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문서 기반의 제조 AI Agent, 누구나 쉽게 도입 가능한 공장 문제 해결 솔루션 제시 제조업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AI 솔루션 전문 기업 ㈜넥스톰이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린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자사의 대표 솔루션 ‘XLStormy’를 현지에 최초로 공개했다. 넥스톰은 AI 및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공정, 장비, 품질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해결하는 제조 특화 솔루션을 개발해온 기업이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LLM/sLM 기반의 AI Agent 기술을 제조 현장에 도입하여, 공장의 실시간 운영상황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직관적이고 실용적인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XLStormy’는 Excel과 같은 익숙한 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경량형 MES 시스템이다. 중소 제조기업 실무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파일 환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처리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AI 분석을 수행해 공장의 운영 상황과 문제점을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AI Agent가 대시보드를 통해 분석 결과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경영자는 PC나 모바일에서 손쉽게
생성형 AI부터 전 공정 자율화까지… 동남아 제조산업의 AX 전환 이끈다 산업 AX(AI Transformation) 및 자율제조 분야를 선도하는 인터엑스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린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제조업의 디지털 지능화를 실현하는 생성형 AI 솔루션과 AI 자율제조 솔루션을 전격 공개했다. 인터엑스는 ‘AI로 정의되는 제조업’이라는 비전 아래, 제조 현장의 설비 중심 운영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 정의 제조(SDM)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선도 기업이다. 디지털 트윈, AI 자율공장, 생성형 AI, 디지털 공급망 등 제조 전 주기를 아우르는 AX 솔루션을 통해 제조업의 지능화·자율화를 실현하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 품질 예측, 에너지 절감, 탄소 저감, 납기 단축 등 핵심 운영 지표 혁신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주력 출품작인 ‘제조 생성형 AI 솔루션’은 단순한 텍스트 생성 기능을 넘어 제조 현장의 실질적인 업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지능형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도면, 공정조건, 설비 이력 등 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 질의응답, 작업지시서 및 보고서 자동 작성, 표준화 문서 생성 등을 손쉽게 수행
현장 데이터부터 클라우드까지… ‘글래스돔 플랫폼’으로 산업 디지털화의 기준 제시 스마트팩토리 통합 솔루션 전문기업 글래스돔코리아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린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는 글래스돔 플랫폼 및 글래스돔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최신 기술력을 선보였다. 글래스돔코리아는 산업 현장의 설비 데이터(PLC, 센서 등)부터 상위 IT 시스템(ERP, MES 등)까지 수직 통합하여 하나의 유기적인 데이터 흐름을 제공하는 디지털 전환 전문기업이다. 이미 오리온 베트남, LG전자 베트남 등의 현지 기업에 성공적으로 솔루션을 구축한 경험을 바탕으로, 베트남을 비롯한 아세안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주력 제품인 ‘Glassdome Platform’은 제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보고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SaaS 데이터 플랫폼이다.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실시간 모니터링, OEE(설비종합효율) 분석, 탄소배출량 계산 등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제공하며, 별도의 서버나 추가 프로그램 없이도 빠른 구축과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장 실무자들의 높은 관심이 기대된다.
