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F테크놀로지는 사람, 기술, 프로세스의 융합을 통해 가치를 창출한다는 이념 아래 2000년 설립한 플랜트 소프트웨어 글로벌 전문기업이다. 이 회사는 DCS HMI 교체 사업을 비롯해 실시간 설비 빅데이터 관리 시스템,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예지보전 솔루션을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최근엔 친환경 에너지 관련 사업에 뛰어들며 제조 플랜트 디지털화를 넘어 수소 충전소 인프라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는 고성능 운전정보시스템 HanPrism과 기기고장 예측시스템 HanPHI을 소개할 예정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BNF테크놀로지는 원자력발전소 감시 시스템 분야의 기술자립으로 해외수출을 이루어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DCS HMI 교체 사업을 비롯해 실시간 설비 빅데이터 관리 시스템,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예지보전 솔루션을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들 솔루션은 선진기술보다 앞선 기술력으로 인정받으며 국내외 원자력, 화력, 복합화력, 가스, 석유화학, 신재생 등 대부분 대형 에너지 플랜트에 공급된 이력이 있고, 제조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솔루션으로 자리 잡았다. Q. 인더스트
건솔루션은 ‘OT와 IT 기술 융합력’을 가진 회사로 다양한 회사와 함께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이끌고 있다. 또한, 국제 표준기술에 건솔루션 자체 기술을 적용하여 한국형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수출하는 대표주자로 거듭나고 있다. 건솔루션 김삼성 대표는 “얼라이언스를 통한 토털 솔루션 제공과 표준화를 선도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Q. 건솔루션이 주력하는 사업은. A. 우리는 ‘Link up Be the Best’라는 슬로건 하에 수요기업에 최적화된 스마트공장을 구축해주고 있다. 대표적인 시스템인 FACON은 Gx-MES, G-CAP, OMV+, Machine Tending, G-DFM, Renishaw Probe의 솔루션으로 구성되어 설계 단계에서 제조, 출하까지의 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Q. 인더스트리4.0과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건솔루션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건솔루션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다양한 얼라이언스사와 협력하여 모든 구축 시스템을 수요기업에 최적화된 구성으로 패키지화하여 원스톱 시스템으로 구현하고 있다. 또한, 제조산업의 엔터프라이즈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SDT는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를 위한 IoT 및 엣지 컴퓨팅 솔루션으로 고객의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부터 스마트 제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통합 서비스 제공은 물론, 스마트 팩토리와 스마트 제조 구축 및 제조·검수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디바이스와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는 하드웨어 부문 신제품인 SDT ECN을 소개할 예정이다. Q.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에는 대기업 제조사, 리테일 기업, 모빌리티 기업,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머신 비전, 영상처리, 딥러닝,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고도의 자동화 기술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이 예전에 해결할 수 없던 문제에 해답을 제공했다. 또한, 디바이스나 설비의 제조사 또는 산업용 프로토콜에 국한하지 않고 제조 현장에 도입할 수 있는 산업용 IoT 플랫폼을 개발했다. 2022년에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엣지 컴퓨팅 하드웨어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현장에 도입하여 고객의 비용 절감, 타임 투 마켓 단축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다. Q. 디지털 전환 시대 SDT의 비즈니스 경쟁력은. A. 크게 3가
RIGOL은 1998년 출범한 이래 테스트 및 측정 분야의 첨단 기술에 집중해 왔으며 총 587건 이상의 특허가 출원 및 출원 중이다. 현재 전세계에서 엔지니어들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및 기대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체 개발한 계측기로 테스트 및 측정 산업에서 혁신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는 UltraVision III 플랫폼을 탑재한 StationMax 디지털 오실로스코프DS70000을 소개할 예정이다. Q.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RIGOL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RIGOL은 테스트 및 측정 산업의 글로벌 리더로서, 고객에게 맞춤형 제품과 엔드 투 엔드 서비스는 물론, 고품질 전자 테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테스트 및 측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보다 정확하고 사용하기 쉬운 전자 테스트 및 측정 제품과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하여 제조혁신을 앞당기고 있다. Q. 지난해 사업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도에 RIGOL은 어느 해보다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했다. 한국의 산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다가가기 위해서 테스트 및 측정 분야의 오랜
