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10일 스마트 제조(OT/ICS) 보안 세미나 개최 제조업 공정 설비가 기존 설비에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이 결합된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으로 전환됨에 따라 제품의 기획, 생산부터 유통, 판매, 재고 관리까지 모든 제조 과정에 대해 정보통신(ICT)기술로 관리할 수 있는 등 제조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떨어진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제조 설비에 대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기존의 제조 설비에 정보통신(ICT)기술이 접목 되면서 중요하게 대두되는 과제는 보안 강화이다. ICT 기술을 통해 모든 제조 과정에 대해 관리할 수 있게 되면서 보안 사고 발생 시 피해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최근 공급망 공격, 제조업 대상으로 한 랜섬웨어 공격 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피해 범위가 산업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을 줄 수 있어 스마트공장 구축 시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철저한 보안 전략과 대비책이 요구되고 있다. (주)첨단은 오는 10일 스마트제조(OT/ICS)보안세미나를 개최해 철저하게 제조 보안을 구현하기 위한 성공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오토메이션월드 2023(Smart Factory + Automa
노조미네트웍스는 23일인 오늘 완전한 운영 복원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기하급수적으로 단축시키는 OT/IoT 엔드포인트 보안 센서 ‘노조미 아크’를 발표했다. 기업들이 가시성을 필요로 하는 곳이라면 어디서나 수많은 사이트와 장치에 자동 배포하도록 구축된 노조미 아크는 주요 자산 및 네트워크 엔드포인트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와 통찰력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 데이터는 현재 리소스에 부담을 주거나 미션 크리티컬 네트워크를 방해하지 않고 사용자 활동을 상호 연관시킬 뿐만 아니라, 위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 및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노조미 아크는 완전한 자산 가시성, 배포 속도 및 복잡한 원격 OT/IT 네트워크 전반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인인 솔루션이다. 노조미 아크는 엔드포인트 취약점 분석, 손상된 호스트 식별, 원격 배포,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배포 가속화 등의 특징을 갖췄다. 노조미네트웍스 코리아 박지용 지사장은 “운영 탄력성은 사이버 위험을 낮추고 보안을 강화해야만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중요 인프라 조직이 꼽는 최우선 비즈니스 과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노조미 아크는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를 OT 보안 센서로 변환해 복원 시간을 단축
동우-GCS는 개발자 중심의 자동화 솔루션 전문업체로, 끊임없는 기술력으로 고객에게 독창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동우-GCS 최민우 대표는 산업 자동화 분야의 국내외 경험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IoT 기술 및 미래 자동화 영역 설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한다. Q. 동우-GCS의 주력사업과 경쟁력을 소개한다면. A. 동우-GCS는 자동화 솔루션 통합구축 전문업체로서 고객에게 최상위 Global Control Solution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반도체, 2차전지, 제약, 식음료, 자동차, 제철, 환경 등의 산업분야에서 많은 IoT 구축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최적화된 자동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ERP, MES, SCADA, PLC, Control Panel 영역에서 다양한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SI 통합 기술, 자동화 통합 솔루션, 통신 통합/제어 기술, 자동화 설계 및 컨설팅 제공, 데이터 통합 및 분석 레포트 등을 제공하고 있다. Q. 동우-GCS의 2022년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으며, 2023년엔 어떤 계획이 있는지. A. 동우-GCS는 2022년도 반도체 및 제약 산업군에서 크고 작은 프로젝트들을 성
