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최근 들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해 상당한 인기를 끌면서, 사물인터넷 관련 의제가 다양하게 부각되고 있는데, 그 중 보안문제는 가장 널리 논의되는 의제 중 하나이다. 보안문제는 매우 방대하고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 일부 관행과 규범은 과거의 인터넷 경험을 참고하여 완벽한 관리 메커니즘으로 발전할 수 있다. 필자는 완전한 사물인터넷 보안을 위해서는 단대단(end-to-end)의 전체 시스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사물인터넷의 보안문제는 ‘사물인터넷 노드창치에 대한 완벽한 보안요건’ 정도로 수렴될 수 있다. 이 글은 사물인터넷 노드장치단으로부터 출발해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단말 노드가 채용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칩의 구조설계가 점점 어려워지는 네트워크 환경의 보안요건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보안의 기초 일반적으로 정보전송 프로세스의 보안은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및 확실성(Authenticity) 이라는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세 가지로 대표되는 요건의
[첨단 헬로티] OTA(Over-the-air) 업데이트는 버그 또는 보안 결함을 원격으로 패칭할 수 있어서 커넥티드 디바이스에서 중요한 자산으로 여긴다. 하지만, 불완전하게 구현되는 OTA 업데이트 과정은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먹통 상태가 되는 이른바 ‘벽돌’로 만들 수 있어서 오히려 OEM 업체(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s)와 소비자 모두에게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즉, 결함이 있는 OTA 업데이트는 멀웨어의 유입 통로가 될 수 있어, OEM 업체와 소비자의 보안을 손상시킬 수 있다. 최근 나는 OTA 업데이트 과정에서 문제를 겪은 적이 있다. 업데이트 초기 단계에서 내 안드로이드 휴대전화가 완전히 멈춰, 일명 ‘먹통’ 현상이 발생했다. 수동으로 강제 리셋할 방법이 없어 배터리 전원이 꺼질 때까지 12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이후 재부팅하여 휴대전화 리셋을 한 후, 이전 소프트웨어 버전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다행히 그 시간에 집에 있었기 때문에 먹통이 된 휴대전화로 인한 큰 어려움이 없었다. 만일 외부 일정으로 휴대전화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며 돌아다니고 있었다면 아마도 나
[첨단 헬로티] 유아이패스코리아는 글로벌 선도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기업 유아이패스가 전 세계 기업들의 자동화 현황 및 미래 전망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산하 연구기관인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와 함께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90% 이상의 조직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기 위해 관련 기술을 도입 및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동화 성숙도 (출처: 이코노미스트) 이번 조사는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인도, 일본, 싱가포르, 영국, 미국 등 8개 국가에서 연간 2 억 5 천만 달러의 매출 규모를 가진 기업의 고위 경영진 502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조사 대상 기업의 절반 이상은 연간 10 억 달러 매출 규모의 대기업으로 구성됐다. 유아이패스는 설문조사 결과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자동화가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영역에서 자동화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기업의 90% 이상이 이미 업무 영역을 자동화하고 있으며, 그 중 73%는 자동화로 인한 효과에 대해 매우 만족하고 있다. 응답자 중 대부분인 88%는 자동화
[첨단 헬로티] 머신비전 시장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Innovators Awards Vision Systems Design은 5년 연속 Machine Vision 및 Imaging 시장에서 탄생하는 파괴적이고 혁신적인 기술, 제품 및 시스템을 기념하는 Innovators Awards 프로그램을 개최하고 있다. 심사위원단이 부여한 공정한 평가를 기준으로 한 제품 또는 기술, 응용 또는 연구 개발에서 우수성을 입증한 회사 또는 조직에 대해 비전 시스템, 4가지 카메라 범주, 센서, 소프트웨어, 임베디드 비전, 로봇 공학 등으로 구분해 어워드가 수여된다. 제5회째를 맞이하는 Innovators Awards 프로그램은 지난 4월 8 일 시카고에서 열린 Automate의 쇼룸에서 진행됐다. 어워드 관계자는 "매년 우리는 영예를 얻고 있는 제품 유형이 머신비전 시장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본다. 이것은 현재와 미래의 이미징 기술 진보에 대한 흥미진진한 스냅 사진“이라고 말했다. 본지는 이번 Innovators Awards에서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의 영예를 차지한 제품을 살펴본다. 브론즈 어워드 MitySOM-A10S 이미지처리보드
