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핀글로벌은 위버스브레인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기업용 AI 교육 플랫폼 공동 개발 및 시장 확대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베스핀글로벌은 클라우드·AI 매니지드 서비스 운영 역량과 글로벌 시장 경험을, 위버스브레인은 AI 교육 플랫폼 기술력과 콘텐츠 기획·운영 노하우를 결합한다. 특히 베스핀글로벌의 헬프나우 에이전틱 AI 플랫폼(HelpNow Agentic AI Platform)과 위버스브레인의 맥스 AI 월드(Max AI World)를 통합해 산업별 특화형 기업 교육 플랫폼을 공동 개발,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 새 플랫폼은 AI를 활용해 교육 과정을 개인별 최적화하고 산업군별 전문 콘텐츠를 자동 제공한다. 기업은 직원 역량 강화와 디지털 전환 속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으며, 학습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재 관리·조직 운영 효율성 향상도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협력이 연평균 8% 이상 성장하는 글로벌 기업 교육 시장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AI 기반 맞춤형 학습 솔루션은 차세대 HR 테크 분야 핵심 성장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허양호 베스핀글로벌 대표이사는 “AI 서비스와 교육
1,000개 브랜드·8만 명 관람객 모이는 글로벌 大축제 AI·디지털 트윈·IIoT, 차세대 제조 핵심 기술 총출동 글로벌 제조업의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가운데, ‘제24회 SIA 상하이 국제 스마트 공장 전시회’가 2026년 6월 3일부터 5일까지 중국 상하이 신국제박람센터에서 열린다. 중국설비관리협회가 주최하고 상하이 중전세신 전시그룹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스마트공장과 디지털 제조 전환을 아우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 전시회로, 글로벌 공급망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 2003년 출범한 SIA 전시회는 지난 20여 년간 스마트 제조 산업의 성장을 함께해왔다. 초기에는 자동화 장비와 기초 기술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등 미래 지향적 기술을 포괄하며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완성해가고 있다. 이번 전시는 5만㎡ 규모 전시장에서 1,000여 개 글로벌 브랜드가 참가하고, 8만 명 이상의 전문 관람객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시회 기간 동안 50여 개의 동시 개최 행사도 진행돼, 기업 간 협력과 기술 교류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SIA의 차별화된 가치는 ‘완전한 산업
한화비전 미주법인이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3일 밝혔다. ISO 37001은 기업의 부패 방지 및 관리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국제 표준으로, 미국 해외부패방지법(FCPA)과 영국 뇌물법(Bribery Act) 등 주요 글로벌 기준에 맞춰 부패방지 시스템 운영 여부를 심사한다. 한화비전 미주법인은 체계적인 부패방지 시스템을 운영하며 투명하고 청렴한 경영 활동을 유지해온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번 인증으로 한화비전은 미주 지역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비전 관계자는 “조직의 이해관계자와 부패 리스크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윤리경영의 초석이라는 판단 아래 수개월간 이번 인증을 준비했다”며, “이는 미주 법인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라고 말했다. 한화비전은 부패방지법 준수 외에도 ▲임직원 대상 컴플라이언스 교육 프로그램 ▲내부 고발 채널 운영 ▲협력업체 준법서약 체결 및 관리 ▲지속적 반부패 모니터링 등을 통해 준법 문화를 확산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국내 영상보안 업계 최초로 ISO 37301(규범준수
국내 발전사 업무 현장에 최적화된 생성형 AI 서비스가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제논은 한국중부발전과 함께 구축한 생성형 AI 서비스 ‘하이코미(HiKOMI)’가 도입 7개월여 만에 실제 업무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이코미는 제논의 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제노스(GenOS)’를 기반으로 발전사 업무 환경에 맞게 설계된 서비스다. 설비 관리 시스템, 전자결재, 기술 보고서, 규정 등 약 100만 건의 문서를 학습해 발전사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보고서 작성과 검토, 문서 요약과 번역, 설비 이력 관리, 고장 유형 분석과 대응 가이드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폐쇄망 환경에서도 외부 검색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어 현장 만족도가 높다. 도입 성과는 수치로도 확인됐다. 한국중부발전이 지난 6월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직원의 81%가 하이코미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 중 61%는 업무 처리 시간이 단축됐다고 응답했다. 활용 빈도도 높아 직원 절반 이상이 주 3회 이상 하이코미를 사용하고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보고서 및 문서 검토·수정 시간 단축(47%), 전문 역량 강화에 집중할 수 있는 여유 시간 확보(
