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탁 원장, 'AI 기술의 진화 : What's Next?'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 진행 서울대학교AI연구원(AIIS) 장병탁 원장이 오는 5월 15일 개최되는 ‘AI 융합 비즈니스 개발 컨퍼런스 2025(AI Tech 2025)’에서 'AI 기술의 진화 : What's Next?'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AI Tech 2025는 ‘Your Fine-Tuning Roadmap’을 주제로, 파인튜닝 이후 기업 현장에서 AI를 어떻게 실질적으로 활용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춘다. 생성형 AI의 확산 속에서 많은 기업이 겪는 운영상의 고민과 실무자의 현장 요구에 대응하도록 최신 기술 트렌드와 구체적인 적용 사례가 공유된다. 장병탁 원장은 "AI 기술은 이제 새로운 전환점에 도달하고 있다. 감독학습 기반의 판단형 AI에서 시작된 흐름은 무감독학습 기반의 생성형 AI로 확장됐고, 이어 강화학습 기반의 행동형 AI로 진화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그 다음 단계인 체화학습(Embodied Learning)을 통해 물리적 AI(Physical AI)로 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피지컬 AI는 실세계와 상호작용하며 배우고 적응하는 AI다. AI Tech 기조
S2W가 일본의 디지털 마케팅 기업 머티리얼 디지털(Material Digital)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일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한 사업 협력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머티리얼 디지털은 일본의 종합 PR 커뮤니케이션 그룹 ‘머티리얼 그룹’의 자회사로 인지도 형성과 모객부터 고객 이해와 응대에 이르는 디지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머티리얼 디지털이 올해 1월부터 개시한 사이버 보안 사업 ‘머모렐(MAMORERU)’의 내실화와 고도화에 주안점을 둔다. S2W는 그간 북한·중국·러시아 등에 의해 야기되는 사이버 안보 위협과 지정학적 리스크 관한 특화된 분석 역량을 토대로 공공·정부기관용 사이버 안보 빅데이터 플랫폼 ‘자비스(XARVIS)’와 기업 및 기관용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퀘이사(QUAXAR)’ 등을 국내외 정부기관과 대기업에 공급하며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과 신뢰성을 입증한 바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일본 정부기관을 신규 고객으로 유치해 높은 주목을 받기도 했다. S2W는 이번 협력을 발판 삼아 일본 내 다양한 기업 및 기관의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 강화를 지원하며 일본 시장 내 입지를 한층 공고히 할 계획이
기술은 세상을 바꿉니다. 하지만 진짜 변화는 숫자가 아니라 사람과 현장 안에서 일어납니다. [TECH온앤오프]는 기술이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이전’과 ‘이후’를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유즈 케이스 기반 스토리텔링 시리즈입니다. 기술 도입 전의 고민과 한계, 도입 과정 그리고 변화 이후의 놀라운 성과까지,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를 담아냅니다. 기술이 어떻게 경험을 바꾸고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는지를 보여주는 것. 이러한 가치를 TECH온앤오프에 담아봤습니다. [세줄 요약] 1. CCTV만으론 역부족 – 혼잡 구역 파악 실패로 관중 불편, 안전관리도 비상 2. 엣지 AI 한방 도입 – 기존 CCTV에 슈퍼브에이아이 비전 AI 탑재, 실시간 밀집도 분석 구현 3. 혼잡 제로에 근접 – 인력 효율성 35%↑, 대기 시간↓, 국내 최초 AI 스타디움 타이틀 확보 변화하는 경기장, 그 중심에 선 AI 전 세계 스포츠 산업이 '스마트 스타디움'으로 진화한다. AI, IoT, 5G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관중 안전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AI 알고리즘을 통해 경기장 내외부의 군중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KAIST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광학적 카이랄성과 자성의 융합 특성을 동시에 갖춘 ‘카이럴 자성 양자점’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를 활용해 사람의 뇌처럼 정보를 보고 판단하고 저장하며 초기화할 수 있는 기능을 단일 소자에 집약해 고성능 AI 하드웨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KAIST는 신소재공학과 염지현 교수 연구팀이 빛에 의해 비대칭 반응하는 카이랄성과 자성을 동시에 갖는 특수 나노입자인 양자점(CFQD)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저전력 인간 뇌 구조와 작동 방식을 모방한 인공지능 뉴로모픽 소자(ChiropS)까지 성공적으로 구현했다고 25일 밝혔다. 신소재공학과 염지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카이랄 양자점을 활용한 광 시냅스 트랜지스터는 편광 구분, 멀티 파장 인식, 전기 소거 등 다양한 기능을 단일 소자에 집약한 고속·고지능·저전력 AI 시스템 구현의 핵심 기술로 향후 광 암호화, 보안 통신, 양자 정보처리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카이랄 자성 양자점은 은황화물(Ag2S) 기반의 무기 나노입자에 카이랄 유기물인 L-또는 D-시스테인을 도입해 합성한 것으로 빛의 편광 방향(원형 편광)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특성을 지닌다. 특히 40
