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가 금융 산업을 위한 ‘금융 특화 코텍스 AI(Cortex AI for Financial Services)’를 출시했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들은 높은 수준의 보안과 규제 준수를 유지하면서도 AI 모델,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를 활용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금융 특화 코텍스 AI는 시장 분석, 리스크 관리, 이상 거래 탐지, 고객 지원, 보험 청구 관리 등 다양한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할 수 있는 기업용 AI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은 업무 시간을 절감하고 운영비를 낮추며, 신속하고 정확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또한 산업 전반에서 활용 가능한 관리형 ‘MCP 서버(Model Context Protocol Server)’를 퍼블릭 프리뷰로 선보였다. MCP 서버는 기업 내부의 민감한 데이터를 스노우플레이크 환경 내에서 안전하게 관리하며, 앤트로픽, 크루AI, 세일즈포스 등 주요 에이전트 플랫폼과 연결해 풍부한 컨텍스트를 갖춘 AI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외부 데이터와 내부 데이터를 분리·보호하면서도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금융 특화 코텍스 AI 생태계에서는 CB 인사이트, 도이체뵈르제, MSCI, 나스닥 이베스트먼트 등 금융 데이터 제공업체뿐 아니라 팩트세트, 인베스토피디아, 워싱턴포스트 등 비정형 데이터 소스까지 활용할 수 있다. 스노우플레이크의 ‘시맨틱 뷰 공유’와 ‘코텍스 널리지 익스텐션’ 기능을 통해 기업은 이러한 외부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와 결합해 AI 기반 금융 분석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 사이언스 에이전트’는 리스크 모델링, 예측, 트레이딩 분석, 규제 준수 등 금융 모델 개발 과정을 자동화해 데이터 정제, 특징 공학(feature engineering), 모델 검증 등 반복적인 업무를 단축시킨다.
또한 ‘코텍스 AISQL’을 활용하면 실적 발표 자료, 거래 문서, 오디오·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도 대규모로 분석해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융 기업은 복잡한 ETL 과정 없이 투자 분석, 보험 심사, 고객 서비스 등 엔드 투 엔드 AI 워크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다.
‘스노우플레이크 인텔리전스’를 통해 현업 사용자는 별도의 코딩 없이 자연어 대화형 인터페이스만으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고 즉시 활용 가능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MCP 서버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코텍스 애널리스트’와 ‘코텍스 서치’를 외부 AI 에이전트와 손쉽게 연결할 수 있어, 복잡한 시스템 통합 과정을 최소화한다.
스노우플레이크 MCP 서버를 통해 원격 에이전트는 ‘코텍스 널리지 익스텐션’을 활용해 스노우플레이크 내부 데이터 및 마켓플레이스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기업은 보안과 거버넌스를 유지한 채 외부 AI 생태계와 안전하게 연동할 수 있다.
바리스 굴테킨 스노우플레이크 AI 책임자는 “금융 산업은 데이터 분절, 규제 준수, 보안 등 복합적인 과제를 안고 있다”며 “스노우플레이크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곳에서 직접 AI를 실행함으로써 금융기관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AI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