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추진하는 기업 중 ‘최대어’로 꼽히는 공작기계 기업 DN솔루션즈가 “작년 미국 내 점유율이 4위에서 2위로 올랐고 ‘미국산’(메이드 인 USA) 중시 시대를 현지 점유율 증대의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DN솔루션즈는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업공개(IPO) 언론 간담회를 열고 “이번 달 말 미국 시카고에서 현지 기술 지원을 담당할 시카고 테크니컬 센터(CTC)를 열면서 미국 사업을 더 확대하겠다”며 이처럼 설명했다. 공작기계는 금속을 깎아 고정밀 부품을 만드는 기기다. 반도체와 자동차 등 제조업 전반에 꼭 쓰이는 기초 설비로 꼽힌다. DN솔루션즈는 세계 시장에서 공작기계 점유율 3위를 차지하고 있다. 공장 기기 부품을 공급하고 유지·보수를 하는 ‘하드웨어 솔루션’도 지원하며, 차세대 성장 사업으로는 공장 자동화 서비스를 키우고 있다. 매출 비중은 수출이 약 80%, 내수가 20%다. DN솔루션즈는 현재 한국(창원)과 중국에 공장을 갖고 있다. 미국 사업장은 없지만 현지 여러 업계와 연계가 탄탄한 만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강화 기조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DN솔루션즈는 이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자율주행용 라이다(LIDAR)의 성능 평가 방법을 국가표준(KS)으로 제정해 고시했다고 25일 밝혔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쏴 물체에 맞고 돌아오는 반사파 분석을 통해 물체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로, 고정밀 3차원(3D) 인식이 가능해 자율차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자료에 따르면 라이다 관련 시장은 지난해 약 1조1000억 원에서 2029년 4조9000억원 규모로 연평균 35% 성장이 예상된다. 이번 라이다 표준은 측정 거리·각도·속도의 범위와 정확도 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표준화가 이뤄졌다. 또한 현대차, 현대모비스, LG이노텍, 에스오에스랩, 오토엘 등 기업들의 폭넓은 참여를 통해 개발돼 업계 협업, 중복시험 최소화, 조기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표원은 이날 관련 업계를 대상으로 미래차 핵심부품 표준화 추진현황 설명회를 열고 라이다, 레이다(RADAR), 카메라,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등 유망 핵심 부품의 표준화 추진현황 및 추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김대자 국표원 원장
SK온이 아마존이 선택한 미국의 전기차 스타트업에 약 4조원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한다. SK온은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슬레이트’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SK온은 2026년부터 2031년까지 6년간 약 2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한다. 이는 준중형급 전기차 약 30만 대에 탑재할 수 있는 수준이다. 구체적인 계약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이번 공급 규모가 약 4조 원 수준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양사는 추후 차량 생산이 늘어날 경우 상호 합의 하에 배터리 공급 물량을 확대하기로 했다. 슬레이트는 2022년 미국 미시간주에서 설립된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최근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비밀리에 투자하고 있다는 내용이 알려지며 주목받았다. 슬레이트는 내년 2도어 전기 픽업트럭을 출시할 계획이다. 가격은 3만 달러 이하로 책정하는 게 목표다. 차량 제조공정과 디자인 등을 단순화해 판매가격을 낮춘다는 방침이다. 색상도 한 가지로 출시된다. 대신 도장과 내·외장을 바꿀 수 있는 DIY(Do It Yourself) 키트가 구비돼 고객이 취향과 목적에 맞춰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루프랙을 장착
삼성SDI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로 올해 1분기 4000억 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 삼성SDI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이 4341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영업이익 2491억 원)와 비교해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5일 공시했다. 여기에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생산 세액공제(AMPC) 1094억 원이 포함됐다. AMPC 수혜 규모는 전 분기(249억 원)보다 845억 원 늘었다. 매출은 3조1768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4% 감소했다. 순손실은 2160억 원으로 집계됐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배터리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9%, 전분기 대비 16.4% 감소한 2조9809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4524억 원이다. 