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E리서치, 2022년 1~11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발표 작년 1월부터 11월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BYD에 밀려 3위로 내려왔다. 자국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바탕으로 한 중국 업체들의 도약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기간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446.0GWh로 전년 동기 대비 74.7% 상승했다. 글로벌 1위인 중국계 CATL은 두배 이상의 성장을 보여주었고 BYD 등 10위권에 안착한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고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꾸준한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나 전년 동기 대비 30.5%에서 23.1%로 7.4%p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9.7% 성장한 54.8GWh로 3위에 올랐고, SK온은 72.0% 증가한 26.1GWh, 삼성SDI는 74.9% 상승한 22.1GWh를 기록했다. LG엔솔을 제치고 2위에 오른 BYD의 성장세가 무섭다. 경기 침체, 반도체 수급난 등이 우리 기업들에게 악재로 작용했고, 중국 시장의 꾸준한 성장세, 그리고 유럽향 폭스바겐, 볼보 등의 모델과 중국향 테슬
CATL, BYD 등 중국 기업이 시장 성장 이끌어...LG엔솔은 2위 수성 올해 들어 10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B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2위를 유지했다. SK온과 삼성SDI는 각각 5, 6위 자리를 지켰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10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390.4GWh로 전년 동기 대비 75.4%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1위인 중국계 기업 CATL은 두 배 가까운 성장을 기록했고, BYD 등 Top 10에 오른 중국계 기업은 모두 세 자리 수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꾸준한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1.7%에서 24.8%로 6.9%p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한 53.7GWh로 2위를 지켰다. SK온은 83.2% 증가한 24.1GWh, 삼성SDI는 69.0% 상승한 18.9GWh를 기록했다. 배터리 셀 메이커들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는 모델들의 판매가 주 요인이다. SK온은 현대 아이오닉5와 기아 E
한국계 3사 점유율 56.0%, 중국계 ‘급성장’ CATL 2위 등극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의 전기차(EV, PHEV, HEV)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지켰다. SK온과 삼성SDI는 Top 5에 안착했고, 국내 3사의 점유율은 56.0%를 기록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9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양은 145.0GWh로 전년 동기 대비 40.4% 증가했다. 업체별로는 LG에너지솔루션이 18.4% 성장한 43.7GWh로 1위 자리를 지켰다. 중국계 CATL은 非중국 시장에서도 112.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파나소닉을 제치고 2위에 올랐다. SK온은 21.2GWh로 전년 대비 95.8% 성장하며 점유율이 4.1%p 상승했다. 삼성SDI는 16.3GWh로 전년 대비 64.8% 증가하며 5위를 차지했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대비 0.2%p 소폭 상승한 56.0%를 기록했다. 반면, 파나소닉과 PEVE, LEJ 등 일본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장률을 보이며 LEJ를 제외한 업체들의 점유율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이에 비해 CATL을 비
중국계 중심 ‘고성장’ 시장 속 LG에너지솔루션 2위 고수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B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이 1,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성장세로 5위 자리를 지켰다. SNE리서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9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341.3GWh로 전년 동기 대비 75.2%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계는 CATL과 BYD를 필두로 다수의 업체들이 시장 성장을 리드했고, CALB 등 Top 10에 오른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고성장률을 보였다. 반면 파나소닉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이며 계속해서 하락세이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2.5%에서 25.2%로 7.3%p 하락했으나 꾸준한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48.1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92.0% 증가한 21.2GWh, 삼성SDI는 65.1% 상승한 16.6GWh를 기록했다. 국
배터리 사용량 성장세에도 중국계 높은 성장률 탓 올해 1∼9월 전 세계에서 판매된 전기차(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에서 국내 3사의 시장점유율이 작년 동기보다 7%포인트(p) 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9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341.3GWh(기가와트시)로 작년 동기보다 75.2% 증가했다. 특히 점유율 1위인 CATL(35.1%)과 3위인 BYD(12.8%)를 필두로 중국계 업체들이 시장 성장세를 이끌었다. 점유율 상위 10위권에 오른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점유율 4위인 파나소닉(8.1%)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였다. 국내 업체들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시장 점유율은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작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48.1GWh로 2위를 유지했다. SNE리서치는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 모델3, 모델Y의 높은 인기와 폭스바겐 ID.4, 포드 머스탱 마하-E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SK온의
