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리벨리온, MLPerf 벤치마크서 AI 반도체 '아톰' 경쟁력 과시

URL복사
[무료 웨비나] 빠르고 직관적인 강력한 아날로그 시뮬레이션 'MPLAB® Mindi™ 아날로그 시뮬레이터' 왜 주목받고 있을까요?? (5/23)

 

박성현 대표 "언어모델과 비전모델 모두에서 글로벌 경쟁력 입증"

 

리벨리온은 6일 가장 공신력 있다고 평가받는 AI 반도체 기술력 검증 엠엘퍼프(MLPerf) 벤치마크에서 엔비디아와 퀄컴 등 세계 정상급 업체를 크게 앞서는 세계 최고 성적을 받았다고 밝혔다. 

 

리벨리온은 국내 최초로 엠엘퍼프 언어모델 분야(BERT)에 제출한 자사 AI 반도체 '아톰' 성능이 퀄컴의 최신 AI 반도체 '클라우드 AI100', 엔비디아 동급 GPU 'A2·T4'보다 1.5∼2배 이상 앞섰다고 밝혔다. 

 

엠엘퍼프 언어모델은 지금까지 엔비디아, 퀄컴,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만 참여해온 온 분야로, GPT 시리즈와 같은 트랜스포머 계열 성능을 입증한다. 리벨리온은 언어모델과 더불어 주요 테스트 분야인 비전모델 싱글스트림 처리 속도에서 퀄컴 AI 반도체 대비 1.4배 이상, 엔비디아의 동급 GPU 대비 3배 이상의 결과를 냈다고 밝혔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언어모델과 비전모델 모두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것이 가장 큰 차별점"이라며 "언어모델과 비전모델을 포함해 다양한 AI 알고리즘을 모두 가속하는 아키텍처가 AI 반도체 설계의 진수"라고 설명했다. 

 

박 대표는 "챗GPT가 인공지능 시대를 앞당기면서 AI 반도체가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상황에서 시장지배적 글로벌 업체를 압도하는 성능을 보여준 것은 우리나라 반도체 기술 역량을 입증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실제로 챗GPT 출시 이후 AI 반도체 수요가 폭발하면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들이 이 회사가 2월 출시한 데이터 센터용 AI 반도체 아톰 샘플을 요청하는 일이 많아졌다는 후문이다. 리벨리온은 내년 AI 반도체 양산을 앞두고 "엔비디아 GPU A100의 10분의 1 가격 수준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