전기차와 전동공구용 배터리 등 주요 고객의 재고 조정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고, 이에 따른 가동률 하락과 고정비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됐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195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4% 감소했으나 전분기에 비해선 3.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83억 원으로 집계됐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미소정보기술이 오는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열리는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 2025)에서 사이냅소프트 부스 파트너존에 참가해 양사의 기술협력 기반 솔루션과 생성형AI 혁신사례를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는 ‘AI EXPO’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 전문 전시회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AI 기술과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관련 컨퍼런스 및 포럼도 함께 진행된다. 미소정보기술은 AGI(범용 인공지능)와 분야별로 특화된 버티컬 AI 솔루션과 다양한 혁신사례를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해 양사의 사업 제휴 이후, 공공 부문 협력 및 생성형 AI 사업화, 공동 마케팅 협력 등을 추진해오며 이번 전시회를 준비했다. AI EXPO에서 미소정보기술은 ‘AGI Thinks, Agent Acts!’(AGI로 생각하고, 에이전트로 행동한다)를 주제로 병원 판독문, 건강검진기록(PHR), 건설, 제조 현장의 데이터를 분석한 AI자율공정 등 기업과 현장에 축적된 다양한 멀티모달 데이터를 정형화해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AI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허위 정보 생성)을 최소화하기
SK텔레콤이 악성코드로 인한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고객들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28일부터 유심 무료 교체를 포함, 한층 강화된 고객 정보 보호조치를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CEO)는 이날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사옥에서 열린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에서 “SK텔레콤을 믿고 이용해주신 고객 여러분과 사회에 큰 불편과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SK텔레콤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원하는 경우 유심카드를 무료로 교체하는 추가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eSIM(이심·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한 유심 교체 서비스를 시작한다. 해킹 피해를 최초로 인지한 18일 24시 기준 가입자 중 유심 교체를 희망하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전국 T 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교체가 진행된다. 다만 일부 워치 및 키즈폰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지난 19~27일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고객에게도 무상 교체 서비스를 소급 적용해, 고객이 이미 납부한 비용에 대해 별도로 환급하기로 했다. SK텔레콤 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고객에게도 유심을 무상 교체해준다. 시행 시기
위브가 대만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산업 전시회 ‘2025 터치 타이완’에 참가해 마이크로 LED 검사 장비 ‘반디’를 선보였다. 해당 장비는 마이크로 LED 제조 전 공정을 대상으로 불량 검사 기능을 제공한다. 광발광(PL) 분석 기술을 활용해 LED 소자의 외형, 색도, 발광 형태 및 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LED 재료가 되는 웨이퍼 품질 검사 또한 가능하다. 광발광은 반도체와 일부 나노 물질이 빛 에너지를 흡수한 뒤 특정 파장과 밝기의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이를 분석하면 물질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터치 타이완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디스플레이 전문 전시회다. 마이크로 LED, OLED,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및 장비 등 최신 산업 트렌드와 기술 혁신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올해 행사에는 에이유옵트로닉스, 이노룩스 등 주요 디스플레이 제조사를 포함, 300여 기업이 참가해 기술력을 뽐냈다. 주성빈 위브 대표는 “한국과 대만이 주도하는 아시아 LED 산업은 고속 발전을 거듭해 어느덧 전세계 기술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며 “이번 박람회를 계기로 위브 또한 업계를 선도하는 아시아 주요 기업과 협업점을 늘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위브의 마이크로
