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최신뉴스

배너

"국내 팹리스에 글로벌 반도체 설계자산 부담 완화 프로그램 마련됐다"

URL복사

[헬로티]


'반도체 IP 활용 프로그램' 가동…국내 비용도 최대 50% 할인


글로벌 반도체 IP 활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반도체 IP 활용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국내·외 반도체 IP 기업, 디자인하우스, 팹리스, 파운드리 등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반도체 IP 활용 지원 프로그램 출범식을 개최했다. 


국내·외 반도체 IP 기업과 설계지원센터의 협력을 통해 마련된 반도체IP 활용 지원 프로그램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된다. 


우선, 글로벌 반도체 IP를 특가로 지원한다. 시놉시스 사에서 설계지원센터를 통해 국내 팹리스에 할인된 가격으로 반도체 IP를 제공하고, 설계지원센터는 원래 가격의 10%를 추가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팹리스는 시놉시스 사의 반도체 IP를 정가보다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글로벌 반도체IP 특가 지원 프로그램


다음으로 반도체 IP 활용 플랫폼을 구축한다. ARM과 연계된 국내 디자인하우스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국내 팹리스에게 ARM 반도체 IP의 최적 활용 방법에 대한 컨설팅을 무료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스타트업 중심인 국내 팹리스가 칩 개발 기간 단축하고, 개발 성공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반도체 IP 활용 플랫폼 구축



마지막으로 국내 반도체 IP 활용을 지원한다. 글로벌 기업 외에도 우리 반도체 IP의 활용을 촉진하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특별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팹리스는 국내 반도체 IP 비용의 최대 50%를 할인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필요시 국내 반도체 IP 기업과 협의하여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그림. 국내 반도체IP 활용 지원


이날 출범한 '팹리스 IP 활용 지원 프로그램'은 올해 시범사업을 거쳐 2022년부터 본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시범사업을 바탕으로 본 사업 추진 시 지원 내용을 보다 강화할 예정이다. 


이어 진행된 2부 ‘시스템반도체 업계 간담회’에서는 파운드리, 팹리스, 반도체 IP 기업, 디자인하우스 등이 모두 참여하여 시스템반도체 시장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전문인력 양성, 반도체 IP 사업화 지원, 시스템반도체 밸류체인간 연대·협력 방안, 민간 신규투자 지원 등을 건의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강점이 있는 파운드리의 투자를 확대하고, 인공지능 반도체, 전력 반도체 등 차세대 新시장의 설계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우리 기업이 반도체 초과수요에 대응하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정부는 최대한의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며, 민간에서도 장기적인 안목을 바탕으로 미래를 대비한 신규투자와 기업간 연대·협력을 적극 추진해주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