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시스커뮤니케이션즈가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 오르체홀에서 개최한 연례 보안 행사 ‘엑시스 솔루션 컨퍼런스 2025’가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Protect and Grow Your Business(비즈니스를 지키고 성장시키십시오)’를 주제로, 인공지능(AI)과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한 지능형 보안 솔루션을 통해 기업의 보안 강화와 비즈니스 성장을 동시에 실현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엑시스는 행사에서 자체 개발한 9세대 시스템온칩(SoC) ‘ARTPEC-9’과 이를 탑재한 신제품 카메라를 공개했다. 이 칩은 딥러닝 기반 분석 기능을 강화했으며 업계 최초로 AV1 코덱을 지원한다. 강화된 사이버보안 성능과 고품질 이미징 기술을 더해 정밀하고 빠른 대응이 가능한 차세대 보안 플랫폼으로 주목받았다. 또한 비디오, 오디오, 레이더, 열화상, 환경 센서 등 다양한 데이터를 결합해 지능형 보안 환경을 구현하는 방법도 공유했다. 기조연설에서는 ARTPEC-9을 활용한 보안 혁신 방향이 집중 조명됐다. 레온 조우 엑시스 R&D 센터 디렉터는 “ARTPEC-9은 AI 기반 분석 성능을 대폭 강화해 보다 정밀하고 빠른 판단을
카스퍼스키가 2025년 3분기 국내 사이버 위협 동향을 분석한 결과, 로컬 위협 건수가 245만 4670건으로 집계되며 전 분기 대비 36.5% 증가했다고 밝혔다. 반면 인터넷 기반 공격은 98만 9110건으로 2분기 대비 62.1% 감소해 위협 양상이 오프라인 중심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7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서 탐지된 웹 기반 및 로컬 기반 위협을 중심으로 분석됐다. 인터넷을 통한 공격 건수는 2분기 261만 3289건에서 98만 9110건으로 크게 줄었으며 브라우저 및 플러그인 취약점 패치와 보안 솔루션 탐지 효과가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그러나 USB, CD/DVD 등 외부 매체를 이용한 로컬 공격은 급증했다. 로컬 위협 노출 사용자 비율은 22.0%로 2분기 20.4%에서 1.6%p 상승하며 세계 순위도 75위에서 58위로 올라섰다. 카스퍼스키는 이러한 변화가 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내부 전파와 사용자 행동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내부 네트워크 보안과 개인의 기기 관리가 위협 차단의 핵심으로 지목됐다. 회사는 클라우드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 인프라인 Kaspersky Security Network(KSN)를 통해 전
페스카로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코스닥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 상장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 공동 주관사는 한화투자증권이다. 이번 상장을 통해 페스카로는 총 130만 주를 공모할 계획이며 희망 공모가는 1만 2500원에서 1만 5500원 수준이다. 공모 예정금액은 162억 원에서 201억 원 규모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은 11월 21일부터 27일까지 5일간 진행된다. 청약은 12월 1일과 2일 양일간 진행될 예정이며 연내 코스닥 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페스카로는 2016년 자동차 전장시스템 전문가와 화이트해커 출신 인력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차량 통합보안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제어기 단위의 보안을 넘어 차량 전체 시스템과 라이프사이클을 포괄하는 통합보안 체계를 구축했으며 이미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에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차량 통합보안 플랫폼은 전장제어기에 최적화된 보안 솔루션, 차량 전체 통신을 보호하는 게이트웨이 제어기, 공급망 전반을 관리하는 자동차 사이버보안 전용 IT솔루션으로 구성된다. 자동차 산업이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사이버보안 관리의 복잡성이 높아지고 있다. 페스카로는 이를 대응하기 위해 엔
페르세우스가 국제 인증기관 DNV로부터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 표준 ISO 26262의 최고 등급인 ‘ASIL-D’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은 CPU와 MCU 하이퍼바이저 모두에서 해당 인증을 받은 것으로 자동차 산업 내 기능 안전의 새 기준을 세웠다는 평가다. ISO 26262는 자동차 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능 안전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으로, ASIL은 위험의 심각성·발생 가능성·제어 가능성에 따라 A부터 D까지 구분된다. 이 중 ASIL-D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 보증을 요구하며 독립 인증기관의 기술 검증과 절차 준수를 모두 통과해야 한다. 페르세우스는 이번 인증 과정에서 안전 핵심 구성요소 식별, 기능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 결함 주입 및 이중화 검증, 독립적 기능 안전 평가 등 복합적 프로세스를 모두 완료했다. 이번 성과로 페르세우스는 글로벌 완성차 및 주요 부품 공급업체의 필수 기능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하게 됐다. ISO 26262 ASIL-D는 협력사 선정의 핵심 기준으로 이를 확보한 기업만이 차량용 하이퍼바이저를 상용화할 수 있다. 페르세우스는 이번 인증을 통해 해외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새로운 칩셋 출시에 맞춰 하이퍼바이저를 더 빠르