브로드컴의 VMware 인수 이후, 구독 전환과 벤더 락인(Lock-in) 우려로 기존 고객들의 대체 솔루션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번진 ‘윈백(Win-back)’ 흐름은 최근 민간 기업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변화 속에서 오케스트로는 자체 개발한 서버 가상화 솔루션 ‘콘트라베이스(CONTRABASS)’를 앞세워 고객의 실제 전환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2018년 외산 솔루션이 시장을 주도하던 시기 오케스트로는 콘트라베이스를 출시하며 국내 가상화 시장에 진입했다. 이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민연금공단 등 주요 공공기관은 물론 지자체 핵심 시스템에도 표준으로 적용되며 시장 내 입지를 넓혀왔다. 콘트라베이스는 VM웨어 기반 환경을 안정적으로 대체하면서도 관리 노드 삼중화 구성, KVM 기반 하이퍼바이저, 고가용성 아키텍처 등 고객 인프라 환경에 적합한 세부 구성을 제공한다. 실시간 모니터링과 자동화된 관제 기능을 통해 운영 편의성을 높였다. 단일 플랫폼에서 물리 서버, 가상 머신, 컨테이너를 함께 관리할 수 있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으로의 전환도 유연하게 지원한다. 오케스트로는 공공 부문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민간 시장에서도 빠
드롭박스가 범용 검색 및 지식 관리 툴인 드롭박스 대시(Dropbox Dash)에 고급 검색과 AI 기반 콘텐츠 생성 기능을 포함한 대규모 업데이트를 적용하고, 슬랙 및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와의 통합을 강화했다고 발표했다. 업데이트된 드롭박스 대시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파일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에 대한 고급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콘텐츠 제작 속도를 높이는 AI 툴도 새롭게 탑재했다. 대표적으로 문서 작성, 분석, 요약을 지원하는 맞춤형 AI 툴 탑재는 물론, 슬랙 및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와 같은 주요 협업 툴과의 연동도 강화했다. 이에 따라 드롭박스 대시는 사용자가 각기 다른 플랫폼에 저장된 방대한 자료를 검색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콘텐츠 제작 등 창작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드류 휴스턴 공동 창업자 겸 CEO는 “지식 근로자(Knowledge workers)들은 필요한 정보를 찾고 다양한 앱을 전환하는 데에만 연간 한 달 이상의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며 “업데이트 된 드롭박스 대시는 단순히 콘텐츠를 빠르게 찾는 것을 넘어서 이러한 콘텐츠를 실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드롭박스 대시는 텍스트는 물론 이미지, 영상,
엣지(Edge)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기술이 점점 더 많이 쓰이면서 시스템 통합 수준과 그에 따른 전력 소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 자동화 및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는 더욱 고도화된 전력 관리 솔루션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16V VIN(입력전압)을 지원하는 벅 컨버터와 I2C 및 PMBus 인터페이스를 갖춘 12A 용량의 고효율 완전 통합형 포인트 오브 로드(Point-of-Load) 파워 모듈 ‘MCPF1412’를 출시했다. 새로운 MCPF1412 파워 모듈은 우수한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돼 전력을 효율적으로 변환하고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5.8mm × 4.9mm × 1.6mm의 매우 작은 폼 팩터와 혁신적인 Land Grid Array(LGA) 패키지를 적용해 기존의 디스크리트(discrete) 솔루션 방식에 비해 보드(PCB) 공간을 40% 이상 줄일 수 있다. 이 모듈은 설계가 더욱 자유로워지는 패키지의 소형화, 향상된 신뢰성 그리고 PCB 스위칭 및 RF(무선주파수) 노이즈 최소화 등의 이러한 특징을 통해 MCPF1412는 업계를 선도하는
한글과컴퓨터가 일본 시장 공략에 본격적인 속도를 내고 있다. 한컴은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2025 Japan IT Week Spring)’ 행사 현장에서 다날재팬(Danal Japan)과 AI 기반 생체인증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비대면 결제와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확산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해 AI 기반 생체인증 기술을 결제 시스템에 접목함으로써 일본 핀테크 시장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얼굴 인증을 기반으로 한 결제 승인 프로세스를 공동 개발하고 신규 서비스 기획 등 생체인증 관련 사업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한컴은 자사가 2대 주주로 있는 스페인 기업 페이스피(Facephi)의 AI 생체인식 기술과 회사의 AI 역량을 결합해 일본 시장에 최적화된 설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다날재팬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가상자산 결제 기술 등을 공급해온 다날의 일본 현지 법인으로, 다날의 결제 시스템 개발과 서비스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AI 기반 생체인증 기술의 상용화를 실현하고 일본 디지털 결제