SAS코리아는 호서대학교 빅데이터AI학부와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포함한 포괄적 산학 협력을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산학협력을 통해 SAS코리아는 호서대학교 빅데이터AI학부에 SAS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인턴십 및 신규 입사자 추천 등 진로개발 프로그램도 지원할 계획이다. 호서대학교는 SAS코리아의 아카데믹 프로그램을 활용해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교육 과정과 실무 중심의 학습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호서대학교 빅데이터AI학부는 올해 SAS 프로그램 활용 교육을 위한 학부 및 대학원 강의를 신규 개설한다. 학생들은 SAS 무료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학습 자원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별 강좌를 통해 SAS 기반 분석 실습 기회도 갖게 된다. 또한 교육 및 자격증 시험, 매년 진행되는 SAS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참여 기회, 향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구직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모의 면접, 서적 할인 등 다양한 혜택도 주어진다. 특히 호서대학교는 SAS 분석 기술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학위 연계 프로그램 ‘SAS 아카데믹 스페셜라이제이션’(SAS Academic Specialization)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호서대
이기종 관제 솔루션 ’크롬스(CROMS)’ 기반 통합관제시스템 도입 로봇 관리, 사용자 지원, 원격 AS, 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기능 강화 클로봇이 SK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나무엑스(NAMUH X)’에 통합관제시스템을 공급한다. 이로써 가정용 서비스 로봇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나무엑스는 AI 자율주행 기반 이동형 서비스 로봇이다. 공기 청정, 활력 징후 측정(Vital Sign Check), 대화형 서비스 등 기능을 제공하는 웰니스(Wellness) 로봇으로 주목받는다. 향후 반려동물 케어 기능도 이식될 계획이다. 해당 기체에 적용되는 클로봇 통합관제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 이기종 로봇 통합관제 솔루션 ‘크롬스(CROMS)’를 기반으로 한다. 나무엑스에 최적화되는 이 시스템은 로봇 관리, 고객 지원, 원격 AS, 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로봇 상태와 고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해당 시스템이 적용된 나무엑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과 연동돼 강화된 스마트 홈 환경을 제공한다. 개별 로봇 기능 및 에어 센서 모니터링·제어, 실내 전체 공기 질 개선 등 기능을 구현한다. 특히 히트맵 형태로 시각화
영림원소프트랩이 전사적 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신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K-시스템 에이스 아이앤아이(K-System Ace Intelligent & Integrated)’를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K-시스템 에이스 아이앤아이는 AI 기반의 ERP 시스템에 그룹웨어, 제조 실행 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등 핵심 업무 시스템을 결합한 영림원소프트랩의 차세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이다. 신제품은 AI 기술을 활용해 ERP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지원해 시스템 운영 효율성과 업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솔루션은 ▲반복 업무 자동화 ▲ERP업무 처리 방식 간소화 ▲생성형AI 기반의 보고서 작성 ▲모바일 연계 기능 확장 등 실무자의 업무 흐름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계약문서 관리, 퇴직금 시뮬레이션, 이력서 분석, 회계 전표 처리, 생산 리드타임 분석, 원가 결산 보고서 자동 생성까지 실무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업무의 연속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AI
