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제조 현장 고질병 타파” 엣지크로스, ‘ 모드링크 머신GPT’ 출시

URL복사

 

현장 기계·장비 대화형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모드링크 머신GPT(MODLINK MachineGPT)’ 데뷔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현장 및 AI 사물인터넷(AIoIT) 솔루션...고장 원인·해결책 제시한다

“숙련자 수준의 대응 구현하고, 다국어 질의응답 기능 탑재”

 

엣지크로스가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산업 솔루션 ‘모드링크 머신GPT(MODLINK MachineGPT)’를 강조했다.

 

이번 솔루션은 제조 현장 기계와 대화하며 고장 원인 및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춰 설계됐다. 오래된 기계 설비와 숙련된 기술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인 제조 시스템에 새로운 방법론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기계 지식을 전수·교육하는 과정에서 시간·비용을 적잖게 소모하는 기존 프로세스에도 혁신점을 부여할 전망이다.

 

산업 특화 AI 솔루션으로 기획된 이 제품은 직관적인 대화형 사용자 화면(User Interface)를 탑재한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비숙련자도 쉽게 시스템을 활용하고, 기술 지원·문제 해결·운영 판단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성능, 매뉴얼, 정비 지원 이력 등 현장 도메인 지식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 장치에서 수집한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또한 질문에 답하고, 의사결정 근거가 되는 문서 데이터까지 함께 제공한다. 사측은 기존 전문가 중심 시스템과 달리, 비숙련자도 숙련자 수준의 대응이 가능해진다고 내세웠다.

 

이번 머신GPT의 또 다른 차별점은 실시간 설비 이상 알람, 분석 원인 진단, 조치 방법 제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등 사용자 친화 기능이다. 이뿐만 아니라 다국어로 설계된 질의응답 기능을 지원해, 외국인 근로자도 자국의 언어로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해당 신규 솔루션을 통해 현장의 의사소통 오류를 줄이고 업무 적응을 돕는 효과가 기대된다”며 “머신GPT를 지속 개선해, 제조 현장의 숙련 인력 부족을 보완하고, 운영 관리 효율성·생산성을 동시에 높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엣지크로스는 (사)한국스마트데이터협회(KASAD) 소속으로 활약 중이다. 지난 9월부터 AI 기반 지능형 서비스 및 제조 데이터 표준(AAS) 활성화 지원사업을 시행 중이다. 이에 따라, 기계 장비 제조사는 머신GPT 실증 지원사업을 통해 솔루션을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