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이 패시브 안테나(Passive Antena)의 성능은 안테나 이득(Gain) 외에도 빔 효율성(Beam Efficiency)에 의해 결정된다고 23일 밝혔다. 모바일 네트워크는 장비,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된 복잡한 시스템이다. 통신사업자 등 서비스 제공자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계획, 평가, 실증 단계를 거쳐 최상의 네트워크 품질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안테나는 이러한 네트워크의 필수 구성 요소로, 단말기와 전파를 주고받으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안테나가 전파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면 네트워크의 성능은 향상된다. 빔 효율성은 안테나가 방사하는 전체 에너지 중 특정 섹터(Sector) 안에 방사되는 에너지 비율(%)을 의미한다. 보통의 경우 섹터는 -60도에서 +60도를 이르는 120도를 말한다. 빔 효율성이 높을수록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와 기지국 수신신호세기(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등 대표적인 통신 품질 지표가 향상된다. 변조(Modulation)와 반송파결합(Carrier Aggregation, 이하 CA) 기술의 효율도 높아져 사용자는 고품질 신호를 송수신할 수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히타치 밴타라의 고성능 인프라와 데이터 보호 및 랜섬웨어 복구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 빔 소프트웨어의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통합 백업 어플라이언스 ‘HVA(Hitachi Veeam Appliance)’를 출시했다. 최근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되면서 데이터 침해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24년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침해사고 신고 건수는 전년 대비 약 48% 증가했다. 특히 랜섬웨어 감염으로 인한 중견·중소기업의 피해가 전체의 9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보안과 복구 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HVA 백업 어플라이언스는 3단계 입체적 보안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랜섬웨어 위협을 원천 차단한다. 먼저 백업 소프트웨어 단계에서 빔의 기술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히타치 밴타라의 VSP 블록 및 파일 스토리지의 변경불가(immutable) 스냅샷 기능을 통해 하드웨어 기반 보안을 강화한다. 이어 오브젝트 스토리지 ‘HCP(Hitachi Content Platform)’의 S3 Object Lock 기능을 적용해 소산 백업 및 재해복구(DR) 환경에서도 데이
LG전자는 오는 9월 개장하는 스페인 최대 실내 경기장 ‘로이그 아레나’에 총 1700㎡ 규모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공급한다고 22일 밝혔다. 로이그 아레나는 최대 2만 명까지 수용 가능한 스페인 발렌시아의 다목적 경기장으로, 발렌시아를 연고로 하는 프로농구팀 발렌시아 바스켓 클럽의 홈구장으로 쓰일 예정이다. 아레나 외벽에는 300㎡ 크기의 눈동자 모양 LED 스크린 ‘디 아이’(The Eye)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중앙 스코어보드, 가로 길이 76m에 달하는 대형 LED 스크린, 무대 뒤 보조 스크린, 경기장을 둘러싸는 리본보드 등이 설치돼 관객에게 몰입감 넘치는 관람 경험을 선사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전 세계 약 200개 국가에서 다양한 스포츠 시설에 사이니지를 공급하며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고해상도 스크린은 물론, LG 비즈니스 클라우드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 설루션 등으로 인기 스포츠의 본고장인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각광받고 있다. 2000㎡ 이상 고성능 LED 스크린과 400m 이상의 LED 리본보드가 설치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홈구장 ‘리야드 메트로폴리타노’를 비롯해 스페인 축구 1·2부 리그 구단 대부분이 LG전자
기재부 등 관계부처, 업계 간담회 열고 기술 자립·규제 개선·인력 양성 등 지원방안 논의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추진기획단은 19일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방부, 우주항공청 등 관계부처와 함께 도심항공교통(UAM)과 드론 업계 간담회를 열어 한국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고 업계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UAM은 도심 교통 혼잡과 환경 문제를 해결할 게임 체인저로 연평균 30%씩 성장해 2040년에는 6090억 달러(국내 13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와 ICT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체 개발과 자율비행 기술 격차는 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 드론은 농업부터 건설, 물류, 국방까지 활용 분야가 빠르게 다각화하고 있으며, 특히 물류 배송은 미래 성장을 견인할 핵심 분야다. 기술 발전과 시장 성장성이 크지만 기업들이 영세하고 기체의 외산 의존도가 높다. 우리나라도 미래 성장동력 산업인 UAM의 상용화를 목표로 K-UAM 로드맵,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등에 따라 대규모 실증, R&D, 규제 특례 등 전방위적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드론산업도 드론 실증도시 및 상용화 지원사업, 드론산업 얼라
