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 정밀해지고 집적화되면서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 확보가 점점 중요해지는 시대다. 이에 따라 기업은 기존에 주력하는 기술과 더불어 ‘또 다른 무언가’를 제시해야 한다. 기업 경쟁력과 연관된 이 양상은 하드웨어 기술력에 의존했던 금속가공 영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홍범주 한국트럼프 매니저는 “하드웨어 자체에만 집중했던 금속가공 분야는 현재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측면에도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단순히 기계만 관장하는 것에서 공정 전주기를 담당하는 것으로 영향력이 확장돼야 함을 뜻한다”고 강조했다. 이렇게 변혁기를 맞이한 산업 양상에서 지난 4월 1일부터 닷새간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이 개막했다. SIMTOS 2024에 출격한 한국트럼프는 생산제조 혁신에 어떤 역할을 할까? ‘공작기계’ 주력에서 ‘생산제조’ 영역으로 테마 확장한 SIMTOS 2024...한국트럼프의 메시지는? 한국트럼프는 지난 1923년 독일에서 설립된 금속가공 솔루션 업체의 국내 지사로, 판금가공에서 레이저 가공까지 금속가공 기술을 국내에 전파하고 있다. 홍범주 매니저에 따르면 트럼프는 매출액의 약 10% 이상을 연구개발(R&D) 역량에 투
파이버 레이저·절곡기 등 신형 모델, 자동화 시스템 등 선보여 혼합 가스 절단 기능 시연해 참관객 ‘주목 집중’ 파이프 가공, 유지보수, 자동화 솔루션 등 컨설팅 코너도 기획 바이스트로닉이 이달 1일부터 닷새간 경기 고양시 소재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출격해 금속가공의 비전을 제시했다. SIMTOS 2024 바이스트로닉 전시부스에는 ‘ByCut Star 3015 30kW’, ‘ByCut Eco 3015 6kW’ 등 파이버 레이저 신모델과 더불어 ‘ByStore 3015’, ‘Mobile Bending Cell’ 등 자동화 시스템이 배치됐다. 또 각종 테마로 세분화된 컨설팅 과정을 제공해 참관객이 다채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번 전시장에서 주목도가 높았던 솔루션은 신형 고출력 파이버 레이저 ‘ByCut Star 3015 30kW’다. 해당 모델은 사용자 편이성에 초점을 두고 설계됐다. 여기에 스마트 기능을 담아 다양한 소재를 빠르고 유연하게 가공할 수 있다. 특히 ByCut Star 3015 30kW의 혼합 가스 절단(MixGas) 기능을 시연해 참관객의 관심을 이끌었다. 바이스트로닉 관계자에 따
‘로봇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로봇은 산업 현장에서 일상 영역으로 주요 무대를 확장하고 있다. 이에 세계 주요국은 로봇 기술의 잠재력을 인지해 정책적 지원 및 투자를 확대하는 중이다. 첨단산업으로 분류된 로봇 영역에는 날마다 새로운 기술이 탄생하며 순항 중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산업용 로봇부터 협동로봇까지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로봇은 현실적인 이슈를 내포하고 있다. 이는 높은 초기 구축 비용, 로봇과 기존 설비 간 연결 최적화 문제, 까다로운 유지보수, 어려운 활용법, 공정 환경과 로봇 기능의 괴리 등이 해당된다. 쿠카(KUKA)는 독일 및 중국에 본거지를 둔 토털 로봇 제조업체다. 지난 2017년 중국 기업에 인수된 이후에도 독일에 연구개발(R&D)·제조 등 인프라를 그대로 유지해 유럽과 아시아 모두에 영향력을 확산하고 있다. 쿠카로보틱스코리아는 쿠카의 국내 투자 법인으로, 아시아 비즈니스를 관장한다. 장길돈 쿠카로보틱스코리아 대표이사는 “현재 산업에는 다양한 로봇 모델이 구축돼있지만 실제 활용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쉽고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보편적 로봇’이 로봇 영역의 미래상”이라고 강조했다. 쿠카로보틱스코리아는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혁신 가속화’ 슬로건으로 참가...생산제조 솔루션 총망라 산업용 메타버스 및 디지털 트윈 가공 프로그램 체험존 마련해 참관객 이해 도와 “국내 산업 이슈에 해답 제시할 모델 소개”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이하 지멘스)가 지난 1일 개막한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참가해 생산제조 산업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지멘스는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혁신 가속화’를 캐치프레이즈로 이번 전시회에 출전했다. 지멘스 부스는 지멘스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시연하는 존과 산업용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가공 프로그램 등을 체험하는 존 등으로 구성돼 참관객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했다. 이 자리에는 공작기계 산업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돕기 위한 지멘스의 기술 및 솔루션이 총출동했다. 이 중 핵심은 지멘스의 포괄적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 ‘MACHINUM’을 필두로 한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컨트롤러 라인업 SINUMERIK의 최신 모델이다. 해당 모델은 SINUMERIK 828D의 개선된 5세대 제품으로, ‘PPU271.5’와 ‘PU272.5’가 그 대상이다. 기존 10.4인치에