[첨단 헬로티] 연환, 변환소켓의 선두주자인 CKLED. 이 기업은 다양한 규격의 연장소켓과 변환소켓, 특수소켓 등을 선보이며 해당 제품군에서의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조명업계의 혁신적인 제품을 계속 선보이고 있는 CKLED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CKLED의 주력제품은 무엇인가. 연장소켓, 변환소켓, 특수소켓이 CKLED의 주력제품이다. 우리는 현재 LED전구들의 규격이 다양하지 못한 점을 보완하고자 이러한 제품을 개발하게 됐다. Q. CKLED 제품이 다른 기업과 차별화된 부분이 궁금하다. 우리 제품은 타사의 제품들과 달리 다양한 규격(G10, 2E26, PL, MR16변환소켓)을 보유하고 있다. 또, 우리는 제품을 개발하면서 화재 등 안전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우리 제품의 바디는 방염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화재위험을 최소화했다. Q. 최근 CKLED가 이룩한 성과가 있다면 무엇인가. 우리는 연장, 변환소켓의 선두주자로 저비용고효율 달성했다. 그 결과 해당 제품군에서의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이루었다. Q.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하다. CKLED는 인테리어 전구 분야로 계속 발을 넓혀가고 있다. 앞으로 조명업계에 더 혁신적인 제품들을 계속 선
[첨단 헬로티] 이씨에스테크가 헬스케어 조명브랜드 ‘The BOM(더 봄)’ 브랜드를 론칭했다. The BOM은 눈 건강과 실내 디자인까지 고려한 조명을 출시하는 브랜드다. The BOM은 올해 상반기부터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우선, 이 브랜드는 실내에서 사용이 많은 인테리어 스탠드와 디자인 벌브, 일반 벌드, 원목 실내등과 같은 제품을 전시회에 선보이고 있다. Q. 조명브랜드 The BOM를 론칭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The BOM은 우리 가족의 눈 건강을 위해 시작된 ECS Tech의 헬스케어 조명 브랜드이다. 조명 트렌드는 계속 바뀌고 있다. 과거 조명은 어둠을 밝히는 용도로만 사용됐다면, 지금은 디자인이나 건강을 위한 조명 등으로 그 역할이 다양해졌다. 이러한 조명용도 변화 트렌드에 맞춰 디자인적이면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건강한 조명을 만들고자 The BOM을 론칭하게 됐다. Q. ECS Tech에 대해 알고 싶다. ECS Tech는 크게 네 가지 포트폴리오로 설명할 수 있다.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한 조명 제조 ▲글로벌 LED 메이커의 축적된 노하우와 주요 고객사에 의해 검증된 품질 ▲최첨단 기술 및 지속적인 개발
[첨단 헬로티] PCAP와 SCAP 터치스크린에 특화된 디지털 사이니지 제품을 생산하는 이노터치 테크놀로지가 LED&OLED 엑스포 2019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이 기업은 새롭게 개발한 TLM 기술을 선보인다. 이 기술은 원하는 수량의 모듈을 건물이나 매장 유리에 부착해 광고 영상과 미디어 아트 등을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품이다. Q. 이노터치 테크놀로지는 어떤 기업인가. 이노터치 테크놀로지는 2000년에 설립됐다. PCAP와 SCAP 터치스크린에 특화된 디지털 사이니지 제품을 생산해 국내와 해외에 판매하고 있다. Q, 주력 제품은 무엇인가. 우리 회사의 주력 제품은 7인치에서 75인치의 다양한 인터랙티브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군이다. 우리는 신속한 맞춤형 설계 샘플과 신뢰할 수 있는 대량 생산에 대응하여 고객 만족도를 구축해 왔다. Q. 이노터치 테크놀로지가 새롭게 개발한 기술이 있다면.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에 대한 새로운 도전의 하나로 기존의 유리창에 쉽게 설치하는 방식의 투명 LED 모듈 시스템인 TLM을 개발했다. TLM은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판매를 촉진 시키는 한편, 보는 이에게 기억에 남을 만한 좋은 인상을 남
[첨단 헬로티] 국내 대표 비상조명등 기업인 유니온라이트가 울트라빔 전천후 LED 투광기를 선보였다. 이 조명은 이동식이기 때문에 어떤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LED 수명감소를 방지하고 장시간 작업에도 선명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끔 설계됐다. 비상조명등으로 빛이 주는 안전한 세상을 이끄는 유니온라이트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울트라빔 전천후 LED 투광기 Q. 신제품 울트라빔을 출시했다. 어떤 제품인가. 울트라빔 시리즈는 전천후 이동식 LED 투광기이다. 이 조명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특수 조명등이라 볼 수 있다. 울트라빔 시리즈는 ULTRA-5000부터 ULTRA-6000, ULTRA-7000, ULTRA-8000 등 종류가 다양하다. 이 모델들은 기존 모델에서 블루투스 기능이 추가됐고, LED 효율이 향상됐다. ULTRA-5000은 한 번 충전으로 6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고, ULTRA-6000은 12시간까지 가능하다. ULTRA-7000은 LED 헤드를 2개 장착한 모델이고, ULTRA-8000은 헤드 2개에 12시간 사용이 가능한 모델이다. 울트라빔 시리즈는 A/C 220V뿐만 아니라 D/C 48V에