티라로보틱스는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로봇이 외부의 도움 없이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자율주행로봇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티라유텍으로부터 Spin-off 하여 2022년 1월 출범한 후,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했으며 다수의 고객에게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티라로보틱스 김동경 대표는 “주력 모델인 티라봇의 우수성을 알리며 글로벌 TOP 10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는 티라봇200과 신제품인 로보엘을 전시할 예정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티라로보틱스의 로봇 솔루션은 자율주행로봇과 로봇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필요한 로봇 토털 솔루션(로봇+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자율주행로봇은 4차 산업혁명을 대변하는 핵심 산업 중 하나이다. 우리는 우수한 기술력과 안정된 품질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로봇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글로벌 로봇 TOP 10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Q. 스마트 제조 또는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티라로보틱스는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제조 방식이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변화해 왔으며, 이제는 적시
다쏘시스템은 1981년 설립됐으며 프랑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선도 기업이다. 1986년 보잉이 항공기 디자인과 제조를 위해 다쏘시스템의 솔루션을 채택했고, 1995년 세계 최초로 실물 모형 없이 다쏘시스템의 디지털 목업 기술을 기반으로 보잉777이 탄생했다. 다쏘시스템은 항공 산업 이외에도 자동차, 조선해양, 산업장비, 생명과학/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 지속적으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버추얼 트윈을 통해 모든 산업의 환경 문제를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쏘시스템 코리아 델미아 브랜드 총괄 손태익 대표는 “버추얼 트윈 경험의 환경으로 고객은 더 빠르고 더 정확한 결정을 할 수 있는 비즈니스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다쏘시스템은 항공우주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조선해양, 산업장비, 생명과학/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 지속적으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버추얼 트윈을 통해 모든 산업의 환경 문제를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버추얼 트윈은 실물 제작 이전에 가상으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시뮬레이션과 최적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도시, 건물부터 인체까지 전 산업에 적용 가능하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산업자동화 및 전력 서비스 영역뿐만 아니라, 전체 엔터프라이즈를 디지털로 통합할 수 있는 회사 중 하나이다. 특히, loT 기반의 소프트웨어인 ‘에코스트럭처’를 통해 정확한 데이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기와 통합 솔루션을 갖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서상훈 본부장은 “loT, AOA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최적화된 원격 관리가 가능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는 공장 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증강현실 솔루션인 에코스트럭처 아규멘티드 오퍼레이터 어드바이저를 비롯해 산업용 PC, 스마트 MCC를 선보일 예정이다. Q.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주력하는 사업은. A. 187년이라는 오랜 역사가 말해주듯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에너지 관리·자동화 분야에서 디지털 혁신의 선두주자라고 생각한다. 19세기, 철강·중장비·조선 사업 등 전형적인 하드웨어 제조업체로 시작해 20세기 들어 전력·자동화·제어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고, 21세기에는 소프트웨어 역량을 확보하면서 첨단 기술기업으로 변화하며 시대 흐름에 적응하고 있다. Q. 스마트 제조 또는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슈나이더 일