유공압을 요구하지 않는 ‘CNC 로터리 테이블’, 일체형 설계 ‘크로스롤러 베어링 유닛’ 공개 양헌기공이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출격했다. 이 자리에서 CNC 로터리 케이블, 크로스롤러 베어링 유닛 그리고 이 제품을 결합해 실제 가동되는 데모도 함께 전시해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SIMTOS 2024는 올해 20회차를 맞이한 생산제조 산업 전시회로, 산업에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기 위해 6년 만에 복귀했다. 올해는 35개국 1300개사가 6170부스 규모로 참가해 10만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양헌기공은 ‘제품 국산화’를 목표로 산업에 모션제어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 인덕스 드라이브(Index Drive)부터 P&P 유닛, 고정밀 수치 감속기 시리즈, 자동 공구 교환장치 ‘ATC 시리즈’, 로터리 케이블, CAM 제품 등을 포트폴리오를 보유했다. 이번 전시회에 출품된 CNC 로터리 케이블은 유공압을 요구하지 않는 제품으로, 제로 백래시 캠 감속 기술(Zero Backlash Reduce) 기술이 적용됐다. 해당 제품은 SN·ST·SM·SV·SHR430·T 등으로 라인업이 세분화돼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한다. 또 다른 출품작
서보 모터·드라이브, 컨트롤러, 리니어 로봇, 레이저 3D 프린터, CAM 소프트웨어 ‘활짝’ 씨에스캠이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 현장에 각종 CNC 솔루션을 배치해 참관객에게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SIMTOS 2024는 올해 20회차를 맞이한 생산제조 산업 전시회로, 산업에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기 위해 6년 만에 복귀했다. 올해는 35개국 1300개사가 6170부스 규모로 참가해 10만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씨에스캠은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CAD 및 CAM 시스템을 상용화해 산업현장 공정 및 환경 개선에 이바지하고 있다.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제어 기술을 지속 고도화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공정 자동화 혁신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이다. 씨에스캠이 이번 전시장에 들고나온 제품은 모터·드라이브 등 기준 주력 기술인 서보 제품부터 컨트롤러, 리니어 로봇, 레이저 3D 프린터, CAM 소프트웨어 등이다. 씨에스캠 관계자는 이 중 레이저 패터닝 장비 ‘AnyX-1000LP-5A’를 강조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장비는 금속 소재 재료를 기반으로 한 3D 프린터다. 금속 가루를 녹인
"기존 유도 전동기 기반 제품 대비 사이즈↑ 소음 효율↑"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출전한 정우전기가 산업용 영구자석 모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를 부스에 들고나왔다. 정우전기는 산업용 모터를 전문으로 다루는 기술업체다. 고객 만족과 품질을 기업 가치의 최상단에 배치한 정우전기는 고도화된 산업용 모터 기술을 통해 산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삼상·단상·유압·브레이크·방폭·인버터 등 산업용 모터를 취급하고 있다. 이번 SIMTOS 전시장에 모습을 드러낸 정우전기의 산업용 영구자석 모터는 영구자석을 기반으로 내구성이 확보되고, 잦은 유지보수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정우전기 관계자는 “기존의 일반 유도 전동기 기반 모터 대비 콤팩트하면서도 소음 발생이 적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전시회는 기존 공작기계 위주의 구성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도전의 국면을 맞이한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 ‘Be a Part of SIMTOS’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SIMTOS 2024는 5개 전문관, 1개 특별관으로 구성되며, 3개의 주요 부대행사를 진행한다. 전문관은