[첨단 헬로티] 표면 연구 장비에 있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KP Technology. 영인에이티는 2016년부터 이 기업의 제품을 국내에 공급하며 KP Technology의 한국 대리점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렇다면 KP Technology가 가진 강점은 무엇일까? 영인에이티 관계자를 통해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Model. SKP5050 Q. 영인에이티란 어떤 회사인가. 영인에이티는 2016년부터 KP Technology의 제품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는 회사다. 우리는 지난 3년간 국내에서 반도체 표면, 에너지 분야 박막 연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마케팅 활동과 판매 서비스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Kelvin probe 국내 판매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 국내 대리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Q. Kevin probe는 무엇인가. Kelvin probe란 반도체나 절연 표면의 전도성 물질 또는 표면 전위(surface potenial, sp)의 일함수(work function,wf)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비접촉, 비파괴, 진동 커패시터이다. 표면의 일함수는 전형적으로 분자 또는 원자의 최상위 1~3층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kelv
[첨단 헬로티] 알파글로벌이 LED&OLED 엑스포 2019에 참가한다. 이 기업은 이번 엑스포에서 주력제품인 ‘LED&Package 제조용 친환경 LED 수세정 장비’와 ‘이온 오염도(세정정도) 측정 장비’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 전시회 기간 동안 ‘친환경 LED 수세정 및 이온 오염도 측정장비의 기술과 적용’, ‘마이크로 Dispensing 장비의 적용과 기술’ 등 관련 세미나도 진행할 예정이다. 전시회에 앞서 알파글로벌이 선보일 내용은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았다. Q. LED&OLED 엑스포 2019에 참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엑스포에서 소개하는 주력제품은 무엇인가. ‘LED&Package 제조용 친환경 LED 수세정 장비’와 ‘이온 오염도(세정정도) 측정 장비’다. LED&Package 제조용 친환경 LED 수세정 장비는 LED 칩과 LED 모듈의 생산성과 높은 신뢰도 향상을 위한 친환경 세정장비다. 이 장비는 기존의 환경오염의 원인이자 작업자의 위해 물질인 세정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첨단 헬로티] ICEPIPE 히트싱크를 이용하여 고효율·고출력·초경량 LED 램프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아이스파이프가 새로운 제품인 HB Series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전기료 절감에 효과적이고, 고천장등, 투광등, 벽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아이스파이프의 신제품인 HB Series에 대해 알아보았다. Q. 최근 HB Series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무엇인가. HB Series는 실내외 고천장등과 투광등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LED 램프다. 이 램프는 최대 160lm/W 고효율 제품이다. 따라서 최소한의 조명으로 더 밝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전기료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이 조명은 설치각도의 제한 없이 수직수평 모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천장등, 투광등, 벽부 등 다양한 용도로 실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두루 사용할 수 있다. Q. 고효율 제품이기 때문에 장점이 많은 것 같다. 이외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궁금하다. HB Series는 FDP 기술을 적용한 공기역학적 설계와 클램프 강화 공법을 이용했다. 따라서 작고, 가벼우며 튼튼하다. 앞서 말했듯 전기료 절감에
[첨단 헬로티] 시스템LED조명의 새로운 역사를 써가고 있는 빛생활연구소. 이 기업은 시스템LED조명 기술 개발과 더불어 보급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중소기업대전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이 기업은 시스템LED조명 초기투자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이자 장기 할부 프로그램도 도입했다. 빛생활연구소 조명의 차별화된 점 등을 알기 위해 관계자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빛생활연구소 조명을 활용한 주차장 시공 모습 Q. 빛생활연구소에 대해 소개해 달라. 빛생활연구소는 2008년 설립된 이후 LED 조명 중에서도 ‘시스템LED조명’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인 기업이라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국내외에서 다수의 특허를 획득했고, 중소기업대전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인증 받은 바 있다. 또, 해외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중이용시설에 에너지 절약형 시스템 LED조명 기구 및 솔루션을 수출하고 있다. Q, 주력 제품은 무엇인가. 무선 연동이 가능한 시스템LED조명이다. 이 조명은 기존 형광등 대비 최대 85%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최고 수준의 광 효율과 저비용을 자랑하며 환경 친화적이다