어드밴텍케이알이 동서정보기술과 ‘와이즈 WISE-PaaS’ 얼라이언스 전략 비즈니스 업무 협약식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에서는 어드밴텍의 WISE-Edge365라는 OT와 IT간의 WISE-Edge 브릿지 솔루션 및 AI 기반 설비의 이상진단과 예지보전솔루션인 iMachine/PHM 솔루션과 동서정보기술의 생산 현장 관련 솔루션을 결합해 더욱 진보된 원스탑 통합관리솔루션의 사업모델 개발 진행 과정을 논의했다. 어드밴텍은 대만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으로 전 세계 산업용 컴퓨터 시장 점유율 약 34%를 차지하고 있는 하드웨어 중심의 산업용 컴퓨팅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컴퓨팅 기술을 바탕으로 센서, 모듈, 엣지 게이트웨이와 SRP, 산업용 IoT클라우드 플랫폼과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WISE-MarketPlace 운영을 통해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동서정보기술은 고객의 비즈니스에 제반요소기술을 연계하여 MES, EAM, SPC, WMS, QMS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동서정보기술은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상생협력 스마트팩토리 구축사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업을 통해 산업현장의 경험과 도메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산업현장에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며 인프라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등 디지털 인프라 환경은 커지고 있는데, 이는 보안 대상도 그만큼 많아지고 있다는 뜻이다. 현실은 디지털 발전 속도에 보안 기술이 따라가지 못해 각종 디지털 보안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35년 동안 보안 기술만을 고집해온 트렌드마이크로는 2023년 전략 발표 기자 간담회에서 급변하는 IT 환경 및 확장된 공격 점점 관리를 위해 보안도 플랫폼 관점에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전에 ‘리스크’를 방지하는 것이라 밝혔다. ‘클라우드’가 산업 분야를 막론하고 급격한 확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더불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술에 대응하면서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각종 컴플라이언스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 내 보안 부서의 책임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나 원격 근무 체제와 가속화된 클라우드 전환에 따라 기업의 디지털 자산을 침해할 수 있는 공격 접점은 계속해서 확장되며 사이버 보안 대응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기업 보안팀은 확장된 공격 접점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사건 알람 및 사일로화된 데이터 등으로 인해
산업 디지털 전환은 분야를 막론하고 필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소비재 산업에서 디지털 전략은 혁신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시뮬레이션은 수십 년 동안 제품 개선 및 생산 디지털 트윈 형태로 소비재 생산 프로세스 지원에 사용되어 왔으며, 이미 투자 수익률 극대화는 인증된 부분이다. 생산 디지털 트윈을 사용하면 생산 라인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고, 전체 공장으로 확장할 수 있어 자본 및 운영 최적화가 가능하다. Siemens는 Siemens Digital Industries Software의 광범위한 Xcelerator 포트폴리오와 다른 Siemens 비즈니스 기능을 활용해 기업의 엔드 투 엔드 디지털 변환 요구를 지원한다. 소비재 산업은 특히 업계 내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제품 및 프로세스 혁신만이 경쟁에서 살아남는 유일한 방법이다. 디지털 혁신은 IT 및 OT의 발전을 활용하고, 이를 제품 및 프로세스 혁신에 적용할 수 있다. Siemens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제품은 소비재 관련 제품 개발 및 생산 요구사항을 해결해준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제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 공장은 단순 보급을 넘어 고도화를 향하는 추세다. 그러나 제조 현장에서는 여전히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스마트 팩토리와 생산성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의문부호가 붙는다. 울랄라랩은 고유의 IT 기술과 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최적화한 스마트 팩토리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울랄라랩 강학주 대표를 만나 스마트 팩토리 트렌드, 당사 하반기 전략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다. 울랄라랩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울랄라랩을 한 문장으로 소개할 때 ‘생산 현장을 잘 아는 IT 기업’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울랄라랩은 산업용 데이터를 분석하는 회사다. 울랄라랩이 주로 담당하는 업무는 산업용 데이터 분석, 산업용 데이터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AI 개발이다. 이와 함께 원활한 데이터 확보를 위한 IoT 디바이스 장치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우리는 산업용 데이터를 다루며 스마트 팩토리 보급에 주력해왔으나, 보다 범위를 확장해 농업, 에너지 산업, 유전 산업 등의 분야에서도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지난 상반기에 울랄라랩이 주력해온 사업과 그 성과는 무엇이었나? 상반기에는 제품 출시를 앞
