에 8kg 이하 무게와 측면 손잡이를 통한 무게 밸런스로 철도 작업에 특화된 점이 특징이다. M18 FHIWF1R은 최대 2000Nm 토크를 발휘하고, 무부하 속도 1670 RPM, 분당 타격수 2500 IPM 성능을 보유했다. 이와 관련해 단계별 속도·파워 단수 등을 조절하는 기능과 자동 전원 끄기 옵션, LED 조명이 장착돼 사용자 상황에 맞게 활용 가능하다. 최대 작업 가능 볼트 크기는 M30이고, 12Ah 배터리가 탑재된다. 밀워키 관계자는 “M18 FHIWF1R은 직립 작업이 가능한 점이 가장 큰 강점”이라며 “앞으로도 특수 작업에 특화된 제품을 지속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는 열악한 산업 현장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1kg 미만의 초경량 10인치 풀-러기드 윈도우 태블릿 신제품 '델 래티튜드 7030 러기드 익스트림 태블릿(Dell Latitude 7030 Rugged Extreme Tablet)'을 공개했다. 델 래티튜드는 델의 프리미엄 비즈니스 노트북 라인업으로, 그중 '러기드' 제품군은 극지방 탐사, 화학 공장, 화재 현장 등 거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이번에 선보인 제품은 전작 12인치 러기드 태블릿 대비 더 가볍고 컴팩트한 10인치 섀시를 적용해 휴대성을 강화하고, 야외 작업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및 핫스왑 방식의 배터리를 지원해 산업 현장에서 일하는 사용자의 업무 연속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래티튜드 7030 러기드 익스트림 태블릿은 1kg 미만의 폼팩터를 갖춰 현장에서 장시간 근무하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며 작업하는 경우에도 손목의 피로감이 덜하다. 또한 현장에서 시스템 중단 없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36Whr 내장 배터리 외에 핫스왑 방식의 듀얼 배터리 옵션을 제공한다. 내구성의 경우, 가장 열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미군 납품 규정
Moxa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라이빗 5G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용 5G 셀룰러 게이트웨이인 CCG-1500 시리즈를 공식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CCG-1500 시리즈 게이트웨이는 이더넷과 시리얼 장치에 3GPP 5G 연결을 제공해 스마트 제조 및 물류 분야의 AMR/AGV를 비롯, 채굴용 무인 트럭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산업용 프라이빗 5G를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CG-1500 시리즈 게이트웨이는 5G/LTE 모듈이 탑재된 ARM 기반 미디어 및 프로토콜 변환기로 동작하며, 스냅드래곤 X55 모뎀-RF 시스템을 활용한다. 업계 파트너들과 공동으로 개발한 이번 산업용 게이트웨이는 광범위한 기술 및 프로토콜을 통합해 에릭슨, NEC 및 노키아 등이 제공하는 5G 코어 네트워크와 주요 5G RAN과의 상호 운용성 및 호환성을 지원한다. 소형의 CCG-1500 시리즈 게이트웨이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도록 시리얼·이더넷을 5G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과 최대 920Mbps의 5G 속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OT 네트워크와 5G 시스템을 연결함으로써 산업 운영 환경을 혁신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C
휴대폰, 자동차부터 스마트 온도조절기,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점점 더 많은 일상 생활 시스템들이 클라우드에 연결되고 있는 추세다. 이처럼 커넥트비티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펌웨어와 데이터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칩 수준의 강력한 고급(advanced) 보안 조치를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현재 발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해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보안 위협에 방어하기 위해 PIC18-Q24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제품군을 출시했다. PIC18-Q24 MCU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악의적으로 디바이스를 재프로그래밍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및 디버깅 인터페이스 비활성화(PDID, Programming and Debugging Interface Disable) 기능을 도입했다. 이 향상된 코드 보호 기능은 프로그래밍·디버깅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차단하고, 펌웨어를 무단으로 읽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려는 시도를 차단한다. 그렉 로빈슨 마이크로칩 8비트 MCU 사업부 부사장은 "시스템 보안이 아무리 강력해도 결국은 시스템 내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전체 보안 수준이 결정된다"며 "따라서 모든 프로그래머
