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생성형 AI, 일자리 위협할 것' 영향력 두고 여론 갑론을박

URL복사
[무료 웨비나] 진동 신호를 이용한 산업용 모터 및 회전체 설비 AI 예지진단 솔루션 (6/5)

 

전문가들, AI 활용 역량에 따라 발생하는 노동 시장 양극화 대책 필요 언급

 

AI 챗봇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의 보편화가 인간의 일자리를 늘리기보다는 줄일 것으로 우려하는 여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여론조사 플랫폼 더폴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2만6860명을 대상으로 AI가 일자리에 미칠 영향 관련 설문을 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챗GPT 등으로 주목받는 AI 기술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9.28%(1만5922명)는 많은 일을 AI가 담당하게 되고, 인간의 일자리는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21.12%(5673명)는 과거 산업혁명 이후 오히려 일자리가 늘어난 것처럼 일하는 방식이 바뀔 뿐 인간의 일자리는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19.6%(5265명)는 '잘 모르겠다'에 투표했다. 만일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모두 대신하는 상황이 빚어진다면 어떨지에 대해서는 49.13%(1만3197명)가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인간의 쓸모가 줄어들어 디스토피아가 될 것'이라며 부정적일 것이라고 답했다. 

 

29.18%(7838명)는 인간이 일에서 해방되고 그에 맞는 제도가 도입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긍정적으로 본다고 했다. 나머지 21.69%(5825명)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 응답자 60%가량은 AI가 인간 업무를 대체할 것으로 우려했지만, 챗GPT가 생산성을 높인다고 보는 답변은 그보다 적게 나왔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생성형 AI인 챗GPT가 생산성에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29.69%(7974명)가 '약간 도움이 된다', 20.23%(5435명)가 '큰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도움이 된다고 보는 답변이 49.92%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별로 도움 되지 않는다', '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는 답변은 각각 12.59%(3381명), 9.4%(2526명)였다. 잘 모르겠다는 답변도 28.09%(7544명)이나 됐다. 생성 AI가 최고의 결과물을 내놓는 데 필요한 명령어(프롬프트)를 만들고 AI 관련 인력을 훈련하는 새 직업 '프롬프트 엔지니어' 전망은 긍정적으로 보는 비율이 부정적인 비율보다 다소 높았다.

 

AI와의 의사소통이 중요해지며 수요가 증가해 제도화된 직업군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답변이 39.11%(1만504명), AI 시대에는 모두 자연스럽게 활용법을 터득할 테니 인터넷 초창기 열풍이 불었던 '정보검색사' 사례처럼 사장되리라는 답변이 31.22%(8387명)였다. '잘 모르겠다'는 29.67%(7969명)였다. 

 

전문가들은 AI의 발전이 반드시 대량 실업을 불러오는 것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AI 활용 역량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노동 시장 양극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AI 법·윤리 전문가인 김병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AI가 일자리 증감에 미칠 영향을 지금 섣불리 진단하기는 어렵고, 단기적으로도 크게 일자리가 사라질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다만 20∼30년 내로 생산성이 높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간의 격차가 커져 양극화가 빚어질 수 있는데, 사회적 안전망을 위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