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웨이가 MWC 2022에서 3세대 TDD Massive MIMO 제품과 FDD 초광대역 다중 안테나 제품 등 최신 무선 솔루션을 공개하고 새롭게 출시한 지능형 RAN아키텍쳐를 소개했다.
‘5G기가버스 사회를 위한 혁신’ 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 간 빈 화웨이 무선 네트워크 제품 부문 부사장은 “화웨이의 3세대 Massive MIMO 및 FDD 초광대역 다중 안테나 포트폴리오는 네트워크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이통사의 고품질 친환경 5G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표된 화웨이의 3세대 TDD Massive MIMO 시리즈는 3세대 MetaAAU와 BladeAAU 시리즈를 포함하며, 업계 유일하게 이전 세대보다 안테나 요소를 192개에서 384개로 두 배 증가시켰다.
3세대 MetaAAU는 초대형 안테나 배열과 어댑티브 고해상도 터보 빔포밍 알고리즘을 사용해 대용량 다중 입출력장치의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FDD 초광대역 다중 안테나 제품군의 새로운 솔루션으로는 4T4R RRU와 8T8R, EasyMacro 3.0, Book RRU 3.0을 발표했다.
먼저 업계에서 가장 초경량 광대역을 지원하는 제품인 ‘4T4R RRU’는 700~900 MHz, 1.8~2.6 GHZ, 1.4 GHz의 다중 대역 네트워크 구축 및 모든 모드에서 동적 전력 공유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 경험을 30% 향상시키는 한편 전력 소비도 30% 감축한다.
또한 업계 최초의 고출력 초광대역 8T8R은 1.8GHz와 2.1GHz의 조합을 사용하여 1GHz 이하 대역에 동등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4G와 5G 네트워크 모두 용량을 각각 1.6배, 3배 향상시킨다. 또한 헤르츠 플랫폼의 친환경 안테나를 탑재한 업계 유일의 8T8R네이티브는 에너지 소비량을 15% 더 절감할 수 있다.
이날 화웨이가 새롭게 출시한 지능형 RAN은 이용자 경험과 친환경, 서비스, 그리고 운영 및 유지보수를 포함해 무선 네트워크의 모든 방면에서 지능적으로 구동되는 아키텍쳐다. 또한 모바일 지능형 엔진을 활용한 사이트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간의 데이터와 모델, 의사 결정 협업을 거쳐 네트워크 자율성을 구현한다.
화웨이 지능형 RAN 아키텍처는 ▲스마트 경험 ▲스마트 그린 ▲스마트 서비스 ▲스마트 O&M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간 부사장은 "화웨이의 지능형 RAN은 대기 상태가 없는 자동화 형태의 비대면 네트워크를 구현하며, 스마트한 서비스·최적화·친환경·간소화된 유지보수를 특징으로 하는 자율 네트워크를 가능케 한다”며, “앞으로도 화웨이는 이통사가 5G의 새로운 공간과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데 최선의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