미국 컴퓨터통신산업협회(CCIA)는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디지털 시장법(DMA)이 다른 산업에 의도치 않게 경제적 파장을 미칠 수 있어 유럽연합(EU) 규제당국은 이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20일 밝혔다. 한국의 플랫폼 규제안도 유럽 디지털 시장법 사례를 참고했기 때문에 해당 연구가 시사하는 바에 관심이 쏠린다.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시장법은 원래 취지와는 달리 유럽 경제에 연간 최대 1140억 유로에 달하는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 연구는 지난 6월 12일(현지 시각) 브뤼셀에서 CCIA가 주최한 ‘현실 점검: AI 경쟁 역학 및 디지털 시장법이 유럽에 미치는 경제적 비용(Reality Check: AI Competition Dynamics & the DMA’s Economic Cost to Europe)’ 컨퍼런스에서 공개됐다. 디지털 시장법은 경쟁 촉진이라는 목표에도 불구하고 2023년 5월 이후 관련 부문의 총 매출액이 연간 최대 0.64% 감소하는 등 유럽 경제 전반에 걸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고 있다는 것이 해당 보고서의 핵심이다. 이러한 영향은 개인화 감소, 도달 범위 축소, 거래 비용
데이터 및 AI 전문기업 데이터브릭스가 차세대 운영 데이터베이스 ‘레이크베이스(Lakebase)’를 퍼블릭 프리뷰 형태로 출시했다. 레이크베이스는 완전 관리형 포스트그레(Postgres)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AI 애플리케이션 및 에이전트를 위한 실시간 운영성과 분석 기능을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레이크베이스는 기존 운영 데이터베이스(OLTP)의 한계를 극복하고 AI의 속도와 유연성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됐다. 네온(Neon)의 기술을 바탕으로 컴퓨팅과 스토리지를 분리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의 확장성을 제공하며, 데이터브릭스의 레이크하우스, 유니티 카탈로그, 온라인 피처 스토어 등과 자동 연동돼 지능형 앱과 AI 에이전트 개발을 단일 플랫폼에서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브릭스 CEO 알리 고드시(Ali Ghodsi)는 “레이크베이스는 AI 시대를 위한 완전히 새로운 운영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를 정의한다”며 “기업들이 AI 워크플로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레이크베이스는 10ms 미만의 지연 시간, 초당 수만 건의 쿼리 처리, 고가용 트랜잭션 지원 등의 성능을 갖췄고 포스트그레 기반 오픈소스 생태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PLM/DX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5’에 참가해, 차세대 산업 자동화 전략으로 주목받는 ‘Software-Defined Automation(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SDA)’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올해로 21회를 맞이한 ‘PLM/DX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는 AI와 디지털 전환(DX)의 가속화 속에서 변화하는 제조 산업의 혁신 방향을 조망하는 국내 대표 기술 컨퍼런스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CDE학회, 캐드앤그래픽스가 공동 주최하고 PLM 기술위원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PLM을 중심으로 한 제조 혁신 사례는 물론, 새롭게 신설된 SDM(MES/MOM) 트랙을 통해 자율 제조 및 스마트팩토리 전략까지 폭넓게 다룰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서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산업 및 공정 자동화 사업부 김건 매니저는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김건 매니저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SDA 전략을 기반으로 산업 자동화의 모듈화 및 유연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IEC 61499 국제 표준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 중심 설계가 가능해지는 구조를 중점적으로 설