라온피플은 제조 공정에서 검사 및 생산 환경에 최적화된 AI 머신비전 카메라와 소프트웨어를 융합해 유형별 불량을 검출하는 등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솔루션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최상의 품질과 제조 성과를 도출해낸다. 2021년 세계가 주목하는 AI 기업 1위에 선정된 바 있으며, 2년 연속 코스닥 라이징스타 기업, 과기정통부 우수기업연구소 선정에 이어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면서 지난해 특허경영대상에서 특허청장상을 수상하는 등 기술 기반의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라온피플 이석중 대표는 “공장 자동화에 적용되던 AI 비전검사를 비산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사회 및 환경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제조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조업은 사람 중심의 공정에서 기계, 그리고 로봇으로 발전해왔으며, 로봇은 AI 기술과 융합해 현재는 무인화된 스마트 팩토리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라온피플은 무인화된 스마트 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구축 등 산업 전반의 영역에 적용 가능한 AI 머신비전 검사 소프트웨어와 장비를 개발하고 공급하는 기업으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각각의 제
“3D프린팅 동급 최강의 경제성, 생산성 제공으로 고객의 스마트 제조 혁신에 일조하겠다.” 현우데이타시스템은 1987년 설립이래, 산업용 3D프린터와 관련 시제품 제작 및 고객 일대일 맞춤형 3D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우데이타시스템 최현일 대표는 3D프린터 한 대면 공정상의 복잡한 단계를 다 해결 할 수 있어 1~2일 안에 제품을 받아 볼 수 있다고 말한다. 한 발 더 나아가 현우데이타시스템은 실제 도면 없이도 크기만으로 견적 가능한 시스템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서는 강한 강성을 자랑하는 플라스틱 3D프린터와 금속 3D프린터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현우데이타시스템은 1987년 설립으로 시작해 2003년 코스탁 상장하며 산업용 3D프린터 사업을 하고 있다. 현재 HP 한국 공식 대리점이며, Prismlab (SLA) 사와 Techgine (금속) 사의 한국 총판으로써 산업용 3D프린터를 판매하고 있다. 그 외 3D프린터 관련 시제품 제작과 고객 일대일 맞춤형 3D 토털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과 동반 성장을 목표로 3D프린팅이 단순 디자인 확인 용도가 아닌 양산으로 사용될 수 있
“가디원 솔루션은 산업AI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 고민을 해결하는 디지털 브레인 역할을 할 것이다.” 원프레딕트 윤병동 대표는 스마트 팩토리의 핵심은 디지털 전환이라며 원프레딕트의 가디원 솔루션은 산업 현장 내에서 취득되는 방대한 양의 산업 데이터를 자율적 분석, 진단, 예측을 가능케 하여 설비의 생산성을 극대화한다고 말한다. 원프레딕트는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서도 모터의 상태를 진단하는 새로운 가디원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원프레딕트는 산업AI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 내 핵심 설비의 건전성 상태를 진단·예측·관리하는 가디원(GuardiOne) 솔루션을 제공한다. 디지털 트윈 솔루션인 가디원은 각 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 전류, 속도, 음향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업 현장 밖에서도 현장에 있는 것보다 더 면밀하고 정확하게 설비를 진단 및 예측하여, 최적의 설비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가디원 솔루션은 에너지발전, 석유화학, 제조업 분야에서 안전과 효율적인 설비 운용을 지원하고 있다. Q.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원프레딕트는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스마트 팩토리의 핵심은
키슬러는 크리스탈을 이용한 압전형 압력센서를 비롯해 힘 센서, 토크 센서, 가속도계 등의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키슬러코리아 백승돈 부장은 최근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유공압프레스에서 서보프레스로 전환하는 추세여서 기존 센서 비즈니스에서 시스템과 솔루션 비즈니스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한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서도 저용량 보급형 서보프레스 NCFE 2kN/5kN와 경량화한 NCFC 55kN/80kN 제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키슬러는 크리스탈을 이용한 압전형 압력센서(Piezoelectric pressure sensor)를 최초로 상용한 회사이다. 크리스탈을 기반으로 한 압전방식을 압력센서에서 힘 센서(force sensor), 토크 센서, 가속도계(Accelerometer) 등으로 확대했고, 센서 비즈니스에서 시스템과 솔루션 비즈니스로 사업을 확대를 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제품으로 연구소 및 제조현장 등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Q. 2021년 사업 성과와 2022년 기대는. A. 지난해 실적은 목표 대비 초과 달성을 하였고, JSB BU(서보프레스 사업부)도 2020