레노버가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스토리지 포트폴리오 개편을 거쳐 AI 시대에 최적화된 새로운 데이터 스토리지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에 발표된 제품군은 더욱 향상된 효율성과 성능, 확장성을 바탕으로 엔터프라이즈 IT의 현대화를 가속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비즈니스 혁신을 견인하는 AI 최적화 스토리지의 새 시대를 여는 이번 포트폴리오는 스토리지 어레이,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SDI), AI 및 가상화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신규 솔루션으로 구성돼 빠르게 진화하는 데이터 운영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기업은 신뢰할 수 있는 차세대 레노버 씽크시스템(ThinkSystem) 및 씽크애자일(ThinkAgile) 인프라를 통해 AI 및 데이터 현대화 워크로드를 손쉽게 실행하고 실시간 분석 기반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대규모 AI 및 데이터 현대화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AI 투자에 대한 실질적인 수익(ROI)을 기대하는 기업 경영진이 늘어나는 가운데, 레노버의 의뢰로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CIO들이 꼽은 AI 도입의 핵심 성공 요인은 ▲데이터 주권 ▲규제 준수 ▲데이터 가용성으로 조사됐다. AI 도입의 주요 장애 요
원/달러 환율은 25일 한국과 미국이 오는 7월 초까지 ‘패키지 합의’를 추진하기로 한 가운데 장 초반 하락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5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보다 2.9원 내린 1432.1원이다. 환율은 3.0원 낮은 1432.0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했다. 간밤 한미 양국은 한국의 대선 이후인 7월 초까지 미국 관세 부과 폐지와 양국 간 산업 협력 등과 관련한 패키지 합의를 추진하기로 했다.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현지 브리핑에서 “서두르지 않으면서, 차분하고 질서 있는 협의를 위한 양국 간 인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9.483을 기록 중이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이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면서 100선을 밑돌고 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02.06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1004.83원보다 2.77원 낮은 수준이다. 엔/달러 환율은 0.27엔 오른 142.93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구글플레이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과 함께 국내 모바일 앱·게임 스타트업들의 성장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창구 프로그램 7기’에 참여할 100개사를 선정해 발표했다. 창업의 ‘창’과 구글플레이의 ‘구’를 따온 ‘창구 프로그램’은 유망한 국내 모바일 앱 및 게임 개발사들을 발굴해 성장과 해외 시장 진출을 돕는 대표적인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2019년 출범 이후 올해로 7기를 맞았다. 구글과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이 함께 콘텐츠 완성도, 혁신성, 글로벌 진출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선정한 결과 다양한 분야에서 100개사가 최종 선발됐다. 최우수 평가를 받으며 Top 3에 이름을 올린 잼잼테라퓨틱스는 아동을 위한 게임형 재활 앱 ‘잼잼400’을 선보인 스타트업이다. 뇌 병변으로 발달이 느린 아동들은 근육 퇴화를 막기 위해 비싼 재활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AI 동작 인식 기술을 활용한 이 모바일 게임을 통해 집에서도 쉽고 재미있게 맞춤형 소근육 재활 치료가 가능하다. 주식회사 디테일게임즈는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한 서바이벌 로그라이크 형식의 2D 캐주얼 모바일 게임 ‘외계인은 배고파‘로 Top 3로 선정됐다. 현재 한국, 미국, 대만에 진출해 50만
바스프 코팅 사업부문이 자동차 보수용 도장 산업을 위한 종합 디지털 비즈니스 솔루션인 자사의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레피니티(Refinity)를 한층 더 강화했다. 레피니티는 전 세계 판금 도장 전문 업체들의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이다. 특히 최근 신규 기능이 추가된 새로운 컬러 기술 혁신 도입으로 자동차 도장 고객은 보다 진화된 디지털 색상 경험과 비즈니스 및 교육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레피니티는 차세대 색상 스캔 기술을 적용한 최신 분광 색측기(스펙트로 포토미터) ScanR을 활용한다. ScanR은 빠르고 정확한 컬러 매칭 솔루션으로 색상 측정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보장한다. 이 솔루션은 단 30초 만에 5개의 정밀 측정을 해내고, 차량 식별 번호 (VIN) 및 번호판 자동 인식 기능을 탑재해 오류를 줄이고 시간을 절약한다. 또한 스크래치 감지 기능과 업계 최대 규모의 색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더욱 정밀한 색상 식별과 완벽한 컬러 매칭을 구현해 낸다. 새롭게 설계된 ImagePLUS 기능은 구형 분광 색측기와도 호환돼 바디샵 관리자와 도장 전문가들에게 최대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바디샵 관리자와 작업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