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기획특집

배너

스마트공장 정책, 이론 말고 ‘현실적인 접근’ 시급

URL복사
[무료 등록] 최신 AI MCU 개발 트렌드와 함께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응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5/14, 코트야드 판교호텔 8층)

[헬로티]



中企 '현장의 프로세스 개선' 병행돼야

올해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에는 고도화 트랙이 눈에 띈다. 물론 전에도 고도화에 대한 부분을 투자해오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올해처럼 전면에 내세우지는 않았다.


2020년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은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대·중소 상생형 구축 △스마트공장 수준확인 △스마트화 역량강화 △스마트 마이스터 운영 등으로 나뉜다.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별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지원은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제품설계‧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해 IoT, 5G, 빅데이터, AR·VR, AI,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을 위한 지원 사업이다. 기업 당 총 사업비의 50%(신규구축: 최대 1억, 고도화: 최대 1.5억)를 지원한다.


이처럼 스마트공장 구축뿐만 아니라 기 구축된 스마트 공장의 고도화 추진에 대한 부분은 구축수를 확대하는 한편으로 질적 향상에도 초점을 맞춘다는 전략이다. 고도화 공장은 정부의 스마트공장 수준평가에서 레벨 3 이상을 말한다.


정부에서 말하는 스마트공장 정의는 ICT, 설비 및 자동화 솔루션이 융합되어 시장과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을 적시에 생산‧납품할 수 있도록 실시간 의사결정과 운영체계가 최적화된 지능형 공장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스마트공장 레벨 3은 어느 정보의 수준을 말할까? 1단계는 부분적 표준화 및 데이터 관리가 되는 단계이고 2단계는 생산정보의 모니터링이 실시간 가능해지는 단계까지를 말한다. 레벨3은 수집된 정보를 분석해서 제어가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레벨 3 이상으로 가기 위해서 단순히 기존 구축된 공장의 수준 평가에서 레벨 2 이상 기업이 레벨 3으로 올라가면 좋겠지만 현실은 생각과 다르다는 게 컨설팅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현재 스마트공장 수준평가는 해외 스마트공장 수준평가와는 다르다. 우리나라의 스마트공장 수준평가는 전체가 아니라 부분적으로라도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도입하게 되면 그 부분에 대한 평가를 통해 레벨을 평가받게 된다.


즉, 우리나라에서 스마트공장이라고 평가받는 것은 공장 전체가 아니라 일부 라인을 스마트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현재의 상태로는 고도화 추진, 다시말해 레벨 3이상으로 올라가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공장이라고 추진했지만 막상 현장을 방문해보면 수기 부분을 전산화하거나 업체의 소극적인 태도로 스마트 솔루션은 도입됐지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이 전문해 무용지물이 된 경우도 많이 있다는 것이다.


덧붙여, 가용 데이터를 수집하더라도 이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력이 없기 때문에 효과를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표준협회 스마트혁신센터 이상철 수석전문위원은 “중소기업 관점에서, 디지털 시스템이 도입되어 데이터를 수집하더라도 이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구성원의 역량이 없으면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특히, 중소기업의 특성상 담당 직원의 부재와 전사차원의 지원이 미미하다 보니 디지털 시스템이 도입되더라도 원래의 업무 방식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다. 결국, 디지털 시스템 도입에 따른 기업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장의 프로세스 개선이 병행되어야할 것이다.”고 말한다.



고도화에 속도 내려면?

그럼, 프로세스만 개선시키면 바로 고도화로 추진할 수 있을까? 아직은 이르다는 평가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현재의 스마트공장 수준평가를 통해 레벨1, 또는 레벨 2의 평가를 받았더라도 공장 전체로 수평적 스마트화가 먼저 진행되어야 고도화에 힘을 받을 것이라는 게 컨설팅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한국생산성본부(KPC)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이정철 팀장은 “우리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했다는 것은 전체를 도입했다기 보다는 일부 라인에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이 많다. 그 다음 할 일은 레벨을 올리는 일이 아니라 옆으로, 수평 전개, 확산하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구축 성과분석에 따르면 ‘14년부터 ’17년까지 스마트공장 도입된 기업수가 5003개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서 나아가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을 3만개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런데 앞서 언급된 것처럼 공장의 일부 라인만 스마트공장이 추진된 것이라면 고도화는 이들 기업에게 너무나 먼 이야기이다. 라인의 일부를 스마트화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인력 등을 다른 라인에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 구축된 라인에 투자한 비용과 시간, 인력이 또다시 투입돼야 하기 때문이다. 수평 전개만도 힘에 부친데 고도화 추진은 이들 중소기업들에게 너무나 먼 이야기로 들릴 수밖에 없다.


이병수 기업혁신센터 스마트컨설팅 본부장은 “정책을 입안하고 기획하고 전담하는 분들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현장에 조금 더 근접해서 현장을 이해하고 실정을 감안해 주길 바란다. 이론 중심으로 알고 있거나 첨단 ICT 공부를 한 사람들이 너무 높은 부분만을 생각한다면 우리나라 현실의 6-7만 중소기업에게 너무나 먼 이야기이다.”라고 지적했다.


인터뷰에 응한 컨설팅 전문가들은 현재의 고도화 추진에 속도를 내려면 기 구축된 스마트공장의 잘못된 부분을 전문 인력 투입을 통해 바로 잡을 뿐만 아니라 최적화시키고 수평적 확장을 통해 기업의 스마트공장의 일부 라인이 아니라 전체 시스템으로 확장시킨다면 자연스럽게 고도화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