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알리바바, 싱가포르 AIGCC 개소…AI 인재·산업 협업 본격화

URL복사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싱가포르에서 열린 ‘알리바바 클라우드 글로벌 서밋’을 통해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에 신규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고 싱가포르에 ‘AI 글로벌 역량센터(AIGCC)’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프라 확장과 AI 전문조직 출범은 글로벌 AI·클라우드 수요에 대응하고 산업별 AI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말레이시아에는 지난 1일 세 번째 데이터센터를 공식 개소했으며, 필리핀에는 오는 10월 중 두 번째 데이터센터를 추가로 열 계획이다. 앞서 발표한 태국, 멕시코, 한국에 이어 이번 동남아 거점 강화는 글로벌 인프라 네트워크를 안정성과 확장성 중심으로 강화하고 기업의 AI 혁신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기반을 마련하려는 목적이다.

 

싱가포르에 설립된 AI 글로벌 역량센터는 5000개 기업과 10만 명 이상의 개발자 지원을 목표로 한다. 센터는 실험 환경과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AI 이노베이션 랩을 통해 실무 맞춤형 데이터셋과 토큰 크레딧을 지원한다. 또한, 1000개 이상 기업 및 스타트업과 협업해 산업별 AI 에이전트를 공동 개발하고 의료·제조·에너지 등 주요 산업을 중심으로 활용 사례 확산을 추진한다. 연 10만 명 규모의 AI 전문 인재 양성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번 서밋에서는 신제품도 함께 공개됐다. 실시간 데이터 전송 기능이 강화된 ‘알리바바 클라우드 DTS’는 비정형 데이터를 자동으로 벡터 DB로 변환하는 ‘One Channel for AI’ 기능을 탑재했다. LLM 기반 RAG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전처리를 자동화해 진입 장벽을 낮췄다. AI 플랫폼인 PAI-EAS에는 ‘Expert Parallel’ 최적화 기술과 모델 웨이트 서비스를 도입해 대규모 모델의 추론 효율과 배포 속도를 향상시켰다. Qwen3 모델 실험 결과, TPS 1만 5000 이상, 평균 지연시간 50ms 미만을 기록했으며 콜드 스타트 속도도 90% 이상 단축됐다.

 

지속가능성 대응을 위한 ‘에너지 엑스퍼트’ 플랫폼도 ESG 보고 기능을 강화해 공개됐다. 자체 AI 모델 Qwen을 기반으로 ESG 보고서를 자동화하며 ISSB, GRI, SASB 등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실시간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난양이공대와 협력해 진행한 글로벌 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AI 지속가능성 비전에 동의하는 기업은 84%에 달했지만, 실제 AI 도입은 69%가 초기 단계에 머물렀다. 기술 장벽으로는 지속가능 소재 부족과 에너지 최적화 한계가 지목됐으며, 전략 수립과 실행 역량 부족도 과제로 나타났다.

 

한편,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파트너 생태계 확대를 위해 총 6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Dify, Squirro, Atos, DXC, 베스핀글로벌 인도네시아 등과의 협력을 포함해 글로벌 1만 2000여 파트너와 AI 솔루션 도입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