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포티투마루, ‘LLM42’로 AI 신뢰성 인증 2관왕...민간까지 석권

URL복사

 

개인정보 보호, 편향 대응, 기술적 안정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받아

 

포티투마루가 자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 ‘LLM42’로 한국형 민간 AI 신뢰성 인증제도인 ‘AI-MASTER’를 획득했다. 이미 지난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AI 신뢰성 인증(CAT)’을 LLM 최초로 통과한 데 이어, 포티투마루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공공과 민간 양대 AI 신뢰성 인증을 모두 ‘1호’로 보유한 기업이 됐다. 

 

AI-MASTER는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AIIA)가 주관하고 슈어소프트테크, 셀렉트스타와 공동 개발한 국내 첫 민간 AI 신뢰성 인증 체계다. EU ‘Trustworthy AI’ 7대 원칙과 국제표준(ISO/IEC) 9종을 기반으로 문서 검토, 시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총 63개 항목을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특히 60% 이상 항목은 자동화 도구를 활용해 평가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포티투마루의 LLM42는 개인정보 보호, 편향 대응, 기술적 안정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어 특화 설계와 경량화 기술을 바탕으로 낮은 비용, 높은 보안성, 산업 현장 적용성까지 갖췄다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했다. 특히, 환각 문제 완화를 위해 자체 검색증강생성 기술인 RAG42와 인공지능 독해기술 MRC42를 결합해 안정성과 정밀도를 높였다. 또한, 프라이빗 모드 지원으로 기업 고객이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다룰 수 있어 실제 적용 가능성이 크다. 

 

앞서 LLM42는 지난해 11월 TTA의 공공 AI 신뢰성 인증에서도 국내 LLM 중 최초로 통과한 바 있다. 당시 책임성, 투명성, 다양성 존중 등 총 11개 항목에 대해 시험·검증을 받았으며, 공공 부문에서 LLM의 활용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AI-MASTER 인증 획득으로 포티투마루는 기술력은 물론 신뢰성과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도 입지를 굳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AI-MASTER는 향후 정부 R&D 사업 참여, 공공조달, 고영향 AI 지정 등과 연계될 예정이며, 글로벌 상호인정 체계 확장도 추진되고 있어 LLM42의 시장 경쟁력은 확대될 전망이다.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는 “AI 기술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완성도와 함께 사회적 신뢰를 충족해야 한다”며 “LLM42가 공공과 민간 모두에서 신뢰성을 인정받은 만큼, 앞으로도 산업 전반에 신뢰할 수 있는 AI 인프라를 확산시키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