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검사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돼 왔던 머신비전 및 계측 기술. 4차산업혁명 시대 모든 산업에서 머신비전은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딥러닝 등 AI 기술이 융합되면서 머신비전 및 계측 기술도 한 단계 진화하고 있다. 3D, 스마트카메라, 센서의 진화, 소형화, 임베디드 비전, 로봇 기반 비전, AI 융합 등은 머신비전 분야의 핫 키워드다. 머신비전앤메트롤로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수 기술인 머신비전과 계측 기술에 대한 국내외 최신 산업 트렌드, 신제품과 신기술 등 다채로운 정보를 소개한다. NEWS 성장하는 머신비전 시장, M&A를 주목한다 스마트 제조의 초석으로 자리잡은 '머신비전' EXHIBITION REVIEW 'AI, 자율주행, 자동화' 물류 산업 속 머신비전의 역할 코그넥스, 고속물류라인 '최적' 머신비전 솔루션 소개 CMES, 3D 비전과 AI 접목한 'Piece Picking' 솔루션 전시 대신정보통신, 기업 DX 돕는 산업용 PDA 대거 소개 우일씨엔에스, 360도 검사 가능한 데이터로직 스캐너 전시 INDUSTRY TREND 세연테크놀로지, 스마트제조 'RFID' 구축사례 세미나 개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엠비젼이 자사의 머신비전 조명 신제품인 사각 돔 조명이 미국 Endeavor Business media가 주관하는 Vision Systems Design 2024 Innovators Awards에서 은상(Silver Honoree)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조명은 머신비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 중 하나로, 검사해야 할 부분을 두드러져 보이게 함으로써 검사하기에 좋은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엠비젼은 독자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머신비전 조명을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최첨단 검사 기술이 요구되는 분야에 공급해 왔으며, 20년 이상 축적된 전문 기술을 바탕으로 완전히 새로운 머신비전 조명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엠비젼이 개발한 사각 돔 조명은 반사가 심하거나 요철이 있는 물체에 균일하고 그림자 없는 산란광을 조사해 주는 새로운 형태의 돔 조명이다. 2021년 국내 특허등록 후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독일, 미국에 특허 등록을 마쳤고, 이어 2024년 Innovators Awards에 출품하여 은상을 수상함으로써 제품의 기술력을 국제 무대에서 인정받게 되었다. 기술의 혁신성, 사용 편의성 등을 다각도로 평가하여 모든 부문에서 높은
앤비젼이 비용 절감을 극대화한 AI 탑재형 iRAYPLE 바코드 리더기 라인업을 소개한다. 해당 제품은 혁신적인 AI 연산칩을 탑재하여 다양한 종류의 1D, 2D 코드를 빠르게 찾고, 안정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어 변동이 많고 복잡한 환경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이 제품은 1초에 90개, 한 번에 최대 128개의 코드를 동시에 읽을 수 있어 다중 코드 리딩이 필요한 환경에도 적합하다. 또한 각 코드에 인덱스를 부여할 수 있는 멀티 ROI 기능이 있어, 판독에 실패한 코드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바코드 리더기 라인업은 최소1.2MP에서 최대 25MP(2500만 화소)에 이르는 다양한 해상도 옵션을 제공한다. 또한 AI 코드 학습을 통해 다양한 원인으로 손상된 시료들도 빠르게 인식할 수 있으며, 판독에 실패하더라도 추가 학습을 통해 인식율을 99.9%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방수 및 방진 기능의 IP 65/67 등급, -20℃에서 50℃까지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견고한 내구성은 까다로운 현장 환경에서도 이상적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노비텍이 최고의 가성비를 제공하는 USB3.0 카메라 u-Nova2 시리즈의 8.9MP 모델을 출시했다. u-Nova2 시리즈는 동일 사양의 타 USB 3.0 카메라보다 가격 경쟁력을 강화한 제품으로 비전 시스템 구성에 있어 최고의 비용 효율성을 제공한다. 2.3MP, 5MP, 8.9MP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각각의 모델이 있으며, 글로벌셔터 센서가 탑재되어 있어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왜곡없이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30 x 44 x 43.3mm의 컴팩트한 표준 디자인 및 USB