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간과 유사한 지능 수준을 보이는 ‘범용인공지능’(AGI)을 개발할 핵심 기술 확보에 도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차세대 AI로 불리는 범용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한다고 24일 밝혔다. 예타를 통과하면 내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사업비 총 9천313억원(국고 8천875억원, 민자 438억원)을 투입해 범용인공지능을 개발하고 국가 AI 기술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범용인공지능은 특정 분야·목적에 성능이 국한된 현재 수준의 AI를 넘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 수준 또는 그 이상의 범용적 지능을 발휘하는 AI로 규정된다. 과기정통부는“범용인공지능에 대해 아직 합의된 정의가 없는 미지의 영역이지만, 미래 AI 기술 판도를 흔들 것으로 다수의 전문가가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의회는 범용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 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핵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와 같은 프로그램을 시작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과기정통부는 AI 분야에서 권위를 가진 학회 ‘ICLR’이 분류한 2단계 수준의 범용인공지능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단계 수준의 범용인공지능은 실제 시나리오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성능을 갖추고 사람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인 베어로보틱스의 경영권을 확보하며 로봇 사업의 경쟁력 제고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고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의결했다고 24일 밝혔다.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설립된 베어로보틱스는 로봇 소프트웨어(SW) 플랫폼 구축, 다수 로봇을 최적화한 경로로 움직이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관제 설루션 등의 분야에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LG전자는 앞서 지난해 3월 6000만 달러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하고,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콜옵션 행사가 완료되면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 경영권을 확보하게 된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 기존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할 예정이다. 그간 베어로보틱스를 이끈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 하정우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주요 경영진은 유임해 기존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LG전자에서도 이사회 멤버로 참여해 상업용 로봇 사업 시너지 창출에 매
미래컴퍼니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ToF(Time of Flight) 3D Depth Camera S111D와 I200D를 선보이며 차세대 3D 비전 기술을 소개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할 예정인 S111D는 고속 실시간 3D Depth 데이터를 제공하는 ToF 3D Depth Camera로, 자동화, 로보틱스,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이 카메라는 VCSEL IR 조명을 내장하고 있으며, MIPI와 USB 3.0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통합할 수 있는 컴팩트한 모듈 디자인을 갖췄다. 또한, 1% 이하의 높은 정확도로 Depth 데이터를 측정하며, 차세대 3D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뛰어난 성능을 제공한다. I200D는 실외 환경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소형 ToF 3D Depth Camera로, 세계 최고 수준의 깊이 감지 기술인 Infenion의 REAL3™ 3D 이미지 센서를 채택했다. 이 카메라는 태양광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유지하며, 최대 7.0m까지 측정할 수 있어 실외 자동화 및 로보틱스 애플
KSTEC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SyncPlan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를 선보이며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최적화 솔루션을 제안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는 SyncPlan APS는 기업의 MES(제조실행시스템) 및 ERP(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수주-생산-출고 전 과정을 최적화하는 디지털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영업 및 공장 담당자와 공유하며, 디지털화된 정보는 최적의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된다. SyncPlan APS는 기업의 요구에 따라 영구 구매와 구독 방식을 통해 유연하게 도입할 수 있다. SyncPlan APS는 특히 Task Server(태스크 서버)를 포함하여 외부 서버 호출, 대기열 생성, 순차 실행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이를 통해 생산성과 자원 활용도를 높이며, 다양한 제조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1998년 설립된 KSTEC은 최적화, 인공지
반석정밀공업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메탈 코팅 니들과 SMART PC PUMP를 중심으로 디스펜싱 솔루션 분야의 혁신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할 예정인 메탈 코팅 니들은 니들 표면에 특수 코팅을 적용해 액체가 니들 위로 올라타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밀한 미세 도포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일반 메탈 니들 사용 시 발생하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니들 오염으로 인한 오차를 제거하여 정교한 작업을 지원한다. 특히, 저점도 액체를 다루는 산업 현장에서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SMART PC PUMP는 스테이터(Stator)와 로터(Rotor)를 이용한 정량 체적 방식으로, 토출 오차 1% 미만의 정밀한 액체 토출을 구현하는 디스펜싱 장치이다. 최대 100,000cps의 점도를 지원하며, Motor Pulse Control과 석백(Suck Back) 기능을 통해 잔압 없이 다양한 점도의 액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등 정밀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합한 이 솔루