마이크로소프트가 AI 에이전트 기반의 보안 기능을 통합한 ‘마이크로소프트 센티넬(Microsoft Sentinel)’ 최신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데이터, 컨텍스트, 자동화, AI 에이전트를 유기적으로 결합해 위협 탐지부터 대응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번 센티넬은 ‘센티넬 데이터 레이크(Sentinel Data Lake)’의 공식 출시와 함께 ‘센티넬 그래프(Sentinel Graph)’,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 서버를 프리뷰로 공개하며 보안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AI 에이전트가 이를 기반으로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보안팀은 AI 속도로 위협에 대응하며 능동적인 보호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센티넬은 다양한 도메인에서 수집한 신호를 상호 연관 분석하고 그래프 기반 관계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엔드포인트, 클라우드 등 각 영역의 위협을 통합적으로 파악한다. 보안 담당자는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공격 경로를 추적하고 대응 우선순위를 자동 지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분석 작업은 에이전트가 수행해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단일 플랫폼에서 AI 보안 에이
플리토가 초개인화(Hyper-Personalization) 기술을 적용한 실시간 온라인 미팅 AI 통번역 솔루션 ‘챗 트랜스레이션(Chat Translation)’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이번 솔루션은 플리토 창립 이후 처음 선보이는 온라인 미팅 특화 B2C AI 통번역 서비스로 다국적 협업이 일상화된 글로벌 업무 환경에서 언어 장벽 없이 소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챗 트랜스레이션은 '실시간 다국어 AI 통번역', '사용자 맞춤 데이터 학습', '사용 패턴 기반 초개인화' 기능을 핵심으로 한다. 최대 12개 언어를 지원하며 회의 중 실시간 번역과 요약을 동시에 제공해 사용자는 언어 제약 없이 글로벌 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미팅 종료 후 자동 요약된 텍스트를 제공해 회의록 작성과 업무 정리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줄여준다. 이번 솔루션의 가장 큰 특징은 개인 맞춤 학습 기능이다. 사용자가 회의를 거듭할수록 AI가 대화 패턴과 업무 맥락을 학습해 점점 더 정교한 번역 결과를 제공한다. 단순한 일회성 번역을 넘어 회의의 흐름, 개인의 말투, 전문 용어 사용 패턴까지 반영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사용자는 자신의 업무 문서, 이력서, 논문, 기사, 유튜브 스크립
공감형 AI 서비스 전문 스타트업 루미글루가 공감형 AI 일정 관리 앱 ‘사이(Sai)’를 공식 출시했다. 루미글루는 ‘사람을 향하는 기술’이라는 철학 아래 인간과 기술이 교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출시를 통해 일상 속에서 사용자가 감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AI 비서를 제시했다. ‘사이’는 단순한 일정 관리 도구가 아니라, 사용자의 감정과 대화를 이해하며 일정을 함께 관리하는 공감형 AI 비서다.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를 직접 선택하거나 만들 수 있으며 캐릭터는 사용자의 대화를 기억해 맥락에 맞는 반응을 보인다. 루미글루는 반려견의 사진이나 사용자가 직접 그린 그림을 캐릭터로 등록해 AI와 일상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할 계획이다. 앱의 핵심은 자연어 기반 일정 관리 기능이다. 사용자가 “화요일 5시 디자이너랑 기획 회의”라고 말하면 캘린더에 자동으로 일정이 입력되고 “다음 주에 친구랑 보기로 했어”와 같이 구체적이지 않은 일정도 인식해 적절한 시점에 알림을 제공한다. 고정된 일정뿐 아니라 유동적인 약속까지 관리해주는 점이 특징이다. 사이에는 루미글루가 자체 개발한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술이 탑재됐다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가 사텔리오트(Sateliot), 게이트하우스 샛콤(Gatehouse Satcom)과 함께 LEO(저궤도) 위성망 기반 IoT 연결 기술을 성공적으로 시연하며 NTN(Non-Terrestrial Network) 위성 통신 분야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이번 실험은 노르딕의 nRF9151 저전력 셀룰러 IoT 모듈을 사텔리오트의 LEO 위성망과 연결해 노르딕의 클라우드 기반 IoT 관리 플랫폼인 nRF 클라우드(nRF Cloud)와의 C2C(Chip-to-Cloud) 통신을 실현한 것이다. 이번 성과는 지구상의 대부분 원격 지역에서도 IoT 기기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며 글로벌 IoT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실질적 진전을 의미한다. 