오는 5월 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AI 전문가 세션 진행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은 단순한 관심 단계를 넘어 실질적인 비즈니스 전략의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파일럿 단계를 마친 조직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하는 질문은 하나다. '우리는 지금, 어떤 방식으로 AI를 실무에 통합해야 할까?' AI에 대한 기대와 가능성은 넘쳐나지만, 이를 실제 업무 흐름 속에 녹여내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용한 서비스 기획, SLM(Small Language Model)의 도입 검토,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를 통한 데이터 기반 업무 자동화 등 생성형 AI 이후의 실전 전략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IT 부서뿐 아니라 현업 부서가 직접 AI를 운용하고자 하는 니즈가 높아지면서, 이제는 '기술'보다도 '운영'에 대한 질문이 더 중요해졌다. 어떤 조직은 오픈소스 기반 LLM을 활용해 자체 파인튜닝을 진행하며, 또 다른 조직은 클라우드 기반 API를 중심으로 최소한의 리소스로 빠르게 AI를 실험하고 있다. 그만큼 ‘어떤 선
레노버가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스토리지 포트폴리오 개편을 거쳐 AI 시대에 최적화된 새로운 데이터 스토리지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에 발표된 제품군은 더욱 향상된 효율성과 성능, 확장성을 바탕으로 엔터프라이즈 IT의 현대화를 가속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비즈니스 혁신을 견인하는 AI 최적화 스토리지의 새 시대를 여는 이번 포트폴리오는 스토리지 어레이,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SDI), AI 및 가상화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신규 솔루션으로 구성돼 빠르게 진화하는 데이터 운영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기업은 신뢰할 수 있는 차세대 레노버 씽크시스템(ThinkSystem) 및 씽크애자일(ThinkAgile) 인프라를 통해 AI 및 데이터 현대화 워크로드를 손쉽게 실행하고 실시간 분석 기반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대규모 AI 및 데이터 현대화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AI 투자에 대한 실질적인 수익(ROI)을 기대하는 기업 경영진이 늘어나는 가운데, 레노버의 의뢰로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CIO들이 꼽은 AI 도입의 핵심 성공 요인은 ▲데이터 주권 ▲규제 준수 ▲데이터 가용성으로 조사됐다. AI 도입의 주요 장애 요
인공지능(AI) 기반 비정형 객체 인식·처리 로봇 기술 선보여 “유통·물류 공정 특화 솔루션...기술 적용 가능성 타진할 것” 유온로보틱스가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5)’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유통·물류 현장에 특화된 오더피킹(Order Picking) 시스템을 강조한다. KOREA MAT은 이달 22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물류 산업 연례 전시회다. 물류 IT, 물류 자동화 솔루션, 유통 서비스·솔루션, 매장 관리 시스템, 보관·포장 설비, 콜드체임 솔루션, 물류센터 시설, 운반·운송 장비·부품 등이 한자리에 펼쳐진다. 이 전시회에 출품된 유온로보틱스 오더피킹 시스템은 인공지능(AI) 비정형 객체 인식·처리 기술 기반 솔루션이다. 오더피킹은 고객 주문에 따라 해당 품목을 찾아 수집하는 프로세스다. 유온로보틱스는 이 과정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였다. 현재 성주월항농협산지유통센터 내 묶음 포장된 참외 후속 포장 공정에 배치돼 개념 증명(PoC)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서 도출된 데이터와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현장 관계자와 소통한 후 비정형 객체 자동화 기술의 실질적 고도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하이디 AI’ 시리즈와 ‘AI 스튜디오’ 중심으로 日 시장에 진출 인피닉이 일본 유니전자와의 총판 계약 체결을 통해 일본 AI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인피닉은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자사의 대표 솔루션인 ‘하이디 AI’ 시리즈와 ‘AI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일본 시장에 전략적으로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인피닉과 손잡은 유니전자는 1966년 설립된 글로벌 무역상사로, 스마트 공장, 자동화, 통신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1,000여 개 이상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는 기업이다. 미국, 싱가포르, 홍콩 등 해외 거점도 갖춘 유니전자는 일본 현지에서 폭넓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인피닉의 기술을 일본 시장에 확산시키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는 4월 25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되는 ‘재팬 아이티 위크 2025 춘계’ 전시회를 통해 공식적인 협력의 첫 단추를 끼웠다. 해당 전시는 일본 최대 규모의 IT 종합 박람회로, 인피닉은 유니전자와 공동 부스를 운영하며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하이디 AI 프라이빗’, 지능형 영상 분석 솔루션 ‘하이디 AI 가드’, AI 통합 개발 플랫폼 ‘AI 스튜디오’를 선보였다. ‘하이디 AI 프라이빗’은