글로벌 사이버 보안 기업 카스퍼스키가 페루 지역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트로이목마 ‘자누비스(Zanubis)’의 새로운 변종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자누비스는 '대금청구서'나 '송장' 등으로 위장한 악성 APK 파일을 통해 피해자의 스마트폰에 침투하고 은행 자격 증명과 암호화폐 지갑 키 등 민감한 정보를 탈취하는 고도화된 모바일 위협으로 진화했다. 자누비스는 지난 2022년 처음 등장한 이후, 초기에는 PDF 리더기나 정부 기관 앱을 가장해 유포됐다. 그러나 최근 발견된 변종은 에너지 기업이나 은행 앱으로 위장해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Boleta_XXXXXX.apk' 또는 'Factura_XXXXXX.apk'와 같은 파일명으로 사용자를 속이며, 필수 확인 절차를 가장한 권한 요청을 통해 접근성 권한을 확보해 키로깅, 화면 녹화 등 다양한 악성 행위를 수행한다. 카스퍼스키에 따르면 이번 공격은 사회공학 기법을 적극 활용하며, 피해자가 악성 앱 설치 후 고객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이후 자누비스는 장치 내 모든 사용자 활동을 감시하고 금융 정보를 은밀히 수집한다. 현재까지 약 1250건의 피해가 누적된 것으로 분석됐다. 공격자는 코드에
멀티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전문 기업 옵스나우가 글로벌 보안 인증 ‘SOC 2 Type 2’를 획득하며 고객 데이터 보호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인증은 미국공인회계사협회(AICPA)가 제정한 기준에 따라 외부 독립기관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부여되는 것으로, 옵스나우는 자사의 내부 보안 통제 시스템이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무결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SOC 2 Type 2’는 기업의 보안 시스템이 일정 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운영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국제적 인증이다. 옵스나우는 지난해 12월부터 약 3개월에 걸쳐 '비인가 접근 통제',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 무결성 및 가용성', '개인정보보호' 등 주요 항목에 대한 검증을 통과했다. 이는 옵스나우의 내부 보안 프레임워크가 글로벌 보안 기준을 충족하며 실제 운영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인증을 통해 옵스나우는 고객의 민감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다는 대외적 신뢰를 강화하게 됐다. 기업 고객은 플랫폼의 보안성을 기반으로 기술 운영을 최적화하고 본연의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박승우 옵스나우 대표는 “데이터 보안과 신뢰는 모든
[헬로즈업 세줄 요약] ㆍPCIe 5.0 기반 고성능 스위칭 기술을 탑재한 AI 연산 서버 'Klimax-408' 전격 공개 ㆍ서버 1대에 최대 8장의 GPU 또는 NPU 탑재 가능해 호환성 및 연산 효율 보장 ㆍ외산 서버 대비 낮은비용과 실용 중심 설계...고성능 AI 연산이 필요한 현장에 적합 ㈜코코링크가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고성능 서버 ‘Klimax-408’을 전격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는 이동학 대표가 직접 연사로 나서 제품 개발 배경과 기술적 강점을 소개했다. PCIe 5.0 기반 스위칭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된 Klimax-408은 초거대 AI 모델, 자율주행, 빅데이터 등 연산이 중요한 산업군을 겨냥해 높은 연산 효율성과 확장성을 제공한다. 국산 기술로 완성된 이 제품은 외산 서버 중심의 국내 시장에 기술 자립이라는 변화를 예고하며, AI 인프라 생태계의 새로운 선택지를 제시했다. Klimax-408은 국내 기술력의 집약체로 평가받고 있다. 이동학 대표는 이날 발표에서 “PCIe 5.0 기반 고성능 스위칭 기술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고성능 컴퓨팅 서버 개발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하며, “Klimax-408은 단순한 하드
텔레다인르크로이는 자율주행차의 데이터 전송 요구를 겨냥한 새로운 자동차 SerDes(serializer/deserializer) 차량 내 네트워크 표준 중 하나인 ASA(Automotive Serdes Alliance) 모션 링크(ML) v1.1 사양에 대한 자동화 컴플라이언스 테스트 옵션을 발표했다. SerDes 장치는 대량의 데이터를 한 방향으로 전송하며, 센서와 카메라 네트워크에서 차량 내 처리 장치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이상적이다. 이 처리 장치는 자율 주행 차량 작동에 필요한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게 된다. ASA의 ML, MIPI의 A-PHY, Analog Device/OpenGMSL의 기가비트 멀티미디어 시리얼 링크(GMSLTM) 등 여러 경쟁 자동차 SerDes 표준이 경쟁하고 있다. 텔레다인르크로이의 ASA ML v1.1용 새로운 QPHY2-ASA 컴플라이언스 테스트 소프트웨어는 텔레다인르크로이가 ASA ML 표준 위원회와 플러그페스트에 초기부터 폭넓게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됐다. 이 컴플라이언스 테스트 소프트웨어는 ASA 회원사들이 최종 확정 단계에 있는 테스트 요구 사항을 선제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ASA ML v1.1 표준 채택 초