Edge AI와 시계열 예측으로 제조 현장 스마트화 가속… 베트남 제조업 디지털 전환 이끈다 AIoT 기반 스마트 제조 솔루션 전문기업 로이랩스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린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주력 제품인 RAMS(RoyLabs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ing management System)를 선보였다. 본 제품은 CNC 설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비 이상 감지와 공정 최적화를 실현하는 엣지 AI 솔루션으로, 제조 현장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동시에 가능케 한다. 로이랩스는 국내외 제조 현장에서 축적된 다양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경험과 국가 R&D 과제를 바탕으로, CNC, 로봇, PLC, 센서 등 설비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예지보전, 품질 분석, 공정 개선 등의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엣지 컴퓨팅 기반의 경량 AI 기술을 통해 복잡한 클라우드 연동 없이도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구현하고 있어 현장 실무진의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 이번 전시의 핵심 출품작인 ‘RAMS’는 로이랩스가 독자 개발한 LSTM 기반의 AI 모델을 활용해 CNC 설비
햄버거 조리 로봇 ‘알파 그릴(Alpha Grill)’ 리스 서비스 출시 “초기 자금 부담 완화, 부가가치세(VAT) 조기 환급 등 통해 현금 유동성 확보 가능” 36개월 후 소유권 이전 정책 포함...비용 절감 및 자산 확보 기대 에니아이가 햄버거 조리 로봇 ‘알파 그릴(Alpha Grill)’의 리스형 상품을 출시했다. 이로써 외식업 자영업자의 자동화 도입 부담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받는다. 사측은 초기 자금 여력이 부족한 예비 창업자와 비용 예측이 중요한 중소형 점포를 겨냥한 맞춤형 전략으로 이번 서비스를 내놨다. 해당 리스형 상품은 금융사 연계를 통해 보증금 납부 후 36개월 분할 납입하는 구조다. 납입이 완료되면 로봇 소유권이 자동 이전돼 추가 비용 없이 장비를 지속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계약 직후 일정 요건만 충족하면 36개월 총 계약 금액 기준의 부가가치세(VAT)를 익월 조기 환급받을 수 있다. 이는 인력난과 운영비 부담을 동시에 해결하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에니아이는 이번 신규 정책을 내놓으면서 기존 월 구독형 상품을 단종했다. 대신에 장비 소유권과 환급 혜택을 제공하는 리스형, 일시불 구매형으로 모델을 전환했다. 에니아이
20년 노하우 담은 품질 및 설비 모니터링 통합 플랫폼으로 베트남 시장 공략 본격화 제조 품질관리 및 스마트공장 솔루션 전문기업 주식회사 팜아이앤씨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개최된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통계적 공정관리 시스템 ‘PAMSPC’와 실시간 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PAMLMS’를 선보였다. 팜아이앤씨는 SPC 시스템 전문 소프트웨어 개발사로서, 국내외 200여 개 기업에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제공해온 신뢰받는 파트너 기업이다. 현장 데이터 수집부터 품질 개선 활동에 이르기까지 통합형(All-in-One) 서비스를 기반으로 품질 향상과 생산성 최적화를 동시에 실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AI 기반 시뮬레이션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해 솔루션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주력 제품인 ‘PAMSPC’는 제조 현장의 품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품질 이상을 빠르게 감지하고, 알람을 통해 신속한 현장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통계적 공정관리 시스템이다. 특히 ▲실시간 품질 모니터링 ▲이상패턴 분석 ▲불량 비용 절감 ▲Paperless 기반 데이터 신뢰성 향상 등 정량적 품질 개선 효과를 극
베트남 임가공 산업 디지털화에 최적화된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으로 현지 시장 공략 스마트공장 구축 전문기업 ㈜톰스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개최되는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도면 기반 임가공 산업에 최적화된 자사의 MES 솔루션과 스마트 단말기 시리즈를 선보였다. ㈜톰스는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의 임가공 제조업에 특화된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업으로, 견적부터 출하, 품질관리, 실시간 생산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제조 현장의 전 과정을 시스템화하는 통합 MES 솔루션 ‘ToMES’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가공정보 입출력 스마트단말기(Drawing Board)’와 ‘위치정보 입출력 스마트단말기(POP)’를 핵심 출품작으로 소개하며 베트남 스마트팩토리 시장의 니즈에 부합하는 기술력을 제시했다. ‘Drawing Board’는 가공설비와 연동되어 실시간 가공 실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작업자 정보 및 도면 기반의 공정 상태를 대시보드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가공 설비의 가동·비가동 시간을 분석하고, 생산 원가 산출의 정확성을 높이는 동시에 운영 투명성과 의사결정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POP 단