사텔리오트는 지상 셀룰러망을 우주로 확장할 수 있는 D2D(Direct-to-Device) 위성 IoT 통신을 세계 최초로 시연한 기업으로 이번 협력을 통해 LEO 5G IoT 위성군을 활용한 원활한 연결 환경을 구축했다. 노르딕의 초저전력 셀룰러 기술과 결합함으로써 스마트 농업, 자산 추적, 스마트 계량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질적인 IoT 확장 가능성이 확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서 AWS, 에이전틱 AI 비전 제시 '아마존 베드록·에이전트코어'로 산업형 AI 구축 지원 신규 애플리케이션 '퀵 스위트'공개...자동화·데이터 통합 강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지난 14일 서울 코엑스 더 플라츠에서 열린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에서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에이전틱 AI 기술과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아마존 퀵 스위트(Amazon Quick Suite)’를 공개했다. 벤 카바나스(Ben Cabanas) AWS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 지역 기술 디렉터는 기조연설에서 “자연어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행동을 유도하는 시대”라며 “이는 단순한 기능 개선이 아니라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말했다. 카바나스 디렉터는 전 세계 AI 에이전트 시장 규모가 2024년 54억 달러에서 2034년 236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AI와 로보틱스의 결합이 산업 생산성 향상의 핵심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에이전트는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계획하며 행동하는 시스템으로 인간의 전문가 수준의 판단을 모방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사례로
유아이패스가 엔비디아와 손잡고 민감한 업무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에이전틱 자동화(Agentic Automation)를 제공한다. 양사는 금융 사기 탐지, 의료 환자 관리 등 고신뢰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기업의 기존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AI로 강화하기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 이번 협력은 유아이패스의 에이전틱 자동화 역량과 엔비디아의 네모트론(Nemotron) 공개 모델, 그리고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결합해 기업이 자연어 처리, 이미지 해석, 예측 분석 등 엔터프라이즈급 AI 기능을 손쉽게 통합·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AI와 자동화를 결합한 대규모 민감 워크플로우 운영이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가능해진다. 특히 양사는 ‘인티그레이션 서비스(Integration Service) 커넥터’를 새롭게 도입해 유아이패스 플랫폼과 엔비디아 NIM, 네모트론 간 연결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생성형 AI 기능을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 빠르게 통합할 수 있으며 에이전트·로봇·인간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완전 자동화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유아이패스는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에이전틱 자동화 생태계 전반을 확장하고 있다.
엘리스그룹이 운영사로 참여한 ‘현대자동차그룹 2025 빅데이터 부트캠프’가 지난 9월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제조 현장의 데이터를 AI 기술로 전환하고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AX(Autonomous Transformation)형 인재 육성을 목표로 진행됐다. 현대자동차그룹 인재개발원이 주관한 이번 부트캠프는 약 6개월간 진행됐으며 현업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사업 과제를 AI·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솔루션을 도출하는 PBL(Problem Based Learning) 방식으로 설계됐다. 올해는 내부 리더들의 참여를 강화해 과제의 비즈니스 효과를 극대화했으며 전 기간 동안 비즈니스 코칭과 테크 코칭, 튜터링이 병행됐다. 운영사로 참여한 엘리스그룹은 AI 특화 클라우드와 실습 중심 교육 플랫폼을 제공해 교육 효과를 높였다. 고성능 GPU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실습 환경과 데이터 분석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축해 교육생들이 실제 산업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한 AI 전문가 그룹의 코칭을 통해 과제 완성도와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교육생 개별 역량 진단 결과를 반영한 맞춤형 학습 콘텐츠 제공도 눈에 띈