진동 제어 및 킥백 컨트롤 등 안전 편의 기능 넣어 보쉬가 전문가용 다목적 충전 로터리해머 ‘GBH 18V-18 C’, ‘GBH 18V-28 CF’ 두 종을 시장에 선보였다. 해당 제품은 콘크리트, 석재, 석조물 등 타공 작업에 활용되는 로터리해머로, 작업 중 공구 상태 확인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여기에 SDS-plus 충전 규격을 갖췄고, 브러시리스 모터를 적용해 3.3J 규모 타격 성능을 발휘한다. 아울러 진동 제어, 킥백 컨트롤, 자동·즐겨찾기·소프트 모드 등 기능을 담아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강화했다. 특히 보쉬 커넥티비티 모듈(GCY 42)을 별도 장착 시 블루투스를 통해 보쉬 툴박스 애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공구 제어, 공구 상태 알람, 프로필 설정 등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신제품 두 종 중 GBH 18V-18 CF 모델은 퀵 체인지 척(Quick Change Chuck) 장착이 가능하다. 이는 척 교체로 인한 다운타임 감소 효과를 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보쉬 관계자는 “이번 로터리해머 신제품 두 종은 브러시리스 모터 기반 제품으로, 전문 사용자들에게 특화된 기술”이라며 “보쉬는 앞으로도 사용자 작업 편의성 및 효
디지털광학방식(DLP) 담은 빔프로젝터 X1128H·X1228H·X1328WH 출시 에이서가 X1128H·X1228H·X1328WH 등 비즈니스 및 교육용 빔프로젝터 3종을 출시했다. 이번 빔프로젝터 신제품 3종은 디지털광학방식(DLP) 기술이 적용돼 고광량 품질을 갖췄다. 아울러 2만:1 명암비를 토대로 에이서 가시성 특화 기술 ‘에이서 루미센스+(LumiSense+)’가 적용됐다. 여기에 에이서 컬러부스트Ⅱ 및 컬러세이프Ⅱ 기술을 담아 일관된 색상과 선명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번 신제품 중 X1128H·X1228H는 프로젝터 투시 밝기 표준 ‘안시루멘(ANSI-Lumens)’ 4800급을 보유했고, SVGA(800 x 600) 해상도를 보유했다. 한편 X1328WH는 5000 안시루멘 기반 WXGA(1280 x 800) 해상도를 발휘한다. 웨인 니엔(Wayne Nien) 에이서 코리아 대표는 “에이서 빔프로젝터 신제품 3종은 고성능 빔프로젝터 제품군으로 비즈니스 및 교육 시 특화된 성능을 발휘한다”며 “에이서는 이번 신제품을 통해 빔프로젝터 시장 재진입을 시작으로, 국내 고객에게 다양한 제품을 지속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M.2 표준 폼 팩터 2280으로 설계...최대 1.92TB 용량 지원 최대 58K IOPS 랜덤 쓰기 속도 및 최대 800K IOPS 랜덤 읽기 속도 갖춰 병목현상 차단 씨게이트는 스토리지 솔루션 업체 파이슨과 함께 설계한 ‘나이트로 4350 NVMe SSD’를 내달 중 시장애 내놓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나이트로 4350 NVMe SSD는 데이터 센터에서 활용되는 스토리지 기술로, 최대 1.92TB 용량 기반 M.2 SSD 표준 폼 팩터 2280으로 설계됐다. 아울러 직전 세대 대비 10배 이상 대역폭 확장, SATA SSD 처리량 2배 증가 등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대 58K IOPS 랜덤 쓰기 속도와 최대 800K IOPS 규모 랜덤 읽기 속도를 통해 데이터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씨게이트 관계자는 이번 신제품에 대해 전력 효율성 및 안정성 특징도 강조했다. 드라이브 내 3.3V 전원공급장치는 비교적 낮은 전력을 요구하며, 스마트 열 모니터링·엔드 투 엔드 데이터 보호 기능을 담았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전동공구 분야의 글로벌 리더 보쉬 전동공구 사업부가 손쉬운 부착 장치 교체로 모든 작업에 대비할 수 있는 전문가용 멀티 충전 드릴 드라이버 ‘GSR 18V-90 FC’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보쉬의 플렉시클릭(FlexiClick) 시스템 적용으로 작업에 따라 다양한 어댑터를 간편하게 탈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크류 드라이버, 드릴 드라이버, 로터리해머 등 하나의 충전공구로 다용도 활용이 가능해 전문 작업에 적합하다. 