코그넥스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Dataman 290 바코드 리더기와 In-Sight 8900 AI 기반 비전 시스템을 선보이며 제조 자동화의 미래를 제시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할 예정인 Dataman 290는 임베디드 AI와 업계에서 입증된 디코딩 알고리즘을 통합한 첨단 바코드 리더기로, 강력한 조명 기술을 통해 뛰어난 판독 속도와 최적의 성능을 자랑한다. 간단한 가이드 설정과 AI 튜닝, 실시간 피드백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언팩 후 바로 쉽게 배포 및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엔드 투 엔드 전담 지원이 제공되어 교육, 배포, 지속적인 관리 및 최적화까지 완벽히 지원한다. In-Sight 8900은 규제가 엄격한 산업 분야의 OEM을 위해 설계된 초소형 AI 기반 비전 시스템으로, 고급 AI 기능과 강력한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정밀하고 자동화된 검사가 가능하다. 이 솔루션은 제품 품질을 보장하고 리콜 위험을 최소화하며, 21 CFR Part 11 규제를 완벽히 준수하여 엄격한 규제 환경에서 이상적인 선택이 된다. 또한, 완
2021년 말, 국진혁 대표는 치의학과 IT 기술을 결합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이노바이드를 설립했다. 치과와 기공소 간의 연결을 디지털화하고자 하는 그의 목표는 과거 치과 진료 과정에서 겪었던 불편함에서 비롯되었다. 국 대표는 "치과와 기공소 간의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높은 비용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었다"며 창업 계기를 설명했다. 초기에는 국내 시장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더 큰 가능성을 글로벌 시장에서 발견하며 빠르게 확장을 결정했다. 쉽지 않았던 선택, 그는 과감히 변화를 선택했다 이노바이드의 초기 모델은 국내 치과와 기공소 간의 의뢰 과정을 디지털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기존에는 치과 의사가 종이에 작성한 의뢰서를 기공소로 전달하고, 물리적 인상체득(일반적 표현으로 ‘뽄 뜨기’라고도 함)을 기공소로 배송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과정이 주를 이루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 대표는 전자 의뢰서 시스템을 도입, 치과와 기공소 간의 데이터 교환을 디지털화했다. 국 대표는 "시스템은 초기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서비스 확장과 수익 모델 구축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당시의 한계를 설명했다. 이 모델은 국내에서 효율성을
IBM은 최근 ‘인공지능(AI)의 투자수익(ROI)’ 보고서를 발표하고 기업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AI에 투자하고 있으며 향후 ROI와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오픈소스 도구를 사용하는 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글로벌 리서치 기업 모닝 컨설트와 로페즈 리서치가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2400명 이상의 IT 의사결정권자(ITDM)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응답자의 85%는 2024년에 계획한 AI 전략을 실행했다고 답했는데 거의 절반에 달하는 47%는 이미 AI 투자에서 긍정적인 ROI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3%는 손익분기점을 넘겼다고 답했고 14%만이 마이너스 ROI를 기록 중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이 AI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데는 전통적인 ROI 지표가 아닌 다른 지표를 통해 분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AI 투자로 인한 ROI를 계산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 가지 지표로 소프트웨어 개발 속도 향상(25%), 혁신 속도 향상(23%), 생산성 개선으로 인한 시간 절약(22%)을 선택했다. 금전적/정량화 가능한 비용 절감은 15%로 4위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31%는 혁신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김지한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물성을 갖는 나노 신소재를 설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텍스트와 이미지, 비디오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성형 AI가 주목받고 있지만, 소재 개발 분야에서는 실용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구조가 복잡한 다공성 소재의 경우, 입력하는 데이터의 형식이 제한돼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화학 분야 나노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금속유기골격체(MOF·금속과 유기물을 결합한 다공성 소재)의 공극 구조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생성형 AI 모델 ‘모퓨전’을 개발했다. 처음으로 다공성 물질에 3차원 모델링 기법에 사용되는 함수를 도입, 효율적인 구조 생성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원하는 물성을 숫자,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입력할 수 있으며, 모델은 데이터의 형태와 상관없이 높은 생성 성능을 낼 수 있다. 생성 효율은 81.7%로, 기존 보고된 다른 모델들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수소 저장 용량을 반영한 MOF 공극 구조 생성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코오롱베니트는 22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HCL소프트웨어 파트너 킥오프 2025’ 행사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해 12월 HCL소프트웨어와 총판 계약을 체결한 이후 첫 공식 행보로, 국내 파트너사들과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하며 디지털 전환(DX) 솔루션 시장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손동일 코오롱베니트 사업부장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이어 에칸트 채다 HCL소프트웨어 아세안 채널 사업 총괄이 환영사를 전했다. 이후 윤희성 HCL소프트웨어 한국 채널 사업 담당이 2025년 사업 전략 및 국내외 전망, 파트너 지원 방안 등을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점심 식사와 네트워킹 세션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긴밀한 협업 방안을 모색했다. 코오롱베니트는 이번 행사에서 파트너사들에게 HCL소프트웨어의 주요 DX·보안 솔루션 ▲도미노(Domino, 디지털 협업 플랫폼) ▲빅픽스(BigFix, IT 운영 자동화/보안 솔루션) ▲앱스캔(AppScan, 애플리케이션 보안 분석 도구) 등을 소개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협업 기회를 제시했다. 또한 전문 파트너 육성 정책, 영업·마케팅 지원 방안, 제품별 핵심 파트너 지정 및 확대 계획 등