전장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품을 꼽는다면 단연 배터리다. 전기차 비용 가운데 약 40%가량을 차지하는 배터리는 경쟁력 있는 산업이다. 공교롭게도, 국내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라는 세계 수준에서 경쟁하는 배터리 기업이 있다. 배터리 3사는 성장하는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전략 방안을 수립해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3사가 넘어야 할 CATL이라는 산 2022년 상반기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59조 원 규모로 성장했다. SNE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BEV·PHEV)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435만 대로 파악됐다. 올해 상반기 판매된 전기차용 배터리 매출 총액은 427억3000만 달러였다. CATL이 130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기록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58억4000만 달러에 14%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3위 BYD(5조3000억 원·9%), 4위 삼성SDI(4조1000억 원·7%), 5위 일본 파나소닉(3조 원·5%), 6위 SK온(2조8000억 원·5%) 등의 순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
SNE리서치, 2022년 1~8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발표 중국계 CATL, BYD 가파른 성장 속 한국계 3사 순위 유지 2022년 1~8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B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가 1위 자리를 지켰다. LG에너지솔루션은 2위를 유지했고, SK온과 삼성SDI는 두 자릿수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5, 6위에 올랐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8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287.6GWh로 전년 동기 대비 78.7%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계속되고 있다. Top 10에 오른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고성장률을 보이며 CATL과 BYD을 필두로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 파나소닉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이며 계속해서 하락세다. 국내 3사는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3.5%에서 25.0%로 8.5%p 하락했으나 각각 2, 5, 6위를 수성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10.0% 증가한 39.4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On은 2배 상승한 18.4GWh, 삼성SDI는 59
'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 2022', 서울 강남 과학기술회관서 개최 LG엔솔, 삼성SDI, CATL, 현대차, 포스코, 에코프로비엠 등 발표로 참여 이차전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하는 컨퍼런스가 열렸다. 전기차용 이차전지 전문 시장조사 기관 SNE리서치가 주관하는 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 2022(KABC 2022 이하 컨퍼런스)가 서울 강남 과학기술회관에서 20일 개최됐다. KABC 2022는 전기차 및 배터리 전방위 산업에 대한 글로벌 컨퍼런스다.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의 선도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CATL 등 이차전지 제조사뿐 아니라 현대자동차, 포스코, 에코프로비엠 등 이차전지 산업의 주요 참여기업들이 발표에 나서 배터리 기술 동향과 글로벌 기업들의 사업 방향, 미래 전략 등에 대해 심도 깊은 이야기를 나눈다. SNE리서치 김광주 대표는 "KABC 행사를 진행해 온지 13년이 흘렀다"며 "당시에는 배터리 시장이 과연 성장할 수 있을지 우려가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배터리 산업이 이제는 완벽한 성장에 시기에 들어왔다"고 평가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코로나로
SNE리서치 분석…평균 판가는 삼성SDI가 1위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59조원 규모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BEV·PHEV)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증가한 435만대로 파악됐다. 올해 상반기 판매된 전기차용 배터리(팩 기준) 매출 총액은 427억3000만달러(약 58조7000억원)였다.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이 130억달러(약 17조9000억원)로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기록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58억4000만달러(약 8조원)에 14%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3위 중국 BYD(5조3000억원·9%), 4위 삼성SDI(4조1000억원·7%), 5위 일본 파나소닉(3조원·5%), 6위 SK온(2조8000억원·5%) 등의 순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올해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매출액은 108억9000만달러(약 15조원·26%)로, CATL 한 곳의 매출보다 적었다. 한편 업체별 평균 배터리 팩 판가는 삼성SDI가 kWh(킬로와트시)당 183달러로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량과 매출액에서 CATL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가운데, 국내 3사도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SNE리서치가 집계한 2022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435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65% 성장했다. 이 가운데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 1위는 CATL으로, 판매량과 매출액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LG에너지솔루션과 BYD가 2,3위로 뒤를 따랐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비중이 높은 삼성SDI는 배터리 사용량에 비해 매출액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는 일본계 파나소닉과 올해 한국계 3사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는 SK온이 각각 4, 5위에 올랐다. 배터리 팩 판가($/kWh)를 계산한 결과, SDI가 183$/kWh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의 Guoxuan과 EVE가 다음으로 높았다. 