로봇 비전 기술이 제조 현장의 자동화 수준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자율제조 혁신의 열쇠: 픽잇 3D Robot Vision 솔루션’ 웨비나는 3D 비전 기반 로봇 인식 기술이 생산성과 품질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조명한다. 픽잇(Pickit)은 카메라와 알고리즘, 로봇 제어 기술을 통합한 3D 비전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제조업체들의 공정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조영범 픽잇코리아 차장이 발표자로 나서 ‘픽잇과 3D 로봇 비전 개요’, ‘3D 비전이 가져오는 제조 혁신’, ‘글로벌 성공 사례 및 트렌드’를 중심으로 기술의 진화 방향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산업별 자동화 시나리오에 맞춘 실제 적용 사례가 다뤄진다. 로봇 빈 피킹(Bin Picking)을 통한 공정 자동화, 조립 및 가이던스 자동화 사례, 스마트 물류·측정·검사 프로세스 개선 사례 등 다양한 응용이 소개되며 이를 통해 기업이 ROI(투자수익률)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시된다. 특히 픽잇의 3D 비전 솔루션은 기존 2D 기반 시스템 대비 복잡한 형태의 부품 인식과 정밀 위치 추적에 강점을 가지며 공정 오류를 줄이고 로봇의 적응 학습 속도
로봇 비전 기술이 제조 현장의 자동화 수준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자율제조 혁신의 열쇠: 픽잇 3D Robot Vision 솔루션’ 웨비나는 3D 비전 기반 로봇 인식 기술이 생산성과 품질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조명한다. 픽잇(Pickit)은 카메라와 알고리즘, 로봇 제어 기술을 통합한 3D 비전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제조업체들의 공정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조영범 픽잇코리아 차장이 발표자로 나서 ‘픽잇과 3D 로봇 비전 개요’, ‘3D 비전이 가져오는 제조 혁신’, ‘글로벌 성공 사례 및 트렌드’를 중심으로 기술의 진화 방향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산업별 자동화 시나리오에 맞춘 실제 적용 사례가 다뤄진다. 로봇 빈 피킹(Bin Picking)을 통한 공정 자동화, 조립 및 가이던스 자동화 사례, 스마트 물류·측정·검사 프로세스 개선 사례 등 다양한 응용이 소개되며 이를 통해 기업이 ROI(투자수익률)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시된다. 특히 픽잇의 3D 비전 솔루션은 기존 2D 기반 시스템 대비 복잡한 형태의 부품 인식과 정밀 위치 추적에 강점을 가지며 공정 오류를 줄이고 로봇의 적응 학습 속도
세상의 흐름을 읽는 스마트한 습관 [글로벌NOW] 매주, 세계는 조용히 변화를 시작합니다. 기술이 바꾸는 산업의 얼굴, 정책이 흔드는 공급망 질서, 기업이 선택하는 미래 전략. 세계 곳곳에서 매주 벌어지는 이 크고 작은 변화는 곧 우리 산업의 내일과 맞닿아 있습니다. 글로벌NOW는 매주 주목할 만한 해외 이슈를 한 발 빠르게 짚어주는 심플한 글로벌 브리핑입니다. AI, 제조, 물류,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는 굵직한 사건과 트렌드를 큐레이션해 독자들이 산업의 큰 그림을 한눈에 파악하도록 돕겠습니다. [AI] 구글, 인도에 150억 달러 규모 AI 허브 투자...亞 최대 AI 인프라 거점 구축 구글이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사카파트남(Visakhapatnam)에 150억 달러(약 21조 원)를 투자해 대규모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허브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구글이 미국 외 지역에 조성하는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로 향후 5년간 단계적으로 완공될 예정이다. 토마스 쿠리안 구글 클라우드 CEO는 뉴델리에서 열린 발표 행사에서 “비사카파트남 AI 허브는 구글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중 가장 큰 단일 캠퍼스가 될 것”이라며 “
로봇이 산업 자동화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자율이동로봇(AMR)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MiR 사 AMR 소개 및 Global 사용 사례’ 웨비나는 세계 각 산업 현장에서 검증된 MiR(Mobile Industrial Robots)의 최신 기술과 성공 사례를 통해 자율이동로봇이 만들어가는 스마트 자동화의 미래를 제시한다. 이번 행사는 테라다인 로보틱스의 이주연 이사가 발표를 맡아 MiR의 기술력과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MiR은 물류, 제조,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AMR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웨비나에서는 AMR의 핵심 기술 구조와 자동 내비게이션, 실시간 장애물 회피 등 자율주행 기반 기능이 소개되며 이를 통해 각 산업이 생산성 향상과 ROI(투자수익률)를 어떻게 극대화했는지 구체적인 사례가 제시된다. 특히 이주연 이사는 한국 시장에서의 AMR 도입 가능성과 적용 전략을 함께 다루며 실제 현장에서 자동화를 추진하는 기업 담당자와 엔지니어를 위한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글로벌 물류 기업의 창고 최적화 사례, 전자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