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마켓봄, 채팅 주문 기능 출시…외식업 주문 관리 효율화

반복 주문 표준화 통해 AI 기반 지능형 수발주 준비
홈 화면 바로가기 제공, 외식업 소상공인 접근성 강화

URL복사

 

엔터프라이즈 푸드테크 기업 마켓보로(대표 임사성)가 운영하는 식자재 유통 관리 플랫폼 ‘마켓봄’이 채팅 주문 기능을 새롭게 출시하며 외식업계 주문 효율성 제고에 나섰다. 이번 기능은 카카오톡, 문자 메시지 등 외부 메신저로 이뤄지던 주문 과정을 플랫폼 내로 통합해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향후 AI 기반 고도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마켓보로에 따르면 현재 마켓봄을 이용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외식 사업자 가운데 약 32%가 여전히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 등 외부 메신저를 통해 주문을 진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일부 고객들이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보다 익숙한 메신저 방식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외부 메신저를 통한 주문은 주문 내역 확인과 재입력 과정에서 불필요한 절차가 발생하고 담당자의 개인 메신저에만 기록이 남아 본사나 유통사가 관리·추적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마켓봄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채팅 주문 기능을 개발했다. 이제 고객들은 기존과 유사한 방식으로 채팅 주문을 진행하면서도 모든 기록이 마켓봄 플랫폼 안에 남아 업무 연속성과 관리 체계가 강화된다. 담당자의 퇴사나 휴직 같은 돌발 상황에서도 주문 내역이 유지돼 업무 공백이 최소화되며, 프랜차이즈 본사나 유통사는 관찰자 모드를 통해 채팅 주문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문 기록이 체계적으로 남아 감사와 관리 효율성이 대폭 향상된다.

 

이와 함께 채팅 주문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과정도 함께 추진한다. 쌀 한 포대나 우동면 5박스처럼 애매하게 입력된 주문도 반복 기록을 통해 표준화할 수 있으며, 향후에는 AI가 주문을 자동으로 인식·처리하는 고도화 서비스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수발주 전 과정을 AI가 지원하는 지능형 플랫폼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채팅 주문 서비스는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링크 형태로 제공되며 스마트폰 홈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추가해 앱처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외식업 소상공인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용자 친화적 방식이다.

 

박지환 마켓봄 사업 리더는 “이번 채팅 주문 서비스는 카톡이나 문자 주문의 불편함을 해소해달라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개발됐다”며 “식당 사장님들은 기존 방식 그대로 주문할 수 있으면서, 본사와 유통사는 관리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한편 마켓보로는 외식업 소상공인과 중소 유통사의 고질적 문제였던 수기 거래, 외상으로 인한 미수금, 오주문·오배송 문제를 IT 기반으로 혁신해온 기업이다. 오픈마켓 ‘식봄’과 B2B SaaS ‘마켓봄’을 운영하며 국내 1위 식자재 유통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2021년 10월 누적 거래액 1조 원을 돌파한 뒤, 2022년 말 3조 원, 2025년 3월에는 10조 원을 기록했으며 현재까지 약 6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해 시장 내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