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유아이패스 “국내 기업 90% 1년 내 AI 에이전트 도입 계획”

URL복사

 

국내 기업 10곳 중 9곳이 향후 1년 내 AI 에이전트를 도입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동화 솔루션 기업 유아이패스(UiPath)는 최근 IDC에 의뢰한 인포브리프 ‘에이전틱 자동화: 오늘날 기업을 위한 유기적 오케스트레이션 구현’으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약 24%는 이미 에이전틱 AI를 도입했으며 67%는 향후 12개월 이내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에이전트 기반 기술은 단순 시범 운영을 넘어 도입 확산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특히 2025년은 기업 AI 도입 전략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도입 목적은 복잡한 업무의 효율적 처리, 생산성 향상, 경쟁력 확보로 나타났다.

 

에이전틱 AI는 기업 내 복잡한 업무를 자동화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기술로 RPA(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와 결합해 에이전틱 자동화로 발전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이 주목하는 활용 분야는 고객 지원(63%), 생산성 향상(54%), 리스크 관리 및 이상 탐지(50%) 등이다. 특히 금융·운송·교육 산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확산을 가로막는 과제도 존재한다. 양질의 학습 데이터 부족(26%), AI 전문 인력 부족(22%), 기업 규제로 인한 데이터 접근 제한(22%)이 대표적이다. 도입 과정에서의 보안 취약성(46%), 비즈니스 적용 사례 부족(44%), 개인정보 보호 우려(43%)도 주요 리스크로 지목됐다. 시스템 통합 문제와 보안 인프라 부족 역시 기술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유아이패스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를 강화한 에이전틱 자동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조의웅 유아이패스 코리아 지사장은 “에이전틱 자동화는 기업의 비즈니스 운영 방식을 재편하고 있다”며 “신뢰성과 보안을 기반으로 기업의 AI 도입 장벽을 낮추고 있다”고 말했다.

 

IDC 아시아태평양 AI 리서치 총괄 부사장 디피카 기리는 “AI 기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에이전틱 자동화는 기업의 성장과 유연성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보고서는 책임 있는 AI 도입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역할도 제시했다. 기업은 투명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확장 가능한 자동화 플랫폼을 선택해야 하며, 정부는 윤리적 AI 활용을 위한 정책과 규제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