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베이스, AI 기반 조달 검색 엔진 ‘G2B 파인더’ 선보여

URL복사

 

베이스(BAICE)는 약 4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인공지능(AI) 기반 공공 조달 검색 엔진 ‘G2B 파인더(G2B Finder)’를 최근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베이스에 따르면 G2B 파인더는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의 비효율과 불공정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플랫폼으로, AI를 활용해 공공 조달 시장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 공공 조달 시장은 매년 200조 원이 넘는 예산이 집행되는 거대 시장이다. 국민의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가 필수적이다. 베이스는 이러한 과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G2B 파인더를 개발했으며, 그 핵심 기능은 AI 이미지 검색이다. 사용자가 제품 사진 한 장을 업로드하면 AI가 나라장터에 등록된 수많은 상품 중 유사한 제품을 단 몇 초 만에 찾아주는 방식이다.

 

또한 수많은 상품 중 중복되거나 유사한 품목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제품별 가격, 카탈로그, 납품 사례 등 관련 정보도 함께 제공돼 공공기관 담당자가 최적의 선택을 빠르고 신뢰성 있게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G2B 파인더는 외관상 유사한 제품을 시각적으로 묶어 나열 및 추천함으로써 구매자가 제품 품질과 가격 경쟁력만으로 판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조달 절차를 단순화하고, 시장의 공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공공기관은 G2B 파인더를 통해 국가 예산 절감과 행정 효율성 향상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반복적인 검색과 문서 작업에 투입되던 시간을 줄여, 공무원들이 보다 핵심적인 행정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G2B 파인더는 중소 제조사에게도 공정한 경쟁 기회를 제공한다. 독창적인 제품 이미지가 도용되어 복제 상품으로 등록되는 피해를 예방하고, 제품의 품질과 가격으로만 평가받는 시장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기술 기반 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아울러 관내 기업 제품을 우선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현재 G2B 파인더는 가구류, 교통시설, 조명기구 등 125개 세부 품목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향후 적용 범위를 점차 확대해 공공 조달 시장 전반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베이스 관계자는 “G2B 파인더는 데이터와 AI 기술을 결합해 대한민국 공공 행정의 효율성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인프라”라며 “앞으로 글로벌 공공 조달 시장에서도 혁신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