C-type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높은 호환성을 제공하여 협소한 생산라인 및 소형 산업 장비 등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GenIcam 및 NVIDIAI Jetson 보드와 호환되어 특별한 구성 없이 카메라를 쉽게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노비텍의 자체 기술로 개발 생산된 제품으로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고객의 다양한 요구 사항에 맞춰 커스텀 제작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뿐만 아니라 의료 산업, 농축 산업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하다. 노비텍 관계자는 “u-Nova2 시리즈는 현재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USB3.0 카메라에 비해 성능 및 호환성, 비용
루시드 비전 랩스가 최근 모듈형 Phoenix 카메라 제품군을 확장하는 새로운 Phoenix Dual Extended-Head 카메라를 출시했다. Phoenix Dual Extended-Head 카메라는 듀얼 5.0 MP 센서를 통해 동기화된 이미지를 원활하게 전송해 더 넓은 시야(FoV)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이 카메라는 해상도 2448 x 2048 픽셀의 두 개의 Sony IMX264 글로벌 셔터 이미지 센서를 장착하여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 자율 이동 로봇(AMR), 무인 항공기(UAV)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에 대한 확장된 시야를 제공한다. 또한, 28 x 28 mm의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은 공간이 제한된 다양한 환경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루시드 비전 랩스의 창립자 겸 사장인 Rod Barman은 “Phoenix 카메라는 스테레오 비전 구성, 다양한 시야각을 가진 드론, 또는 IR 필터가 있는 센서와 없는 센서를 모두 요구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응용 프로그램에 배치될 때, 듀얼 익스텐디드 헤드와 싱글 바디 디자인으로써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이 카메라는 동기화된
루시드 비전 랩스가 '2024 VSD Innovators Awards'에서 뛰어난 성능과 솔루션을 바탕으로 첨단 기술 두 개의 혁신적인 카메라 제품력을 인증받았다고 밝혔다. 올해 루시드 비전 랩스는 Triton HDR 카메라와 Triton2 – 2.5GigE 카메라로 각각 'Gold Award'와 'Silver Award'를 수상했다. Triton HDR 카메라는 실시간 톤 매핑 기능으로 120 dB HDR 이미지를 바로 생성해, 그림자와 하이라이트 부분의 디테일을 한층 더 선명하게 표현하면서 이미지 품질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Triton2 – 2.5GigE 카메라는 300 MB/s의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 성능, 크기 및 비용 간의 완벽한 균형을 맞춰 빠른 이미지 획득 속도를 제공한다. LUCID Vision Labs의 창립자 겸 사장인 Rod Barman은 “루시드 비전 랩스의 두 제품이 VSD Innovators Awards에서 인정받아 매우 기쁘다. 고객이 원하는 비전 시스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루시드 비전 랩스는 끊임없이 노력해 최첨단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슈말츠가 배터리 타입의 쉽고 빠른 핸들링이 가능한 '비나핸들링 네오 30'을 소개한다. 비나핸들링 네오 30은 내장 배터리 타입으로 외부 전기나 압축공기 없이 원하는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최대 30kg 중량물 핸들링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어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간단한 구성과 뛰어난 이동성'이다. 장비를 설치하기 힘든 좁은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한 번의 충전으로 200~500회 리프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슈말츠 관계자는 "비나핸들링 네오 30은 원하는 장소에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이동 배터리 방식 리프트 비나핸들링 네오 30으로 현장 유연성 혁신을 이끌기 바란다"고 밝혔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엘파인이 동축 낙사 조명 'LCRG SERIES'를 출시했다. LCRG SERIES는 고스트 현상 방지 및 고해상도 이미지 추출이 가능한 동축 낙사 조명이다. 