풀키트에 포함된 메탈 앵글척 어댑터 ‘GFA 18-WM’은 가장자리와 벽에 가깝게 작업할 수 있어 공간이 협소하거나 벽과 밀접한 공간에서 작업 시 높은 유연성을 발휘한다. 모서리 전용 어댑터 ‘GFA 18-E’는 공구 사용이 쉽지 않은 비좁은 공간이나 코너에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해머 어댑터 ‘GFA 18-H’를 부착하면 SDS-plus 로터리 해머로 바뀌어 최대 10mm의 콘크리트 해머 드릴링이 가능하다. 헤드 길이가 136mm로 짧으면서도 최대 하드 토크는 64 Nm에 달해 콤팩트하면서도 강력한 공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목재, 금속 및 콘크리트(GFA 18-H 부착), 석재 등 모든 종류의 스크류 드라
새로운 분석센터 ‘썸트렌드 유닛’ 출시...유닛화·개인화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바이브컴퍼니는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썸트렌드(Sometrend)’ 내 새로운 분석센터 ‘썸트렌드 유닛(Sometrend Unit)’을 구축했다고 이달 22일 알렸다. 썸트렌드 유닛은 사용자가 직접 빅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변환해 데이터를 다루는 데 활용되는 개인화 시스템이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 분석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도 분석 기능 가이드에 따라 사용 가능하다. 특히 분석 결과를 직관적 UI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점이 해당 시스템의 특징이다. 더불어 패턴어 및 파생어·유튜브 화제성 등을 분석하는 신기능이 추가돼 데이터 수집 범위가 확장됐다. 패턴어 및 파생어 분석 기능은 자주 활용되는 키워드를 파악하고, 키워드 내 특정 단어를 추출해 확인 가능하다. 윤순호 바이브컴퍼니 썸트렌드팀 팀장은 “유닛은 썸트렌드 사용자의 각종 니즈를 반영해 출시된 신규 서비스”라며 “기업 인사이트 발굴과 더불어 보고서 작성, 논문 집필, 콘텐츠 창작 등 활용 범위가 넓다”고 썸트렌드 유닛의 강점을 강조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HAMR 기반 자가 복구·전력 소모 저감 기능 등 담아...빌딩 블록 시스템 구축 가능 “멀티 페타바이트 데이터 인프라 제공...비용↓ 효율↑ 혁신” 씨게이트가 열 보조 자기기록(HAMR) 기술 기반 2.5PB 멀티 페타바이트 블록 스토리지 시스템 ‘엑소스 코볼트 4U106’을 시장에 선보였다. 엑소스 코볼트 4U106은 씨게이트의 대용량 엑소스 하드 드라이브·자가 복구 기술을 융합해 스토리지 혁신으로 기대받는다. 해당 설계를 통해 페타바이트 규모 스토리지 빌딩 블록을 구축에 활용되는데, 스토리지 네트워킹 리소스 최대 50%, 총 랙 전력 효율 최대 30%까지 절감한다. 아울러 자율 드라이브 복구(ADR)와 고급 분산 자동화 보호 기술(ADAPT) 등 씨게이트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보호 및 타임타임 감소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데이터 센터 리소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 활용 사례 관계자는 “엑소스 코볼트 4U106은 멀티 페타바이트 데이터 세트에 적합한 기술”이라며 “기존 스토리지 시스템 대비 총 스토리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토리지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뉴로클이 ‘뉴로티(Neuro-T)’와 ‘뉴로알(Neuro-R)’의 4.0 버전을 출시했다. 이번 버전은 제조 현장의 결함 데이터 및 레이블링 리소스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 개발됐다. 뉴로티는 AI 딥러닝 비전 트레이너로, 비전 검사를 위한 AI 모델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다. 뉴로알은 뉴로티에서 생성한 검사 모델을 실시간으로 제조의 공정 라인에 적용하는 런타임 API이다. 가상 결함 생성 AI 모델: GAN Model · Generation Center 양,불 판정 AI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정상, 결함 이미지 데이터가 필요하며, 데이터의 양이 풍부할수록 고성능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특정 산업에서는 결함 데이터의 수집이 어려워 모델 고도화에 난항을 겪는 경우가 있다. GAN Model · Generation Center는 이러한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기능이다. 유저는 해당 기능을 통해 소수의 결함 이미지를 기반으로 실제와 유사한 가상 결함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가상 결함은 다양한 ‘결함 생성 도구’들을 통해 정상 이미지에 삽입되어, 양, 불 판정 AI 모델을 생성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비지도학습 모델: Anomaly…