엠오티가 이차전지 조립 설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공시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약 210억 원 규모로, 계약 세부 내용과 상대방, 공급 지역은 영업비밀 사유로 공개되지 않았다. 특히 이번에 납품되는 장비는 이차전지 뉴-플랫폼이 적용된 것으로 세계 최초로 양산 단계에서 본격 활용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엠오티는 지난 8월에도 ESS(에너지저장장치)용으로 주목받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장비 수주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회사는 여기에 더해 현재 개발 중인 원통형 46파이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 관련 장비가 상업화될 경우 수주 모멘텀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충규 엠오티 부사장은 “이번 수주는 새롭게 개발된 이차전지 구조 공법이 적용된 배터리 장비 공급 본격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향후 성장세가 예상되는 LFP 배터리 관련 장비 수주를 위해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 제조 장비 연구개발 성과를 기반으로 올해 수주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2일 외국인 주식 매수세에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일보다 2.7원 내린 1391.0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0.7원 낮은 1,393.0원으로 출발한 뒤 오전 중 1395.1원까지 올랐다가 도로 하락했다.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순매수는 환율에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다. 코스피는 전일보다 29.42포인트(0.94%) 오른 3172.35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3896억 원을 순매수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정책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주 고용지표 발표를 앞두고 시장에는 경계감이 유지되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22% 오른 97.834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9.90원으로, 전일 오후 3시30분 기준가(948.93원)보다 9.03원 내렸다. 엔/달러 환율은 0.77% 오른 147.985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헬로스톡은 반도체, 로봇, AI, 물류, IT 등 주요 산업군을 아우르며 시장 내 주요 기업들의 주가 동향과 전망을 정리해 전달하는 고정 기획 시리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 속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기업과 시장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별, 종목별 최근 이슈와 증권사 리포트를 토대로 한 전망 등을 소개한다. 삼성전기 — '피지컬 AI' 시대의 핵심 부품 공급사 iM증권은 삼성전기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220,000원으로 상향했다. 이는 9월 1일 종가 162,200원 대비 35.6%의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기는 삼성전자의 ‘T사’(테슬라) 파운드리 계약에 따라 MLCC, FC-BGA, 카메라 등 핵심 부품의 주요 공급사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T사향 칩 출하량이 중장기적으로 2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삼성전기의 T사향 부품 매출도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T사가 자율주행부터 로보틱스까지 '피지컬 AI'로 사업 영역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기가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은 긍정적이다. 삼성전기의 T사향 매출은 2025년 6,080억
