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탑이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에 참여해 기존 전기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한 지능형 전기방식을 소개했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엘탑은 전기·전자분야에 특화된 기업으로 제품 개발 기획부터 연구개발과 제작까지 전 과정을 전문 연구진과 협력해 수행한다. 주력 제품인 지능형 전기방식은 회로 등가임피던스 추정 알고리즘을 적용해 최적의 방식전위와 전류값을 산출, 스마트 제어하는 기능을 갖췄다. 또 전위, 전류를 통합 모니터링하고 문제 구간을 발생 즉시 확인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전기방식에서 제한적이었던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하고 시스템 효율을 높인 모습이다. 한편, 이번 KICEF 2025 기간에는 ‘산업단지의 날’ 기념
케이앤이(K&E)가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에 참여해 전기차용 이차전지 캡 어셈블리(Cap Assembly) 부품을 선보였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전기차용 이차전지 캡 어셈블리 부품은 배터리 상단을 밀봉해 과충전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앤이는 이 부품을 만드는 데 있어 용접 밀착성 강화와 균일한 단조 성형 기술을 적용해 품질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케이앤이는 자동차용 정밀부품, 모바일용 정밀부품, 통신용 커넥트 부품, 2차전지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정밀 프레스 금형을 제작하는 케이앤디, 전자회로기판을 조립하는 케이앤피와 함께 통합 생산 시스템을 이루며 협력하고 있다.
제니패션이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에 참여해 1:1 맞춤 보정속옷을 소개했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제니패션은 1:1 맞춤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통해 여성의 건강과 아름다운 몸매를 동시에 추구하는 패션형 기능성 보정속옷 브랜드다.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인 키워드인 ‘커스터마이즈’를 체형보정속옷에 접목하여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1:1 맞춤 보정속옷은 체형관리사가 고객의 체형을 분석해 개개인의 신체 특성에 맞춰 패턴을 개발하고, 고객의 취향을 고려한 컬러, 문양, 패턴을 연구해 높은 만족도를 제공한다. 한편, 이번 KICEF 2025 기간에는 ‘산업단지의 날’ 기념식과 더불어 국내외 수요기업 및 유망 스타트업 간의 비즈니스
포티투닷(42dot)이 SCM FAIR 2025에서 AI 운송 관리 솔루션을 소개했다. SCM FAIR 2025는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포티투닷이 선보인 카포라(capora)는 운송사의 다양한 업무 영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AI 기술로 운송관리 과정을 효율적으로 단순화했다. 오더 자동 등록 기능을 통해 카카오톡, 문자, 이메일, 엑셀로 받은 텍스트나 이미지 형태의 주문을 알아서 AI가 등록해 준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배차 구간을 활용해 반복 업무를 최소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으며, 자동 정산 서비스로 완료된 운송건에 대해 한번에 대금을 정산하고 필요한 예치금도 출금할 수 있다. 원스톱 대시보드 기능은 컨트롤 보드에서 운송 실시간 현황을 쉽게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각
인디스에어가 SCM FAIR 2025에서 친환경 포장 완충 솔루션을 선보였다. SCM FAIR 2025는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인디스에어는 포장 완충재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기업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인디스에어의 에어패키징은 LLDPE와 Polyamide가 합지된 필름에 밸브(Valve)를 열융착해 각각의 독립된 공기 기둥이 형성되도록 설계돼 있다. 적용 제품의 크기와 특성에 맞게 제작해 공기를 주입하면 안전한 포장 완충재가 만들어 진다. 인디스에어 포장재 ‘STRONG PACK’은 강한 인장강도가 강한 나일론 필름을 사용해 뛰어난 내구성이 강점이다. 제품 크기에 따른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며 브랜드 로고 인쇄도 할 수 있다. ‘EASY PACK’은 표준화된 크기의 기성품으로 쉽