일본의 파나소닉의 경우 테슬라에 원통형 셀 판매가 대부분으로 판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2022년 1~7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한국계 3사 점유율 25.9%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이 1, 2위를 유지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시장에선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지켰고 CATL은 3위를 차지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240.8GWh로 전년 동기 대비 76.0%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계는 CATL과 BYD를 필두로 다수의 업체들이 중국 시장의 팽창을 바탕으로 세 자릿수의 고성장률을 보였다. 파나소닉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이며 계속해서 하락세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4.2%에서 25.9%로 8.3% 하락했지만 성장세는 이어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한 34.3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약 2.1배 상승한 15.8GWh, 삼성SDI는 56.3% 상승한 12.2GWh를 기록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시장에서 국내 3사의 점유율은 55%를
SNE리서치 '2022년 1~6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SNE리서치가 올해 상반기 글로벌 시장의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을 발표했다. 한국계 3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34.9%에서 25.8%로 떨어졌다. 중국 내수 시장의 성장을 중심으로 중국계 회사들의 점유율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34.8%, 14.4%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5위 자리를 지켰다. 상반기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203.4GWh로 전년 동기 대비 76.8%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계는 CATL과 BYD를 필두로 다수의 업체들이 시장 성장을 리드했고, CALB 등 Top 10에 오른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고성장률을 보였다. 국내 3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9.1% 하락했으나 성장률은 꾸준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29.2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2.1배 급증한 13.2GWh, 삼성SDI는 50.6% 상승한 10.0GWh를 기록했다
포드,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에 이어 CATL까지 협력 관계 구축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이 포드와 협력을 강화하고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22일인 오늘 포드의 인기 전기차 모델인 머스탱 마하-E와 전기 상용차인 E-트랜짓의 판매 확대에 따라 배터리 공급을 추가로 늘린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폴란드 공장의 포드 공급용 배터리 생산라인 규모를 기존의 2배로 증설하고, 이후 순차적으로 증설을 이어갈 계획이다. 특히 이번 증설은 기존 생산라인 활용 및 설비 고도화 작업 등을 통해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0년 하반기부터 머스탱 마하-E와 이-트랜짓에 배터리를 공급해왔다. 머스탱 마하-E는 지난해에만 5만5000대 이상의 글로벌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포드는 머스탱 마하-E의 생산량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지난해 말 포드의 CEO 짐 팔리는 트위터에서 "올해부터 생산량을 늘려 2023년까지 머스탱 마하-E의 생산능력을 3배 이상 확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포드는 2026년까지 전기차에 500억 달러(약 60조 원)를 투자하고 연간 전기차를 200만 대 이상 생산할 계
2022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판매량이 원자재 가격 상승, 러-우 전쟁, 코로나 지속 등 험난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전년동기대비 63% 성장한 4285천대로 잠정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중국이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으로 전년동기대비 121% 고성장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을 이끌었고, 북미도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으로 전년비 59% 고성장을 이뤘으나, 유럽은 러-우 분쟁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5% 성장에 그쳤다. 차량별로는 승용차가 전년동기대비 62%, 버스와 트럭은 각각 71%와 74% 성장했다. 2022년 상반기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동기대비 76% 성장한 202GWh를 기록했다. 중국전기차 시장 호황으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고성장이 있었다. 중국 외 업체로는 SK온이 124%, 삼성SDI가 50% 성장했으나,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은 성장세가 둔화됐다. CATL이 69GWh로 2위 Group과 격차를 벌리며 독보적 1위를 유지한 가운데, BYD가 자사 전기차 판매 호조로 3위로 올라왔으며, CALB, Guoxuan, Sunwoda등 중국 기업들도 고성장을 하고 있다. 배터리 업체별 시장 점유율을 보면, 글로벌 Top 10의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23개월째 꾸준한 성장세...중국계 업체들의 점유율 확대 지속 SNE리서치가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순위를 발표했다. 올해 들어 5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국내 3사가 전년과 동일한 순위를 유지했지만, 전체 시장 점유율은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월부터 5월까지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57.4GWh로 전년 동기 대비 77.3%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전체 시장의 성장률은 중국계 업체들이 이끌었다. 중국 전기차 내수 시장의 강세에 힘입어 CATL과 BYD를 필두로 다수의 중국계 업체들이 시장 성장을 리드했다. CALB와 Sunwoda 등 중국계 업체들 대부분의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한 22.6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On은 2.3배 급증한 10.8GWh를 기록했으나 점유율은 다소 하락했다. 삼성SDI는 32.5% 상승한 6.9GWh를 기록했다. SNE리서치는 "국내 3사의 2022년 1~5월 시장 점유율은 25.6%p로 지난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