디지털이에스지얼라이언스(i-DEA), 국내 최대 산업 데이터 플랫폼 iDSN 공개 2025 산업AI 엑스포,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등서 데이터 생태계 방법론 제시한다 글로벌 데이터 생태계와 호환되는 기술로 산업계 디지털 혁신 주도 예고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비영리 사단법인 디지털이에스지얼라이언스(이하 i-DEA)가 이달 열리는 각종 산업 전시회에서 산업 공급망 전반의 디지털 전환(DX)을 이끌 핵심 플랫폼을 공개한다. i-DEA의 데이터 생태계 플랫폼 ‘iDSN(industrial Data Space Network)’은 국내 산업계가 글로벌 데이터 생태계와 연결되는 디지털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산업 공급망 내 기업과 소프트웨어 간 데이터 호환을 구현하는 플랫폼이다. 특히 유럽연합(EU) 자동차 산업 데이터 생태계 ‘카테나-X(Catena-X)’, 일본 제조 데이터 공유 생태계 ‘우라노스(Ouranos)’ 등 글로벌 데이터 생태계와 호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국내 산업계의 국제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i-DEA 측은 이번 공개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솔루션을 iDSN에 연계할 방침이다. 이를 통
공장이 움직인다.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공장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로봇처럼 작동하는 ‘피지컬 AI(Physical AI)’ 시대가 도래했다. 이 가운데, 공장의 하드웨어 중심 운영은 소프트웨어 기반 플랫폼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맥락을 이해하는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시뮬레이션 등 기술이 핵심 역할을 한다. 현시점 제조업은 제품 생산을 이상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시스템 자체를 수출하는 산업으로 진화하는 중이다. 이번 특집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DF)’부터 네이버 ‘인공지능(AI) 에이전트’, 다임리서치 시뮬레이션 기술, 유니티 실시간 3차원(3D) 솔루션까지 제조업 혁신의 최전선 기술 방법론을 짚는다. [특집] 로봇이 된 공장, 소프트웨어가 된 산업 [Real-time 3D] 게임 넘어 산업 현장으로…실감나는 상호작용 경험이 ‘산업 DX’ 핵심 [AI Simulation] 제조·물류 현장 ‘물리적 AI’ 시대 도래…AI 시뮬레이션으로 미래를 현실로 [Physical AI] 공장이 하나의 거대한 로봇 된다…KAIST, 피지컬 AI로 제조 혁신 선언 [AI Agent] AI 에
산리오 캐릭터 입은 라벨프린터로써 캐릭터 템플릿과 이모티콘 탑재 어린이 제품안전특별법 안전기준 모두 통과… 안심하고 사용 가능해 한국엡손이 글로벌 캐릭터 기업 산리오와 손잡고 인기 캐릭터 ‘마이멜로디’와 ‘쿠로미’를 적용한 라벨프린터 신제품 2종을 출시했다. 모델명은 각각 ‘LW-K200KU’와 ‘LW-K200MM’으로, 실용성과 감성을 동시에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LW-K200KU’는 블랙&퍼플 컬러를 기반으로 쿠로미와 그의 부하 캐릭터 바쿠의 디자인을 담았으며, ‘LW-K200MM’은 핑크톤을 강조해 마이멜로디와 친구 마이스윗피아노를 표현했다. 두 모델은 일상 속 따뜻한 감성을 더하는 ‘캐릭터 라벨프린터’ 콘셉트로 기획됐다. 신제품은 총 196종의 캐릭터 템플릿과 이모티콘, 일러스트를 지원해 사용자가 원하는 개성과 취향을 담은 라벨 제작이 가능하다. 무게는 약 400g으로 휴대성이 뛰어나며, 4mm에서 18mm까지 다양한 폭의 테이프를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작은 소품부터 문서 표제용 라벨까지 폭넓은 활용도를 제공한다. 지원 언어는 한글, 영어, 일본어, 한자를 포함한다. 라벨테이프는 높은 내구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방수와 방염은 물론, 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이 9월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면서 국가 인공지능 전략위원회 구성이 본격화된다고 밝혔다. 국제적으로 인공지능 패권 경쟁이 국가 간 경쟁으로 격화되는 가운데, 정부는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국가 차원의 컨트롤타워를 마련했다. 위원회는 단순 자문기구를 넘어 범부처 전략과 정책·사업을 총괄·조율하는 실질적인 전략기구로 기능한다. 위원회는 ▲국가 비전과 중장기 전략 수립 ▲정책·사업 조정 ▲이행 점검 및 성과 관리 등을 심의·의결하며, 민간과 정부의 역량을 결집해 AI 강국 도약을 추진한다. 구성도 강화됐다. 위원 수는 기존 45명에서 50명으로 확대됐으며, 부위원장도 1명에서 3명으로 늘어났다. 이 중 민간 부위원장 1명은 상근직으로 전환돼 내실 있는 운영을 도모한다. 간사는 대통령실 인공지능 미래기획수석비서관이 맡는다. 정부위원으로는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중기부, 개인정보위 등 13개 부처가 참여한다. 또한 위원회 산하에는 인공지능책임관협의회를 둬 정부 내 주요 정책 수립과 사업 추진을