“사용자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환경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해 나가겠다.” 센서리움 공진경 대표는 보행자용 센서, 산업용 센서 제공 외에도 고객중심의 유연한 태도와 여러 가지 솔루션을 커버할 수 있는 제품 개발 역량도 갖추고 있다고 말한다. 최근 안전에 대한 정부 지침이 강화되면서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서는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제품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체험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센서리움은 보행자용, 산업용 센서 외에도 4차 산업혁명에 부흥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주력 사업 분야는 스마트 주차 시스템, 스마트 도로교통, 스마트 인더스트리, 대중교통 안전 솔루션, 피플카운팅, 보안 및 입출입감지, 인터랙티브 미디어 솔루션 등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Q. 인더스트리4.0 또는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센서리움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앞으로는 점차 자동화 솔루션이 사람을 대체한다고 한다. 대부분은 자동화로 대체되고, 점차 간소화되고 디지털화가 된다. 따라서 기계들 간의 사고 없는 원
“가장 심플한 프로세스로 머신비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나가겠다.” 2004년에 설립된 인스피라즈 테크놀로지(VizCam)는 기술 지향적인 회사로서 애플리케이션 필요시 맞춤형 프로그래밍을 없애겠다는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Wizer & WebSpec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했다. 지금은 헤비유저뿐 아니라 라이트 유저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RTU 콘셉트를 론칭하여 더욱 간단하고 효율적인 비전 플랫폼을 구성하게 됐다. 비즈캠(VizCam) 임호범 이사는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빠르고 쉽게 적용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말한다. Q. 인더스트리4.0과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비즈캠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는가. A. 비즈캠(VizCam)은 육안검사 제조공정을 대체하는 비전 검사 전문 플랫폼으로 스마트 팩토리 자동화 공정에서 비전 검사를 수행한다. 카메라, 산업용 컴퓨터, PLC 등과 쉽게 통합되어 검사 데이터를 공유하고 빠르고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이는 육안검사의 제조공정보다 오탐률이 현저히 낮고 실제 수율을 높이는 등 결과적으로 경쟁력 있는 공장으로의 스마트 제조 혁신을 이룰 수
“다양한 커스텀 솔루션 제공으로 고객사의 제품을 개발 및 개선하는 데 적극 지원하겠다.” 스위스 아미에트는 스마트 트렌드에 적합한 초소형, 고성능의 모터 제품들을 출시 및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정밀 모션제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의료기기, 로봇 및 자동화 등에서 큰 매출 성과를 보였으며, 올해는 새로 성장하는 바이오 및 로봇 분야에도 적극 공략할 계획이라고 한다. 스위스 아미에트 이정훈 과장은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전략 일환으로 온택트 마케팅을 강화하고 본사의 긴밀한 협의를 통한 레퍼런스와 노하우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한다.'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에서는 초소형 모션 컨트롤러와 큰 중공축 스텝모터 등을 선보이며 정밀 모션 제어 솔루션 리딩기업임을 보여줄 예정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스위스 아미에트에서 공급하는 FAULHABER그룹의 드라이브 시스템은 고성능 DC 모터, BLDC 모터, 리니어 모터, 스테퍼 모터 및 피에조 모터에 이르기까지 최소 크기와 최소 중량으로 최대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주요 산업으로는 의료기기, 항공우주, 정밀 광학, 로봇 및 자동화 등과
LMI의 3D 센서는 속도, 분해능 등이 크게 개선되었고 쉬운 제품 설치와 프로그램 설정은 이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 대표 모델인 Gocator 시리즈는 일반 비전 검사 시스템이나 사람이 직접 검사하기 힘든 영역에서 자동 검사 장비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잡았다. LMI 테크놀로지스 소한별 한국지사장은 “매년 꾸준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세계 최고의 3D 센서를 시장에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MI는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에서 라인 컨포컬 3D 센서 Gocator 5512와 라인 레이저 3D 센서 Gocator 2600 시리즈를 선보이며 3D 센서 리딩 기업임을 보여줄 예정이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LMI 테크놀로지스는 캐나다 밴쿠버에 위치한 3D 센서 전문 제조사이다. 라인 레이저 센서를 비롯한 3D 스냅샷 센서, 나아가 라인 컨포컬 센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왔으며, 2021년에는 AI 비전검사 전문기업인 Fringe AI를 인수하여 Gocator 3D 센서와 연동된 AI소프트웨어도 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LMI는 매년 꾸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