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딥러닝이 한국평가데이터의 ‘투자용 기술 신용평가(TCB, Tech Credit Bureau)’에서 ‘TI-3’ 우수등급을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투자용 기술 신용평가(TCB)는 기업의 기술력·시장성·사업성 등 기술 가치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등급화하는 기술력 인증 제도로, TI-1부터 TI-10까지 구분된다. TI-3 등급은 혁신적 기술 역량을 보유한 우수 기업에게 부여되는 등급으로, 코스닥 기술 특례상장 기술심사 통과 기준에도 해당되어 기업 기술력 평가에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한국딥러닝의 TI-3 등급 획득은 자체 개발한 VLM(Vision-Language Model) 기반 문서 AI 솔루션 ‘DEEP Agent+’의 기술 경쟁력이 객관적으로 검증된 결과다. DEEP Agent+는 기존 OCR 기술의 좌표 기반 한계를 넘어 문서의 의미·맥락까지 해석하는 차세대 문서 AI다. 사전 양식 등록 없이 문서 구조를 자동 인식하는 기술을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
DEEP Agent+는 OCR과 VLM을 결합한 2단계 처리 구조로 작동한다. 먼저 OCR이 문서 이미지에서 텍스트·위치·표 구조 등 시각 정보를 추출하고, VLM이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분석해 문서 전체의 의미를 이해한다. 이를 통해 템플릿 없이도 다양한 문서 구조를 자동 인식하고 정확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실제 금융·공공기관 프로젝트에서 평균 인식률 98~99%, 기존 방식 대비 처리 속도 3배 향상 등의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딥러닝은 지난 6년간 4억 장 이상의 고품질 문서 데이터를 축적하며 전 과정 자동화 AI 문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자체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문서 업로드부터 인식·후처리·결과 저장·문서 관리 정보까지 모든 단계를 자동화하며, B2B·B2G OCR 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보안 기준을 충족하면서 다양한 현장 문서 데이터를 누락 없이 수집·정제할 수 있다.
DEEP Agent+는 실제 프로젝트에서도 기술력을 입증 중이다. 총 131억 원 규모의 경기도청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사업에서 DEEP Agent+는 경기도청 문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HWP, PDF 등 행정문서를 정확하게 디지털화하고 구조화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행정업무에 생성형 AI 기술을 본격 적용하는 전국 광역지자체 최초 사례로, 표·차트·계층 구조까지 정밀 인식해 고품질 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딥러닝은 이번 TI-3 등급 획득을 기반으로 Document AI 시장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공공·금융·제조 등 높은 신뢰성과 정확성을 요구하는 산업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며, LLM·RPA·AX 등 AI 시스템 기반이 되는 문서 처리 자동화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김지현 한국딥러닝 대표는 “이번 TI-3 등급 획득은 DEEP Agent+의 기술력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성과로, 공공·금융·제조 등 높은 정확성을 요구하는 산업에서 한국딥러닝의 기술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며 “차세대 Document AI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문서 처리 자동화 시장을 선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