DJI Mic 3, Osmo 360 등 신제품 대거 공개...자사 전방위 기술 포트폴리오 출격한다 “고품질 콘텐츠 제작 노하우 제공...소비자 접점 확대” DJI가 이달 9일(현지시간) 닷새간 독일에서 열리는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 2025(IFA 2025)’에서 자사 제품 포트폴리오를 대거 선보인다. IFA는 글로벌 가전 및 기술 박람회로, 전 세계 가전 기업들이 최신 제품과 기술을 공개하는 글로벌 축제다. 특히 소비자 전자제품 분야의 주요 트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행사로 알려져 있다. DJI는 이번 전시회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부터 기업·농업 종사자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솔루션을 공개한다. 창작자를 위한 최신 카메라·사운드·드론 기술을 대거 내놓는다. 이 중 자사 첫 360° 카메라 ‘오스모 360(Osmo 360)’은 1인치 360° 이미징과 8K 360° 영상 촬영 기능으로 갖췄다. 여기에 최신 초경량 무선 마이크 ‘DJI 마이크 3(DJI Mic 3)’도 전시된다. 4개의 송신기(TX)와 8개의 수신기(RX)를 탑재했고, 타임코드, 듀얼 밴드 간섭 방지 등 녹음 작업을 간소화하는 기능이 내재화됐다. 이 밖에도 360° 회전 짐벌을 탑재한 라인업
단순 OS·API 보안 한계, 이제 MTD와 RTAS로 전환해야 에버스핀, 글로벌 특허 전략으로 금융 보안 판도 바꿔 모바일 금융 서비스의 확산과 함께 금융사고 수법도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다. 특히 초급 해커조차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후킹 툴이 범람하면서, 단순한 OS 기반 보안만으로는 악성 앱 위·변조와 메모리 공격을 막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금융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피싱 범죄 역시 이러한 보안 취약점을 교묘히 파고든다. 악성 앱이 기기에 설치되면 송금 과정에서 해커 계좌로 자금이 전송되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금융사와 이용자 모두를 위협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에버스핀은 MTD(Moving Target Defense) 기반의 보안 솔루션 ‘에버세이프(Eversafe)’를 선보였다. 에버세이프는 일반적인 시스템 API 대신 시스콜(Syscall) 기반 코드를 적용해 후킹 자체를 어렵게 만들었으며, 코드가 주기적으로 변형되는 구조를 갖춰 고도화된 공격 시도마저 차단한다. 이는 업계 최상위 수준의 해커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도전이 불가능한 보안성을 제공한다. 여기에 더해 에버스핀은 ‘RTAS(Real Time Threat Alarm Serv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의 자회사이자 열화상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 OEM이 일본의 선도적 드론 제조사인 ACSL과 'Thermal by FLIR' 프로그램 협력을 발표했다. 이 협력을 통해 ACSL의 NDAA 준수 드론인 소텐(SOTEN)에 사용될 듀얼 열화상 탑재체인 '사모(SAMO)'를 공동 개발하게 된다. 'Thermal by FLIR'는 텔레다인 플리어 OEM의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혁신적인 제품의 시장 출시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개발되는 사모(SAMO) 열화상 탑재체는 Hadron™ 640R 듀얼 열화상 및 실화상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다. 이 모듈은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64MP 실화상 카메라와 640x512 해상도의 Boson® 방사측정 열화상 카메라 모듈이 통합되어 있다. 또 플리어의 특허 기술인 MSX®(Multi-Spectral Dynamic Imaging)가 도입되어 열화상에 실화상 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더 선명하고 상세한 열화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글로벌 통합 물류 플랫폼 '아르고'를 운영하는 테크타카가 글로벌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과 함께 '틱톡으로 여는 K셀러 글로벌 확장 전략' 웨비나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역직구 시장 1조 원 시대를 맞아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이커머스 판매자들을 돕기 위해 마련되었다. 웨비나에서는 틱톡 기반의 물류, 마케팅, CRM 등 다양한 분야의 실전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웨비나는 오는 10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총 2시간 동안 온라인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진행된다.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입점을 준비 중이거나 관심 있는 기업 담당자라면 누구나 테크타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총 4개의 세션으로 구성된 이번 웨비나에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핵심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틱톡코리아의 송민선 매니저는 '틱톡, K셀러 글로벌 진출의 게임 체인저'를 주제로 올해 틱톡샵의 최신 트렌드, 숏폼 및 라이브 커머스 기반 해외 소비자 도달 전략, 틱톡샵 입점 프로세스 등을 발표한다. 테크타카의 양수영 대표는 글로벌 진출 과정에서 판매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관세 및 소액면세제도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