커플링 시리즈, 서포트유니트·모터 브라켓 일체화 제품, 타이밍 풀리 등 모션제어 솔루션 총집합 성일기공이 이달 1일부터 닷새간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전시장을 마련해 각종 모션제어 기술을 참관객에게 소개했다. SIMTOS 2024는 올해 20회차를 맞이한 생산제조 산업 전시회로, 산업에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기 위해 6년 만에 복귀했다. 올해는 35개국 1300개사가 6170부스 규모로 참가해 10만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성일기공은 지난 1991년 설립 이후 동력 전달 및 FA(Factory Automation) 기술을 산업에 제시하는 업체다. SIMTOS 2024 전시장에 각종 커플링 제품과 더불어 타이밍 풀리, 서포트유니트 등 다양한 제품을 가져나와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볼스크류용 서포트유니트와 모터 브라켓을 일체화해 도입 유연성과 활용 직관성을 확보한 혁신 제품이 참관객에게 조명받았다. 해당 기술은 볼스크류와 모터 브라켓을 하나로 접목해 고객이 구매 시 부품 구성을 하거나, 조립 시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성일기공 관계자는 “해당 제품은 볼스크류와 모터 브라켓을 하나로 융합해 조립
셰플러 부스서 테솔로··에벨릭스·유니버설 기술 융합된 피킹 솔루션 공개 “픽앤플레이스, 조립 등 가능해...올해 중 5지 인간형 로봇 그리퍼 시장 데뷔” 테솔로가 셰플러와 함께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이하 SIMTOS 2024)’에 출전해 에벨릭스·유니버설로봇과 합작한 피킹 솔루션을 참관객에게 선보였다. 테솔로는 로봇 그리퍼 솔루션 업체로, 손가락 형태의 2지, 3지 그리퍼와 진공 그리퍼 등 각종 자동화 기술이 시장에 제시하고 있다. 이번 전시장 내 셰플러 부스에서는 델토 그리퍼-3F(Delto Gripper-3F 이하 DG-3F)를 소개해 참관객의 이해를 도왔다. DG-3F는 손가락 3개와 관절 12개로 설계된 3지 로봇 그리퍼다. 현재 스마트 팩토리, 물류 설비, 서비스 산업 등에서 활약 중이다. 셰플러 전시부스에서는 에벨릭스의 리니어 솔루션, 유니버설로봇의 로봇 암과 융합돼 피킹 솔루션 형태로 공정 시연 장면을 연출했다. 테솔로 관계자는 “DG-3F는 물체를 집어서 옮기는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 조립 등 공정에 정밀한 자동화 요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말까지 인간형 5지 로봇 그리퍼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Mitutoyo(미쓰도요)가 SIMOTS 2024에 참가해 품질 향상을 위한 정밀 측정기 및 측정 솔루션을 소개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미쓰도요는 수평형 인라인 3차원 측정기, CNC 3차원 측정기 등을 선보였다. 미쓰도요는 최적의 검사 환경 개발, 핵심 보유 기술을 응용한 현장의 공정 개선, 측정 데이터의 활용으로 모든 제조 산업에서 필요한 정밀 측정 기술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미쓰도요의 MACH-3A 653 수평형 인라인 3차원 측정기는 수평 머시닝에 적합한 수평형 측정 시스템이다. 제조 라인 설치를 고려한 공간 절약 설계로, 가공기와 같은 반송 루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제품이다. 구동 속도 뿐만 아니라 가속도, 측정 속도 모두 CNC 3차원 측정기 중 월등한 효율을 자랑하며, 폭넓은 범위와 온도 환경에서도 정도를 보증한다. CNC 3차원 측정기 CRYSTA-Apex V 574는 정도, 속도, 다양한 면에서 성능이 업그레이드된 제품이다.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측정물을 커버하는 모델이다. 미쓰도요 관계자는 "인더스트리 4.0으로 상징되는 눈부신 기술 혁신의 파도 속에서 공장이나 제조업 등은 점점 고도화되고 정밀 측정에 대한 기대 또한 높아지고
CHIRON 그룹이 SIMTOS 2024에 참가해 수직 밀링 및 밀링 터닝 머시닝 센터와 각종 부품 등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Micro5는 5개 축이 있는 머시닝 센터다.의료 기술, 정밀 기계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매우 컴팩트한 크기인 것이 특징인 제품이다. Micro5의 이름에 포함된 '5'는 기계 크기 대 비해 작업물의 이상적인 5:1 비율을 의미하며, 최대 효율성을 의미한다. 에너지 소비는 기존 시스템에 비해 50배 낮으며, 고성능 스핀들은 매우 짧은 가공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자동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Feed5 처리 시스템과 결합했을 때, 이는 민감한 작업물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실용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완벽한 솔루션을 결과로 한다. CHIRON 그룹은 밀링 및 밀링 터닝 전문 분야의 전체 스펙트럼을 포괄하며 턴키 및 자동화 분야 혁신을 일으키고 있는 기업이다. CHIRON 그룹 관계자는 "우리는 초정밀 가공, 수직 밀링, 스핀, 비품, 오토메이션 특수 가공을 비롯해 디지털 솔루션, 턴키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항공우주, 자동차, 공학, 의료,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제품군을 갖춘 기업"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이하 헥사곤) SIMTOS 2024에 참가해 신규 스마트 구조광 스캐너 등을 비롯해 스캐닝 자동화 솔루션. 측정 장비, 공작기계 등의 '고정밀 가공 라인 프로세스'를 선보였다. 