동축 낙사 조명은 일반적으로 LED 어레이에서 확산된 빛을 카메라 렌즈와 동일한 광축으로 정렬하기 위해 HALF MIRROR를 사용한다. 기존의 조명은 고스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엘파인은 고해상도 이미지를 요구하는 시장 수요에 고해상도 카메라를 지원하며, 고스트 현상도 방지하는 동축 낙사 조명을 개발했다. 동축 낙사 조명의 HALF MIRROR는 고정밀 광학 GLASS를 사용해 고스트 이미지 방지 및 고해상도 이미징을 구현한다. 또한 특별한 조명 기술로 높은 출력과 균일성을 확보한다. 엘파인은 'LCRG SERIES' 외에도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했다. 엘파인의 SWIR SERIES는 다양한 파장대의 SWIR 조명을 제공하여 특정 응용 분야에 맞는 최적의 조명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SWIR 조명은 가시광선보다 더 멀리서 비춰지는 물체나 재료의 정보를 포착할 수 있어 정밀 검사 및 분석에 매우 유용하다. SWIR KIT는 SWIR(Short-Wave Infrared) 영역을 쉽
리오시스템이 Leimac의 IP67 대응 조명 라인업, IDUB 시리즈 등을 새롭게 선보였다. 리오시스템의 IP67 대응 조명 라인업은 방수성이 뛰어난 광각 링 조명과 컴팩트 바 조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런 제품성으로 식품, 공작기계 점검, 식품포장 OCR, 액체 중 기포 관측 등에 강점을 제공한다. 해당 조명은 IP67과 호환되기 때문에 청소 공정 및 수중 육안 검사에 사용할 수 있다. 식품, 반도체, 금속 등 다양한 검사에도 활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외경 ( 90mm / 140mm ) 최대 800mm 까지 대응 가능하며 Bar 타입의 조명은 컴팩트한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특수 광학 설계 덕분에. 광각 광분산이 가능하여 광시야에도 사용할 수 있다. 확산판 링 조명은 특수한 광학 설계를 통해 높은 균일도를 달성해 빛번짐이 발생하기 쉬운 작업물에도 취급이 가능하다. LWD에서의 엣지검사부터 광역검사까지 광범위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리오시스템이 소개하는 이미지 합성 검사에 이상적인 IDUB 시리즈는 동축 조명과 돔 조명 사이를 전환해 확산광과 수직광으로 동일한 스테이지에서 복합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돔 조명과 동축 조명을 동시에 사용해 돔 조명의
크래비스가 크래비스 5메가픽셀 SWIR 카메라 및 저가형 SWIR 카메라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기존 Sony IMX990 SWIR 센서를 활용한 SWIR 카메라 출시에 이어 5메가픽셀 및 기존 카메라 대비 5배 이상 저렴한 SWIR 카메라를 출시 예정이다. 크래비스의 SWIR 카메라는 농업, 건설, 배달로봇, 웨어러블하우스 로봇, AR/VR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크래비스 관계자는 "SWIR 카메라는 동일 유사 색상 피사체 재질 구분, 특정 재질 투과 검사가 가능해 여러 분야에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라고 전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라온피플이 피부를 읽어주는 혁신적인AI 어드바이저 ‘아이미모(AIMIMO)’를 공식 론칭했다고 밝혔다. 이날 라온피플은 피부검사 항목별 정량화를 통해 직관적인 개선효과를 숫자와 눈으로 고객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이력 서비스 제공은 물론 고객부터 매장관리까지 가능한 전문통합 운영관리 솔루션 ‘아이미모샵(AIMIMO#)’을 함께 선보였다. 라온피플은 아이미모를 통해 예방과 유지에 민감한 20대부터 안티에이징 및 피부힐링을 원하는 중장년층까지 다양한 연령층에 적합한 피부분석 및 진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이미모샵과 연동해 피부진단 항목별 최적화된 관리가이드와 정량화된 리포트를 제공하는 등 AI 맞춤형 에스테틱 종합관리 플랫폼 론칭으로 국내외 K-뷰티 시장에 파급력을 높여나간다는 전략이다. 특히, 매장에서 아이미모와 아이미모샵을 운영하는 뷰티 전문브랜드 ‘스파나무’는 토털 피부관리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한편 관리샵의 전문성 강화 및 운영 효율성으로 수익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라온피플 관계자는 "이번 아이미모 통합솔루션의 론칭에 따른 API 서비스 제공으로 의료 및 미용기기관련 산업에 인공지능기술을 적용하고 AI 뷰티 플랫폼 로
