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택배기사의 혹서기 건강관리를 위해 물리적, 제도적 대응을 모두 갖춘 ‘여름나기 풀패키지’를 가동한다. CJ대한통운은 25일, 전국 택배기사들을 대상으로 쿨토시, 쿨링패치, 생수 등 온열질환 대응 물품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전국 택배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각 현장에 전달됐으며 혹서기 동안 생수 공급도 지속 확대된다. 특히 지난 24일에는 윤재승 오네본부장과 택배대리점연합회 전현석 회장이 경기도 수원의 한 서브터미널을 찾아 택배기사에게 커피차를 운영하고 냉방용품을 직접 전달하는 현장 응원 이벤트도 진행했다. CJ대한통운은 단순한 물품 제공을 넘어서 택배기사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도 병행하고 있다. 2013년 업계 최초로 도입한 건강검진 제도는 전액 회사 부담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찾아가는 건강검진’과 주말·야간 수검이 가능한 ‘핀셋 건강검진’까지 병행해 실제 수검률을 크게 끌어올리고 있다. 올해부터는 택배기사의 휴식권 보장과 안전권 강화에도 한층 힘을 싣고 있다. 폭염, 폭우 등 천재지변 시 작업자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배송을 중단할 수 있는 ‘작업중지권’이 업계 최초로 제도화됐으며 이로 인한 배송 지연에도 책임이 면책된다. 이는 택배
CJ대한통운이 혹서기 근무환경 개선과 택배기사 복지 향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올해 기준 택배기사 건강검진 수검률이 80%를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업계 최고 수준의 수치로, CJ대한통운이 2013년 업계 최초로 도입한 ‘찾아가는 건강검진’ 시스템의 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CJ대한통운은 택배기사들이 병원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전국 서브터미널에 전문 검진기관이 직접 방문하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또 주말과 야간에도 검진이 가능하도록 제휴 병원 체계를 유연하게 구축해 시간 제약을 최소화했다. 실제 일부 경쟁사의 경우 낮은 수검률과 낮은 실효성이 문제로 지적되는 가운데, CJ대한통운의 사례는 복지제도의 실질적 작동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검진 항목도 직업 특성을 고려해 구성됐다. 장시간 운전과 반복적인 상하차 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부담을 고려해 통풍, 류마티스, 감염증(CRP) 항목이 포함되었고 조기 진단이 어려운 간섬유화 및 간암 정밀검사 등도 추가됐다. CJ대한통운은 건강 이상 소견이 있는 택배기사에게 협력 의료기관을 통한 전문 상담과 정밀검진 비용 전액 지원을 병행하며 근골격·심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