생산현장의 전 공정 디지털화와 설비 이상 예측으로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실현 제조 IT 솔루션 전문기업 ㈜인커스소프트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린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핵심 솔루션인 MES 시스템 ‘INCUS HKinc MES’와 AI 기반 자동 머신러닝 솔루션 ‘INCUS AI AUTO ML’을 출품했다. 인커스소프트는 생산, 품질, 재고, LOT, 물류 등 제조현장의 전 공정을 아우르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ERP, MES(POP), CRM, SCM, AI 기반 AutoML 등 폭넓은 제품군으로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한번 고객은 영원한 고객”이라는 기업 철학 아래, 신뢰와 정직을 바탕으로 한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을 추구하고 있으며, 기술 투자와 혁신을 통해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의 대표 전시 제품인 ‘INCUS HKinc MES’는 원소재 입고부터 제품 출하까지 모든 공정의 LOT 이력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품질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비별·원인별 불량 원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
‘AI 팩토리 전문기업’ 지정...다이캐스팅·배터리 등 제조 현장 인공지능(AI) 솔루션 역량 인정 “고부가가치 사업 확장 및 AI 전문 인력 확보로 제조 혁신 선도할 것” 엔텔스가 ‘AI 팩토리’ 프로젝트에 공식 합류하며, 인공지능(AI) 기반 제조 혁신에 속도를 낸다. AI 팩토리 사업은 지난해 제조 AI 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출범한 ‘AI 자율제조(AI Autonomous Manufacturing)’의 개편 전략 프로젝트다.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주관하는 이 사업은 제조 현장에 AI 자율제조 기술을 도입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 전문 기업 모집에는 신청 기업 180개 사 중 23개사가 선발됐다. 이번 인증은 제조 AI 분야에서 엔텔스가 축적한 기술력과 실적을 인정받은 성과다. 엔텔스는 그동안 제조 다이캐스팅, 배터리, 회전기 모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솔루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입증해왔다. 특히 데이터 수집·분석 및 MLOps 기능을 포함한 통합 AI 플랫폼을 통해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DX)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국내외 3000건 이상
한국엡손이 고속·정밀 스캔 작업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스캐너 2종을 출시했다. 신제품은 북스캐너 ‘DS-1760WN’과 A4 문서 스캐너 ‘DS-1730’으로 디지털 문서화 수요 확대와 업무 효율성 강화를 목표로 기획됐다. 엡손은 1986년 개인용 이미지 스캐너를 출시한 이래 기술 개발에 지속 투자해왔다. 이번에 공개된 하이브리드 스캐너는 파괴·비파괴 스캔을 하나의 장비에서 모두 지원해 다양한 문서 처리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USB 모델에 더해 네트워크 모델까지 라인업을 확장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DS-1760WN’은 네트워크 기반 북스캐너로 OCR(문자 인식) 정확도가 높은 파괴 스캔 방식과 희귀본·고서 보존을 위한 비파괴 스캔 방식을 모두 제공한다. 이를 통해 소장 가치와 작업 목적에 따라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별도 장비 구비 부담을 줄여 비용 효율성도 확보할 수 있다. ‘DS-1730’은 A4 문서 스캐너로 카드, 긴 용지, 서로 다른 크기의 원고까지 폭넓게 지원한다. 특히 신분증과 여권 등 규격·비규격 문서를 자주 다루는 정부·금융기관 창구, 무인 응대창구 환경에서 활용도가 높다. 두 모델 모두 전작 대비 속도와 내구성을
오는 29일 ‘드론 기술 협력 파트너 세미나’ 연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에너자이·이와이엘 등 핵심 기술 파트너 대거 참여 “산·학 협력 기반 드론 산업 생태계 확장 모색” 프리뉴가 오는 8월 29일 무인항공기(드론) 산업의 기술 교류와 협력 강화를 위한 ‘드론 기술 협력 파트너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드론계 산학연 주요 관계자가 한데 모여, 미래 드론 기술 발전에 대한 로드맵을 공유하는 플랫폼이 될 예정이다. 세미나에는 국내 주요 드론 기술 기업과 연구기관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해, 드론 산업의 혁신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친다. 이 가운데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용 글로벌 표준 기술 규격 ‘oneM2M’ 기반 방법론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때 해당 기관의 IoT 플랫폼 ‘모비우스(Mobius)’ 활용 및 응용 사례를 발표한다. 이와 함께, 드론 통합 관제 및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고도화를 위한 프리뉴와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아울러 에지 AI(Edge AI) 기술 업체 에너자이도 드론 관련 기술을 공개한다. 드론에 최적화된 에지 AI 컴퓨팅(Edge AI Computing) 기술을