헥사곤은 이번 전시회 속 디자인 & 엔지니어링 솔루션 영역에서 구조 분석, 음향 시뮬레이션, 시스템 동역학, 열 유동 해석, ADAS 시뮬레이션, 자율주행 분석 솔루션 등 다양한 CAE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소개했다. 고객은 솔루션을 사용해 제품 설계를 최적화하고, 기존의 ‘Build & Test’ 단계를 생략하고 가상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테스트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생산 소프트웨어 솔루션 영역에서는 금형 및 부품 산업을 위한 CAD, CAM 및 CNC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가 소개됐다. CAD/CAM 소프트웨어는 제조업체가 가공 경로를 최적화하고 효율적인 생산을 계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CNC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실제의 가공환경 그대로 재현한 디지털 트윈 솔루션으로 가공 전 충돌 오류를 검증하고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밖에도 헥사곤은 3차원 측정기, Arm 측정 장치, 레이저 트래커, 광학
자이스 코리아가 SIMTOS 2024에 참가해 생산 현장 효율을 위한 3차원 측정기, 자동화 스캐너, 고속 인라인 X-RAY 등을 소개했다. 자이스 그룹은 설립자인 칼 자이스의 현미경으로부터 시작된 175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독일 대표 광학기업이다. 현재 자이스는 오랜 광학기술에서 진화된 고정밀 3차원 측정기를 비롯해, 생산 현장을 위한 X-ray, 3D 스캐너, 광학 현미경 등의 품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 자이스는 하이엔드 광학 스캐너인 ZEISS ScanBox를 처음 선보였다. ZEISS ScanBox는 2019년 자이스가 인수한 3D 측정기술 핵심기업인 GOM GmbH의 산업 계측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정밀 광학 스캐너와 산업용 로봇이 결합된 자동화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전체 면적의 고해상 데이터를 생성해 대상물 형상의 경향, 치수, 기하공차 등을 직관적이고 가시적으로 보여준다는 강점이 있다. ZEISS ScanBox는 이미 다수의 글로벌 자동차, 전자, 항공 기업의 생산 현장에 도입되고 있다. 자이스는 ZEISS ScanBox 외에도 자이스 사의 주력 제품인 생산라인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3차원 측정기인 ZEISS Dur
DN솔루션즈가 SIMTOS 2024에 참가해 자동화 7개, Smart Tech 3개, 수요산업 솔루션 5개 등 총 15개 기종의 공작기계를 전시했다. 이와 함께 스핀들 진단, Digital twin 등 DN솔루션즈만의 특화된 솔루션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전시 부스내에 운영했다. DN솔루션즈는 독자 기술력을 바탕으로 터닝센터, 머시닝센터 등 500여 종의 광범위한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66개국 155개의 해외 딜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자동차, 항공, 의료, 에너지, IT, 건설 등 글로벌 고객의 다각화된 수요산업에 부응하고 있다. 현재 DN솔루션즈는 제품의 내구성, 정밀성, 강성을 바탕으로 한 PUMA, Mynx, Lynx, DNM과 같은 글로벌 탑 제품을 비롯해 5축기, 복합기 장비와 같은 하이엔드 장비,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한 유연한 자동화, 디지털 가공을 실현할 스마트 머신, 산업·가공별 특화된 맞춤형 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터닝센터와 머시닝센터는 전체 공작기계 시장에서 3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제품군이다. 이 회사는 터닝센터, 머시닝센터와 함께 얇고 긴 소재 가공에 적합한 스위스턴, 항공기, 에너
설계부터 가공 및 검사까지 제조 공정 전주기 솔루션 ‘활짝’ “정확도, 신뢰성, 생산성 대폭 개선 가능해” 레니쇼가 이달 1일부터 닷새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참가해 정밀 엔코더, 캘리브레이션 솔루션, 프로빙 및 공구 세팅 시스템 등 제조 공정 전주기 솔루션을 소개했다. 이번 SIMTOS 2024 전시장에 모습을 드러낸 레니쇼 솔루션은 밀폐형 엔코더 ‘FORTiS’, 다축 캘리브레이터 ‘XM-60’ 및 ‘QC20 볼바’, 비접촉식 공구 계측장치 ‘CN4+ Blue’, 측정 솔루션 ‘Equator 300 및 500’, ‘REVO 5축 멀티 센서 프로빙 솔루션’ 등이다. 이 중 XM-60은 다축 캘리브레이터로, 레이저 기반으로 선형 축을 따른 6 자유도 오차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또 한 번의 갭처로 축의 모든 형상 오차를 측정 가능하다. 아울러 QC20 볼바는 CNC 공작기계의 포지셔닝 성능을 평가해 교정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는 데 활용된다. 여기에 정밀한 부품 생산이 가능함과 동시에 예지보전 또한 가능하다. 이어 Equator 300과 Equator 500은 대량 생산 시스템에 특화된 측정 솔루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