위앨리스가 SCM FAIR 2025에서 해상화물 추적 디지털 포워딩 솔루션을 선보였다. SCM FAIR 2025는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IT 서비스),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글로벌 물류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스타트업 위앨리스는 중소 포워더를 위한 업무 자동화 및 협업 SaaS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회사는 중소 포워더들이 겪고 있는 수작업 중심의 업무 방식, 실시간 협업 부재, 낮은 디지털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앨리스가 선보인 위카고(wecargo)는 엑셀·전화·이메일 기반의 수작업 업무를 자동화하고 HBL 단위까지 정밀하게 화물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AIS 기반 실시간 해상 화물 추적, 포워더 로고와 회사명이 반영된 협업용 통합 대시보드,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투자자 피해는 없었지만 운용·판매사 영업 차질 한국투자 계열 펀드 대거 포함… 재발 방지책 마련 KB펀드파트너스가 단순 실수로 펀드 기준가격 공시를 누락해 업계에 혼란을 초래했다. 다행히 투자자 피해는 없었지만 판매사와 운용사 현장은 하루 동안 큰 차질을 빚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한국투자신탁운용을 포함한 8개 자산운용사 1566개 펀드의 기준가격이 제때 반영되지 않았다. 사무수탁사인 KB펀드파트너스 직원이 전날 예탁결제원 시스템에 송신했다고 착각한 것이 원인이다. 펀드 기준가는 투자자 매수·환매 기준이 되는 핵심 데이터다. 가격이 빠지면 펀드 거래가 중단되기 때문에 은행, 증권사 등 판매사들이 영업을 멈출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이날 오전 9시 26분 늦게 수동 공시가 이뤄졌고, 오류 정정까지 포함해 오전 10시 20분에야 정상화됐다. 이번에 누락된 펀드 중 한국투자신탁운용 펀드가 965개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154개),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152개)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사무수탁사와 협력해 프로세스를 점검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KB펀드파트너스는 “우선 공시누락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는
성풍솔레드가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에 참여해 LED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선보인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LED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신호 상태를 녹색, 녹색점멸, 적색으로 LED 보행신호등에 연동시켜 보행신호를 바닥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보행자들의 신호 준수율, 운전자의 횡단보도 인지성을 높이고, 보도와 차도의 경계선을 명확하게 표시해 교통사고 예방에 기여한다. 성풍솔레드는 2010년에 설립된 LED 교통안전시설물, 도로안전시설물 전문 기업으로, 저전력·저소비의 친환경 LED 신소재를 기반으로 보행자 안전을 위한 교통·도로 안전시설물을 연구 개발 및 생산하며 현장 시공까지 직접 수행하고 있다. 한편, 이번 KICEF 2
글로벌선도기업협회 소속 기업 센도리가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에 참여해 특허 기술을 탑재한 공기 순환기를 소개한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센도리가 선보이는 대표 제품은 스마트 공기순환기다. 전열교환시스템으로 실내 공기 오염원을 집중 정화하며, 특허 받은 자동 먼지제거장치가 필터를 관리해 풍량 및 차압 성능을 유지시킨다. 센도리는 1995년 창업 이후 지속적으로 공조 관련 기술을 연구해온 토탈 에너지 융합 리딩기업으로, 냉난방공조분야의 고효율·고기능의 전열 환기장치 및 혼합 축열 냉난방 장치, ESS 설비 등 명품 맞춤형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선도기업협회는 센도리 외에도 태정, 리팩, 이오에스, 프론텍의
우리 산업단지 성장과 판로 개척을 정조준한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 박람회(KICEF 2025)’와 ‘제61회 산업단지의 날’이 지난 10일 개막했다.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동시에 열린 양 행사는 산업단지 입주기업 300여 개사와 19개국 90여 개 해외 바이어가 함께했다. 기념식에는 정부·공공기관·기업·근로자 등 산단 이해관계자가 한데 집결했다. 이들은 산단을 인공지능(AI) 제조 혁신 및 수출 개혁 플랫폼으로 도약시키고 글로벌 가치사슬 중심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공유했다. 전시장에서는 자동화·정밀기계, 반도체·전자부품, 로봇·바이오 등 핵심 기술이 선보였고, 1:1 수출 상담회와 정책 비전 선포식, 문화 공연 등이 이어지며 축제의 장이 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우리 산업단지 성장과 판로 개척을 정조준한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 박람회(KICEF 2025)’와 ‘제61회 산업단지의 날’이 지난 10일 개막했다. 