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일즈포스가 글로벌 CFO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CFO들은 AI 에이전트 활용을 통해 비용 절감과 매출 성장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며,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까지 혁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일즈포스는 모닝컨설트와 함께 한국을 포함한 24개국의 CFO 26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78%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AI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72%는 AI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CFO들은 AI를 단순 반복 업무 자동화 도구가 아닌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CFO들은 AI 예산의 약 25%를 에이전틱 AI에 투입하고 있으며, 74%는 AI 에이전트가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매출 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64%는 AI 에이전트가 기업의 지출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AI 에이전트를 도입한 기업은 평균 매출이 약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CFO의 55%는 AI 에이전트가 단순 업무보다 전략적 업무를 더 많이 수행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위험 평가(74%), 재무 예측(58%), 비용 관리(54%) 등 핵심 재무 업무가 AI 에이전트에 의해 처리되고 있었다.
CFO들의 AI 투자 전략에 대한 자신감도 확인됐다. 전체의 56%가 자신감을 보였으며 ROI 평가 기준으로는 비용 절감, 리스크 및 규정 준수 개선, 매출 성장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다만 보안 및 개인정보 위협(66%)과 ROI 실현 기간(56%)은 주요 우려 요인으로 지적됐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83%가 AI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고 응답해 글로벌 평균을 웃돌았다. 주요 활용 분야는 위험 평가(85%), 재무 예측(65%), 수익성 평가(58%) 순으로 나타났다. 아태지역 CFO의 52%는 자신의 AI 투자 전략에 대해 자신감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세일즈포스는 AI 에이전트 플랫폼 ‘에이전트포스(Agentforce)’를 통해 자사 재무 조직의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조달 관련 문의의 절반가량을 자동 처리해 인력 부담을 줄였으며, 채권 회수 예측의 오차를 낮추고 생성 시간을 며칠에서 몇 분으로 단축했다. 계약 검토 시간도 60% 줄어 업무 전반의 생산성이 개선됐다.
박세진 세일즈포스 코리아 대표는 “이번 조사로 AI 에이전트가 단순 업무 지원을 넘어 기업의 매출과 운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CFO들이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