기존 대비 최대 7.3% 생산성 향상 냉각유 탱크 용량 및 칩 배출 공간 20% 증대 DN솔루션즈가 생산성과 신뢰성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수직형 머시닝센터 ‘4세대 DNM 시리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4세대 DNM 시리즈는 3세대의 고속 사양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했으며, 생산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다양한 고급 옵션 개발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고, 디자인 개선 및 친환경을 실현했다. DNM 시리즈는 뛰어난 성능과 생산성을 바탕으로 단일 제품 기준 5만 대 이상이라는 놀라운 판매량을 기록한 DN솔루션즈의 글로벌 스탠다드 머시닝센터다. 동급 최고의 내구성과 강성을 지니고 있으며 자동차, 항공, 에너지 등 전방위 산업을 아우르는 가공 능력과 품질을 자랑한다. 속도와 생산성 Up 동급 대비 최대 가공 영역을 제공하는 4세대 DNM 시리즈는 다양한 부품에 대해 정밀하고 빠른 가공이 가능하다. 이송계의 강성을 위해 LM(Linear Motion) 가이드를 적용했으며, 직접 결합 방식의 스핀들을 통해 스핀들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켰다. Y축 이송 거리 450×570×670mm급에 해당하는 라인업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크기의 가공물과 작업…
DN솔루션즈가 생산성과 신뢰성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수직형 머시닝센터 ‘4세대 DNM 시리즈’(제품명 : DNM 4500, DNM 5700, DNM 6700)를 출시했다. 새로운 4세대 DNM 시리즈는 3세대의 고속 사양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했으며, 생산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다양한 고급 옵션 개발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고, 디자인 개선 및 친환경을 실현했다. 속도도 Up, 생산성도 Up 동급 대비 최대 가공 영역을 제공하는 4세대 DNM 시리즈는 다양한 부품에 대해 정밀하고 빠른 가공이 가능하다. 이송계의 강성을 위해 LM(Linear Motion) 가이드를 적용했으며, 직접 결합 방식의 스핀들을 통해 스핀들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켰다. Y축 이송거리 450×570×670mm급에 해당하는 라인업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크기의 가공물과 작업 공간에 적합하다. 특히 3세대보다 빨라진 공구 교환 속도를 체험할 수 있다. 새로운 DNM 시리즈는 서보모터 사향 및 지지 구조를 개선해 축계 가감속 성능이 향상됐고, 생산성이 기존 대비 최대 7.3% 높아졌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신뢰성 4세대 DNM 시리즈는 기기의 주변 환경에 따라 가공 결과
NXP 반도체가 확장 가능한 S32 차량 컴퓨팅 플랫폼 강화를 위해 S32M2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S32M2는 특수 제작된 모터 제어 솔루션으로 펌프, 팬, 선루프, 시트 포지션, 안전벨트 프리텐셔너, 트렁크 오프너 등 차량 애플리케이션 전반의 효율성 개선에 최적화돼 있다. NXP는 S12 MagniV 포트폴리오의 성공을 기반으로 NXP 모터 제어 헤리티지와 S32 플랫폼의 소프트웨어 개발 이점을 결합했다고 설명했다. 고도로 통합된 시스템 인 패키지(System-in-Package, SiP) 솔루션은 전력과 아날로그 기능과 더불어 모터 제어에 필요한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NXP S32K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추가한다. 급성장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정의 전기차 시장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 자동차 제조업체가 제품 개발을 최적화하고 S32 플랫폼 구축 전반에서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러 유형의 전기 모터 중 브러시리스 직류(BLDC) 모터와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 모터는 내구성과 견고성, 작은 크기, 가벼운 무게, 고효율로 잘 알려져 있으며, 전기차 에너지 절약과 주행거리 연장을 돕는다. S32M2는 간략하고 강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