산업단지의 날 행사에서는 이 자리를 위해 마련된 창작곡 ‘흥’이 연주됐다. 비트박서 빅마블, 국악인 최예나, 이지은 작가, 무용단 ‘짓’ 등이 참석해 연주에 맞춰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기념식에는 정부·공공기관·기업·근로자 등 산단 이해관계자가 한데 집결했다. 이들은 산단을 인공지능(AI) 제조 혁신 및 수출 개혁 플랫폼으로 도약시키고 글로벌 가치사슬 중심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공유했다. 전시장에서는 자동화·정밀기계, 반도체·전자부품, 로봇·바이오 등 핵심 기술이 선보였고, 1:1 수출 상담회와 정책 비전 선포식, 문화 공연 등이 이어지며 축제의 장이 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우리 산업단지 성장과 판로 개척을 정조준한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 박람회(KICEF 2025)’와 ‘제61회 산업단지의 날’이 지난 10일 개막했다.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동시에 열린 양 행사는 산업단지 입주기업 300여 개사와 19개국 90여 개 해외 바이어가 함께했다. 기념식에는 정부·공공기관·기업·근로자 등 산단 이해관계자가 한데 집결했다. 이들은 산단을 인공지능(AI) 제조 혁신 및 수출 개혁 플랫폼으로 도약시키고 글로벌 가치사슬 중심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공유했다. 전시장에서는 자동화·정밀기계, 반도체·전자부품, 로봇·바이오 등 핵심 기술이 선보였고, 1:1 수출 상담회와 정책 비전 선포식, 문화 공연 등이 이어지며 축제의 장이 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우리 산업단지 성장과 판로 개척을 정조준한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 박람회(KICEF 2025)’와 ‘제61회 산업단지의 날’이 지난 10일 개막했다.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동시에 열린 양 행사는 산업단지 입주기업 300여 개사와 19개국 90여 개 해외 바이어가 함께했다. 기념식에는 정부·공공기관·기업·근로자 등 산단 이해관계자가 한데 집결했다. 이들은 산단을 인공지능(AI) 제조 혁신 및 수출 개혁 플랫폼으로 도약시키고 글로벌 가치사슬 중심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공유했다. 전시장에서는 자동화·정밀기계, 반도체·전자부품, 로봇·바이오 등 핵심 기술이 선보였고, 1:1 수출 상담회와 정책 비전 선포식, 문화 공연 등이 이어지며 축제의 장이 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산업단지의 날’은 수출산업공업단지개발조성법 제정일인 1964년 9월 14일을 기리는 법정 기념일이다. 한국 경제 발전의 토대가 된 산업단지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정책과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제61회를 맞아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와 공동 개막하면서 과거와 미래를 잇는 상징성을 높였다. 또한 산업 현장 공헌자 114명에 대한 정부 포상도 진행돼 산업단지의 가치를 다시금 부각시켰다. 올해 기념식에서 제시된 메시지는 ▲인공지능 전환(AX) ▲디지털 전환(DX) ▲ESG(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글로벌 가치사슬(GVC) ▲수출 플랫폼 강화 등으로 집약됐다. 이는 산업단지가 ‘내수 거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세계 공급망 중심으로 도약해야 한다는 비전과 맞닿아 있다. 2023년 기준 국내 산업단지는 1306개, 13만여 개 기업, 234만 명 근로자가 활동하며 제조업 생산의 60%, 수출의 67%를 책임지고 있다. 이번 공동 개막을 통해 KICEF는 정책과 비즈니스를 직접 연결하는 수출 실행 허브 성격을 부여받았다. 이상
맞춤형 물류 대행·도급 서비스와 글로벌 SCM 네트워크로 현장 대응력 강화 빅원이 SCM FAIR 2025에서 맞춤형 물류 대행 및 수출입 통합 관리 서비스를 선보였다. SCM FAIR 2025가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 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에서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의 첨단 솔루션이 소개된다. 빅원은 동아프리카 전역에 네트워크를 구축한 글로벌 화물 및 운송 기업으로 항공·해상 운송, 창고 관리, 통관 서비스 등 종합 물류 대행(Freight & Cargo)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맞춤형 물류 대행, 도급 물류, 수출입 부자재 판매 서비스를 중심으로 선보여 SCM 전 과정에 대한 통합 대응력을 강조했다. 빅원은 강력한 항공사 파트너십, 경제적 요금 정책, 효율성과 유연성을 융합한 운영 체계를 통해 고객별 특화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특히 광범위한 비즈니스 네트워크와 빠른 대응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