알리바바가 디지털 휴먼 영상 제작을 위한 오픈소스 모델 ‘Wan2.2-S2V(Speech-to-Video)’를 공개했다. 이 모델은 인물 사진과 음성 파일만으로 실제 같은 아바타 영상을 구현해, 대화·노래·연기까지 가능한 디지털 캐릭터 제작을 지원한다. ‘Wan2.2-S2V’는 알리바바의 영상 생성 시리즈 ‘Wan2.2’에 포함된 모델로, 단일 이미지 기반으로 고품질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얼굴 클로즈업뿐 아니라 상반신, 전신 구도의 영상까지 구현할 수 있으며 프롬프트 지시에 따라 동작과 배경을 자동으로 생성해 제작자가 의도한 스토리와 디자인을 정밀하게 반영한다. 이번 모델은 음성 기반 애니메이션 기술을 강화해 자연스러운 대화와 음악 공연까지 표현 가능하며 한 장면에서 여러 캐릭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음성 녹음을 사실적인 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어 현실감 있는 캐릭터 연출이 가능하며 만화풍·동물·스타일화된 캐릭터까지 폭넓게 지원한다. 해상도는 480P와 720P를 지원해 전문 제작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 콘텐츠부터 프레젠테이션 영상까지 다양한 용도로 적용 가능하다. 기술적 혁신도 두드러진다. ‘Wan2.2-S2V’는 텍스트 기반
원/달러 환율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결정을 하루 앞둔 27일 소폭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0.5원 오른 1396.3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전날보다 0.3원 내린 1395.5원으로 출발한 뒤 종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금통위는 오는 28일 오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연다. 시장에서는 금리 동결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2030억 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8% 오른 98.394 수준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5.01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4.67원보다 0.34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31엔 오른 147.71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정책은 읽기 어렵고, 해석은 더 어렵습니다. 하지만 한 줄의 공고, 하나의 법 개정이 산업 현장과 기업의 방향을 바꿉니다. [알쓸정책]은 산업 종사자들이 꼭 알아야 할 주요 정책과 제도 변화, 공고 내용을 실무 관점에서 쉽게 풀어주는 주간 시리즈입니다. 기술개발 지원사업부터 인허가 제도, ESG·세제 변화, 규제 샌드박스까지. 산업인의 정책 내비게이션,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중소기업 AI 전환 우수사례 공모전’ 참가기업 모집 중소벤처기업부는 AI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해 우수한 경영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사례를 발굴·전파함으로써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전환을 확산하기 위해 ‘2025년 중소기업 AI 전환 우수사례 공모전’ 참가 중소기업을 28일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AI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 매출액 증가 등 경영 혁신 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은 13개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하 지방청)의 관할구역을 확인 후 해당 지방청 담당자 이메일로 공모신청서, 신청자격 자가진단, 우수사례, 서약서, 증빙자료 등을 9월 18일까지 접수하면 된다. 예선전은 지방청에서 서류심사를 통해 우수사례의 충실성, 혁신성, 도입성과, 확장 및 지속 가능성 등을 평가해 1급
중소벤처기업부는 AI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해 우수한 경영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사례를 발굴·전파함으로써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전환을 확산하기 위해 ‘2025년 중소기업 AI 전환 우수사례 공모전’ 참가 중소기업을 28일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AI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 매출액 증가 등 경영 혁신 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은 13개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하 지방청)의 관할구역을 확인 후 해당 지방청 담당자 이메일로 공모신청서, 신청자격 자가진단, 우수사례, 서약서, 증빙자료 등을 9월 18일까지 접수하면 된다. 예선전은 지방청에서 서류심사를 통해 우수사례의 충실성, 혁신성, 도입성과, 확장 및 지속 가능성 등을 평가해 1급 지방청은 3개 기업, 2급 지방청에서는 2개 기업을 본선에 추천한다. 본선 심사(는 발표평가를 통해 대상 1개, 최우수상 3개, 우수상 6개를 최종 선정하고, 11월 중 시상식(장관상 등) 및 우수사례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선정된 기업은 중기부 장관상 및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상 외에도, 중기부 R&D 지원사업에 참여 시 가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또한 우수사례집에 수록돼 AI 도입을 망설이거나 주저하는 기업에 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