지란지교시큐리티가 방산 부문 모바일 출입통제 시장 확장에 나선다고 밝혔다. K-방산의 급성장 및 방산 기술 보호 강화 추세에 맞춰 모바일 출입통제 사업에 집중, 중소∙중견 방산 기업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장 수요를 적극 흡수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국가 분쟁이 연이어 발생하며 각국의 군비 지출 증가로 국내 방위 산업은 급성장했다. 방산의 급성장은 국내 방산 기술 보호를 위한 보안 강화로 이어졌다. 최근 방산 업체를 대상으로 한 해킹 공격이 빈번해짐에 따라 방산 업체의 보안 강화는 필연적이다. 방산 보안의 핵심은 기술∙기밀 보호 체계 구축에 있다. 기밀 자료 유출은 대부분 내부자 소행으로 내부자 리스크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중 가장 손쉬운 비주얼 해킹 수단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단 촬영, 문자 및 이메일을 통한 자료 유출을 막기 위한 방산 기업들의 모바일 보안 강화 움직임이 확산되는 추세다. 모바일 출입통제 강화를 위해서는 기술 보호구역에서 스마트폰의 카메라, 녹음 등 기능 사용을 제한, 통제해야 한다. 모바일 출입통제 관련 사항은 방위산업보안업무훈령, 산업기술보호지침 등 컴플라이언스로 제정됨에 따라 방산기업들의 법적 규제 준수가 요구된다. 이미 다수의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가 지난 23일부터 24일까지 중국 칭다오에 위치한 ‘헥사곤 스마트 팩토리와 익스피리언스 센터’에서 100여 명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파트너사 임직원 및 헥사곤 임직원들이 참여한 ‘APK 파트너 커넥트 2024’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APK 파트너사 행사에서는 참가한 파트너사 임직원 대상으로 한국의 제조업 디지털 전환 성공 사례를 비롯해 호주, 뉴질랜드,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아태지역 전역의 헥사곤 솔루션 도입 우수 사례를 공유했다. 각 사업부 연사들의 최근 시장 동향 분석 및 솔루션 소개에 이어 아태지역 최대 규모의 헥사곤 스마트 팩토리와 익스프리언스 센터 가이드 투어가 진행됐다. 헥사곤의 전 계열사가 보유한 최신 솔루션이 전시된 ‘헥사곤 익스피리언스 센터’에서 참가자들은 헥사곤의 측정장비 및 생산 공정을 참관했으며, 익스피리언스 센터에서 선보인 최첨단 기술과 역량이 헥사곤의 AI 기술을 통해 실제로 구현된 ‘스마트 팩토리’를 견학했다.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코리아 측은 창원 산업단지 및 경남 지역 국내 제조업계의 디지털 전환 사례와 ‘헥사곤의 넥서스 플랫폼을 통한 제조 혁신 및 역량 강화’에 대한
슈퍼브에이아이가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의 'ISV 파트너 패스'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AWS ISV 파트너 패스는 AWS가 다양한 파트너의 고객 요구사항을 지원하고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클라우드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구축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됐다. 파트너 패스에 선정되면 SaaS 솔루션 구축, 마케팅 및 비즈니스 지원, 교육,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AWS와 협력할 수 있다. 슈퍼브에이아이는 AWS 파트너가 AWS에서 솔루션 안전성을 자체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FTR 절차를 거쳐 ‘AWS 인증 소프트웨어 패스'를 취득했다. FTR 승인은 파트너가 AWS의 기술적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는 단계로, 고객에게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장한다. 슈퍼브에이아이는 AWS 마켓플레이스에 ‘슈퍼브 서비스’ 및 ‘슈퍼브 플랫폼’을 등록했다. AWS 마켓플레이스는 고객이 솔루션을 구축하고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타사 소프트웨어, 데이터 및 서비스를 검색 구매, 배포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큐레이션된 디지털 카탈로그로, 등록돼 있는 솔루션들을 복잡한 절차 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Autodesk 공인 총판사 SCK가 6월 12일 AutoCAD의 2025의 신기능을 통한 업무 프로세스 혁신을 소개하는 웨비나를 개최한다. AutoCAD의 최신 AI 기능과 효율적인 검토 프로세스를 소개해드렸던 지난 4월 2일 웨비나에 이어, 이번 웨비나에서는 AutoCAD의 2025의 신기능 소개와 AI 기능을 활용해 도면 작성을 함께할 예정이다. 이번 웨비나는 SCK 최남영, 송지혁 AutoCAD 엔지니어가 업무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AutoCAD 신기능, 도면을 작성에 AI 기능을 활용하고 싶은 업계 관계자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오는 6월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