LG디스플레이가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내며 실적 개선 흐름을 지속했다. LG디스플레이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35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영업손실 4694억 원)와 비교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4일 공시했다. 1년 만에 분기 흑자로 전환한 전 분기에 이어 연속 흑자를 달성했고, 1분기 흑자는 2022년 1분기(영업이익 383억 원) 이후 3년 만이다. 1분기는 통상 비수기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의 체질 개선 노력이 성과를 보였고, 강도 높은 원가 절감 및 운영 효율화 활동도 실적 향상에 기여했다. 매출은 6조653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TV, IT, 모바일 등 OLED 제품군의 출하 확대와 우호적 환율이 영향을 미쳤다. 전체 제품 내 OLED 제품 비중은 작년 1분기보다 8%포인트(p) 확대된 55%였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1조2313억 원, 이익률은 20%로 2021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이익률을 기록했다. 매출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패널 22%, 모니터·노트북·태블릿 등 IT용 패널 35%,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34%, 차량용 패널 9% 등이다. LG디
무하유가 이달 23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되는 일본 최대 IT 전시회인 ‘Japan IT Week’에 2년 연속 참가해 자사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Japan IT Week는 AI,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IT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다양한 솔루션 및 서비스를 소개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1000여개 기업이 참가해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무하유는 ‘GPT킬러’ 일본어 버전과 일본어 표절검사 솔루션인 ‘카피모니터’를 선보인다. GPT킬러는 AI가 문서를 문단 단위로 분석한 후, 각 부분에서 생성형 AI로 작성됐을 확률을 판단한다. 일본어 버전은 고성능 일본어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해 생성형 AI 작성 확률이 높은 문장과 사람이 작성했을 확률이 높은 문장을 구별한다. 생성형 AI가 만들었을 법한 토큰(단어)의 확률을 역추적해 99%의 높은 정확도로 생성형 AI 사용 여부를 파악한다. 2020년 일본 시장에 처음 선보인 AI 표절 검사 서비스 카피모니터도 함께 소개한다. 카피모니터는 2011년부터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며 쌓아온 데이터 분석 및 자연
음성으로 가동하는 이동 보조 기기 ‘스마트체어’ 공개 장애인, 부상·질환자, 고령자 등 이동 약자 타깃으로 모빌리티 혁신 제시 고성이 음성 인공지능(AI) 이동 보조 기기 ‘스마트체어’를 론칭했다. 스마트체어는 AI 음성 인식 기술과 오프라인 자율주행 기술을 융합한 제품이다. 장애인, 부상·질환자,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복잡한 조작 없이 간단한 음성 명령만으로 목적지까지 이동을 지원한다. 해당 기기는 최대 130kg의 가반하중을 갖췄고, 60Ah 배터리를 적용했다. 최대 시속 3.6km로 8km까지 주행 가능하다. 또 30mm의 낮은 최저 지상고와 850mm의 최소 회전 반경을 통해 좁은 공간에서도 특화된 기동성을 제공한다. 스마트체어에는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정밀 인식하는 AI 기술력이 이식됐다. 이때 320° 광범위 레이더 센서와 AI 알고리즘이 장애물과 이동 가능한 경로를 파악해 스스로 최적의 주행 경로를 도출한다. 속도 조절, 방향 전환 기능과 정지·휴식 등 모드를 음성으로 제어해 사용자의 이동을 돕는다. 고성 측은 스마트체어에 적용된 ‘온디바이스(On-device)’ AI 기술을 강조한다. 온디바이스 AI는 클라우드 연결 없이 개별 장치 자체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 ‘델토 그리퍼-5F’ 비롯 3지 그리퍼 신제품 ‘델토 그리퍼-3F’ 선봬 강화·모방학습 기반 로봇 핸드 기술력 강조해 테솔로가 이달 24일부터 닷새간 싱가포르에서 개막하는 ‘제13회 표현학습국제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2025 이하 ICLR 2025)에 등판했다. ICLR은 인공지능(AI)·딥러닝(Deep Learning)·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분야 글로벌 학회로, 뉴립스(NeurIPS)·국제머신러닝학회(ICML)와 함께 글로벌 3대 AI 학회로 손꼽힌다. 매년 연구기관·기업 등 AI 분야 주체가 참여해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이를 심사해 우수 논문을 선정한다. 테솔로는 이번 학회에서 자체 개발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 ’델토 그리퍼-5F(Delto Gripper-5F, DG-5F)’를 전시했다. 이 모델은 지난 3월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겨냥해 사람의 손과 유사한 수준의 높은 자유도(DoF) 기반 인간형 5지 솔루션으로 데뷔했다. 다양한 산업용·협동로봇과 호환 가능한 로봇팔 말단장치(End-Effertor)다. 개발자 모드 지원를 지원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