슈퍼마이크로 액체 냉각 시스템의 실제 적용사례 공유 예정 디에스앤지가 슈퍼마이크로의 최신 액체 냉각 솔루션을 직접 체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디에스앤지는 올해 상반기 대만에 위치한 슈퍼마이크로 사이언스 파크에서 슈퍼마이크로 액체 냉각 솔루션 참관 투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는 AI 데이터 센터 운영 최적화와 지속 가능한 IT 인프라 구축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획됐다. 참석대상은 IT 관리자와 데이터 센터 운영자, 기술전문가, 에너지 효율 솔루션 담당자 등 관련 기술 및 솔루션에 관심이 있는 전문가들로 사전등록을 통해 참석이 가능하다. 이번 행사에서는 고성능 컴퓨팅(HPC) 및 AI 워크로드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슈퍼마이크로의 액체 냉각 시스템의 실제 적용사례가 소개될 예정이다. 슈퍼마이크로에 따르면, 이 솔루션은 기존 공기 냉각 방식 대비 최대 40%의 에너지 절감과 운영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특히 고밀도 서버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면서 친환경 데이터 센터 운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강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슈퍼마이크로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테슬라 xAI의 액체 냉각 시스템을 GPU부터 전체 액체 냉각
컨택센터의 고객 여정 데이터 기반으로 선제적인 대응하는 AICC 솔루션 개발 넥서스커뮤니티가 코난테크놀로지와 차세대 AICC 솔루션 개발을 위해 AI 솔루션 및 데이터 분석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지난 15일 여의도 넥서스커뮤니티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김승기 코난테크놀로지 사업총괄 부사장과 채준원 넥서스커뮤니티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업은 각자가 보유한 최첨단 AI 기술과 데이터 분석 역량을 결합해 차세대 AICC(Artificial Intelligence Contact Center) 솔루션의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협약의 핵심 내용은 컨택센터의 고객 여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문의 사항을 사전에 예측하고, 선제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AICC 솔루션의 공동 개발 및 사업화를 포함한다. 넥서스커뮤니티의 모회사인 유베이스는 데이터 분석 전담 조직인 DDMS(Data Driven Marketing Service) 팀을 통해 CS 데이터 분석과 모델링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베이스는 고객사에게 제공하는 AICC의 가치와 성공은 CS 데이터에 달려있다는 점에 착안해 지난 2024년 11월에 DDMS 팀을 설립했다. 팀은 컨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가 ‘원 밀리언 마인즈+원 플랫폼(One Million Minds+One Platform)’ 프로그램을 22일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스노우플레이크 AI 데이터 클라우드에서 무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2027년까지 10만 명, 2029년까지 100만 명의 데이터 및 AI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스노우플레이크는 2000만 달러를 투자해 전 세계에서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 시장의 학생 및 직장인에게 맞춤형 교육과 수료 과정을 제공할 계획이다. 직장인과 관련 교육 종사자에게는 커리큘럼 자료와 스노우플레이크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는 크레딧을 제공해 차세대 비즈니스 및 기술 인재가 AI 관련 기술을 업그레이드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슈리다 라마스워미 스노우플레이크 CEO는 “포춘 500대 기업 최고인사책임자(CHRO)의 72%는 향후 3년 내에 조직 내 일부 직무가 AI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했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직원이 데이터와 AI 중심의 환경에서 기여할 수 있는 역량과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를
김장우 대표 "박찬익 CCO, 자사 시장 확대 및 지속적인 성장 기여할 것" 망고부스트가 글로벌 반도체 사업 전문가를 영입하며 글로벌 사업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망고부스트는 8일 박찬익 전 삼성전자 DS부문 미주총괄 부사장을 최고영업책임자(Chief Commercial Officer, CCO)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박찬익 CCO는 12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업무를 개시했다. 박찬익 CCO는 삼성전자에서 20년 이상 반도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야의 연구개발과 상업화를 선도한 반도체 산업 전문가다.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02년 삼성전자 CTO 소프트웨어센터에 입사했다. 이후 삼성전자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낸드기획그룹장,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기획팀장 등을 거쳐, DS부문 미주총괄 낸드상품기획·BE팀장(부사장)을 역임했다. 박찬익 CCO는 “반도체 풀스택 기술 연구와 상용화에 매진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AI 데이터 센터의 핵심 요구를 충족할 망고부스트 데이터처리가속기(Data Processing Unit, DPU) 기술 사업화에 기여하고자 합류했다”며, “AI 시대에 필수적인 DPU 기술을 통해 글로벌 데이터
에스투더블유(이하 S2W)가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기술 기반 도정 혁신을 위한 협력 전략을 꾀한다. 지난 17일 오영훈 도지사와 김애숙 정무부지사, 실·국장급 공무원 등 제주도청 관계자 49명은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S2W 본사에서 AI를 활용한 행정 시스템 고도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논의는 제주도가 작년 12월에 발표한 ‘제주 AI·디지털 대전환 로드맵’ 세부 전략 일환으로, 도민에게 맞춤형 정책을 구현하고 도정 운영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술 협업 방안을 의논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S2W는 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SAIP(S2W AI Platform)’를 소개하면서 관광 데이터를 예시로 행정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강화하는 솔루션 활용 사례를 시연했다. SAIP는 도메인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지식그래프, 검색 증강 생성(RAG) 등 제주도청이 보유한 다양한 형태의 빅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양질의 답변을 제공한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혁신적인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고 모든 도민이 일상에서 그 혜택을 실감할 수 있도록 주요 IT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