KT가 초고속인터넷 1000만 고객 달성을 맞아 구축 아파트에 차세대 기가 이더넷 스위치(New 5G-GES)를 도입한다고 19일 밝혔다. 차세대 기가 이더넷 스위치는 8 가닥 꼬임 케이블(4 pair UTP)로 인터넷 속도를 최대 5Gbps까지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치다. 주로 아파트 단자함에 설치돼, 전류가 통하지 않게 만든 선인 UTP 케이블을 통해 가정까지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래된 구축 아파트는 4 가닥 꼬임 케이블(2pair UTP)이 배선되는데, 이 경우에 스위치를 도입하면 공사 없이도 1Gbps급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KT는 설명했다. KT는 오는 23일부터 인천, 부산, 대구 지역 구축 아파트에 신규 장비를 우선 도입해 1Gbps 서비스를 시범 제공하고, 다음 달부터 전국으로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교체가 완료된 아파트 거주 고객이 1Gbps급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인터넷 서비스 변경 신청이 필요하다. KT는 인터넷 1000만 달성을 기념해 1Gbps 이상 신규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KT 와이파이 7D’와 ‘홈캠 안심’ 서비스 이용료 무료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 권혜진 상무는
토스가 마이데이터 2.0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19일 밝혔다. 마이데이터는 여러 금융사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한곳에 모아 관리하도록 돕는 제도다. 토스는 2021년 12월 마이데이터 오픈 이후 이용자들이 금융자산과 소비 내역을 쉽게 파악하고 맞춤형 상품이나 서비스도 추천받을 수 있도록 운영 중이다. 마이데이터 2.0 시행에 맞춰 토스는 이용자 편의성과 서비스 안정성을 강화한 서비스를 선보인다. 토스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마이데이터 2.0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먼저 가입 단계에서 자산 조회 및 연결을 위한 절차가 간소화된다. 특히 업권별(은행, 카드, 증권, 포인트, 통신사, 보험, 캐피탈 등)로 보유한 모든 자산을 불러오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한번에 조회 가능한 금융기관이 50개로 제한돼 이용자가 연결할 자산을 일일이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관리할 수 있는 금융자산 범위도 넓어진다. 휴면 예금과 휴면 보험금도 마이데이터로 조회 가능하다. 조회 후에 잔고를 이전하거나 해지하는 절차 또한 토스 앱에서 바로 할 수 있다. 휴면 예금과 휴면 보험금 잔고를 서민금융진흥원에 기부할 수 있는 서비스도 선보인다. 마이데이터로 연결된 자산 정보를
퓨어스토리지는 조직이 인프라가 아닌 비즈니스 성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및 스토리지 관리 단순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인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클라우드(Enterprise Data Cloud, EDC)를 9일 공개했다. AI의 확산으로 데이터 양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요구사항도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스토리지 모델은 데이터 단절, 사일로, 통제 불가능한 데이터 확산을 초래한다. 이제 조직은 스토리지를 ‘관리’하는 기존의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를 어떻게, 어디서, 왜 활용하는지를 이해하는 방향으로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리스크와 비용을 줄이고 운영의 비효율성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EDC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한아키텍처 접근 방식이다. 이를 통해 조직은 자사의 전체 데이터 환경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EDC 아키텍처를 통해 IT 팀은 온프레미스, 퍼블릭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환경 전반에 걸쳐 가상화된 데이터 클라우드를 중앙에서 일관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능적이고 자율적인 데이터 관리 및 거버넌스를 실현할 수 있다. EDC 아키텍처를 통해 조직은 대규모 데
포티넷코리아가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멘토링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멘토링은 ESG 경영 실천과 보안 인재 양성을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학생들에게 현업 기반 교육 콘텐츠와 실무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포티넷코리아는 지난 17일 본사에서 지능형사이버보안과 재학생 24명을 초청해 사이버 보안 멘토링을 진행했다. 보안의 기본 개념부터 실무 적용 사례까지 폭넓게 다루며 시나리오 기반 게임 형식으로 실질적인 이해를 돕는 교육을 구성했다. 보안 전문가로서의 역량, 진로 탐색 방향, 취업을 위한 준비 과정 등 실용적인 조언도 함께 제공됐다. 포티넷은 2023년부터 서울아이티고와 협업을 이어오며, 정기적인 멘토링과 함께 포티넷 협력사 인턴십 연계 기회를 마련해왔다. 지난 5월에는 연례 행사 ‘Accelerate 2025’에 학교 관계자와 학생들을 초청해 최신 사이버보안 기술 트렌드에 대한 현장 체험의 기회도 제공한 바 있다. 정규석 포티넷코리아 전무이사는 “보안 전문 인력 양성은 포티넷의 글로벌 비전 중 핵심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실무형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보안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