[첨단 헬로티] LED의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가로등, 공원등, 보안등에도 LED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하지만 가정용 LED보다 훨씬 밝아야 하는 공공조명용 등기구에 LED 기술을 접목하기 힘들었다. 비케이테크놀로지는 자체 개발 기술로 공공조명용 LED 조명이 가진 한계를 허문 기업이다. 이 기업은 LED패키지에서 발생된 열을 회로기판과 방열판을 통해 배출하는 원천기술을 개발, LED 조명의 활동 반경을 넓혔다. 비케이테크놀로지의 이동우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비케이테크놀로지 관계자가 관련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Q. 비케이테크놀로지가 하고 있는 사업 분야가 궁금하다. 비케이테크놀로지는 가로등과 공원등, 보안등과 같은 공공조명용 LED 조명을 중심으로 LED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회사다. 2010년 3월에 창업한 우리 회사는 차별화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원천기술개발에 매진해 신기술인증, 녹색기술인증 등 각종 특허등록을 통한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이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우리 회사의 LED조명 솔루션은 조달청 우수제품 등록과 IR52 장영실상 수상,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국가 유공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아 왔다. 우리 제품은 현재
[첨단 헬로티] 지난 5월, 제15회 ‘디지털메뉴팩처링페어 코파스(KOFAS) 2019(이하 코파스)’가 창원 컨벤션센터(CECO)에서 14일부터 17일까지 총 4일간 열렸다. 코파스에서는 국내 디지털 제조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제조 산업은 대내외적인 변화를 맞으며 자동화와 첨단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단순 자동화에서 첨단 디지털 제조로 5월 14일부터 17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디지털메뉴팩처링페어 코파스 2019(이하 코파스)’가 나흘간의 일정을 뒤로 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코파스는 디지털 기술과 제조업이 융합되는 기술혁신의 장으로서 참가업체와 바이어의 네트워크 구축을 바탕으로 기술 도입 참가업체의 신규 시장 창출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린 행사다. 제조 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생산 현장의 변화를 맞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는 기존에 적용되던 기술인 자동화를 넘어 자율화 및 지능화로 기술 혁신을 꿈꾼다. 특히 ICT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와 솔루션을 활용해 생산 제조가 하나로 연결되는 디지털화가 변화의 시작점에 있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이하 기진회)가 주관하고
[첨단 헬로티] “유럽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또는 디지털 트윈이라는 용어를 사용해가면서 제품이나 솔루션만을 파는 것이 아니라 컨설팅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경쟁사와도 협력하면서 차별화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과 관련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진단할 수 있는 컨설팅 조직과 스마트공장 모델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스마트공장 보급을 위한 프로세스에서 발생한 이슈의 점검을 통해, 다양한 사례와 해결 방안을 검토 및 수집하여 DB화와 유형화를 해야 한다.” 하노버 메세 2019로 본 인더스트리4.0의 시사점과 우리의 대응 방안에 대해 지난 4월 26일 열린 한국ICT융합네트워크 & 스마트제조혁신포럼에서 이은창 산업연구원 시스템산업연구실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내용을 정리했다. ▲ 이은창 산업연구원 시스템산업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과 관련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이슈의 점검을 통해, 다양한 사례와 해결 방안을 검토 및 수집하여 DB화와 유형화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4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