글로벌 기업 도입 사례를 통해 국내 맞춤형 솔루션 제공 기대 클래로티가 국내 CPS 보안 솔루션으로 국내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클래로티는 8일 진행된 기자간담회를 통해 확장 IoT(XIoT, Extended IoT) 보안의 중요성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국내 시장 활동 계획을 밝혔다. 확장 IoT는 산업, 헬스케어 및 상업 환경 전반으로 확장된 모든 사이버물리시스템을 의미한다. 야니브 바르디 클래로티 CEO는 최근 사이버 물리 시스템 환경 변화와 이를 대비하기 위한 XIoT 솔루션을 소개했다. 생산성과 경쟁력을 위해 산업‧상업 및 의료 환경 전반에 기존의 전통 데이터와 IoT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연결되고 있다. 문제는 전혀 보안을 고려하지 않은 자산들이라는 것이다. 즉, 디지털 혁신과 리스크가 공존하는 상황에 처한 상황이다. 가트너는 CPS 보안 성숙도를 달성하기 위해 인식, 가시성, 평가, 대응/조치, 통합, 최적화의 6개 접근 방식을 제시했는데, 기업의 60%가 인식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클래로티는 ▲클래로티 Edge로 가시성 ▲클래로티 SRA로 보호 ▲클래로티 CTD 위협 탐지 등 완전한 포트폴리오로 모든 단계에 CPS 보
클라우드·배터리 등 주력할 분야 및 클라우드 관련 비즈니스 전략 공개해 시스코 시스템즈(이하 시스코)가 클라우드 시대를 맞아 최적화한 클라우드 활용 전략을 발표했다. 시스코가 31일인 오늘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시스코 커넥트 코리아 2022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시스코코리아 조범구 대표와 진강훈 엔지니어 총괄 부사장이 참여해 자사에 대한 소개와 클라우드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 비즈니스 및 기술 전략을 소개했다. 첫 번째 발표를 진행한 조범구 시스코코리아 대표는 “시스코는 많은 사람을 포용하는 미래를 만들어가겠다는 비전을 지향한다. 이를 바탕으로 시스코는 기존에 탄탄했던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을 선보이며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범구 대표는 “시스코는 올해도 소프트웨어 비즈니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보안, 가시성 및 민첩성에 집중한 클라우드 전략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에 클라우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돕는데 집중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시스코는 회계연도 2021년(2020년 8월 – 2021년 7월)에 제품으로 360억 달러(한화 약 45조 원),
모션 컨트롤 기업 모벤시스는 모션 컨트롤 솔루션 WMX 3.5 버전을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WMX는 산업용 기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축적할 수 있으며, 이더캣(EtherCAT) 외 다양한 통신 방식도 지원한다. WMX(Windows based Motion control for eXpert)는 모벤시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순수하게 소프트웨어만으로 공장의 장비를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 솔루션이다. 소프트웨어 기반의 솔루션으로 장비의 하드웨어 부담을 줄이면서도 다양한 제조 장치의 고속 다축 모션 컨트롤을 실현할 수 있어 국내 최대 반도체 설비 제조 업체를 포함해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용 로봇, 기타 스마트폰, 2차 전지 등 다양한 산업의 장비 제조사에서 WMX를 도입하고 있다. 이번 WMX 3.5 업데이트를 통해 WMX는 ‘리얼 타임 데이터 로깅(Real-Time Data logging)’을 지원해 기계, 로봇 등의 다양한 산업용 기기로부터 미가공(Raw)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다.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하드웨어 제어기는 다축의 다양한 정보를 장시간 누적하고 분석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이다
양사가 구축한 엔드투엔드 플랫폼으로 보안 취약성 줄이고 IT와 OT 융합해 디지털 혁신 디지서트가 IoT 사이버 보안업체 모카나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디지서트는 모카나와 기술을 통합해 IoT 제조업체와 운영자가 IoT 기기 전체 수명 주기에 걸쳐 보안을 관리할 수 있는 포괄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디지서트는 이번 인수로 빠르게 성장하는 IoT 시장에서의 입지를 전략적으로 확대해갈 예정이다.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IDC는 2025년까지 550억 개 이상의 기기가 연결될 것이며 많은 기업이 운영 효율성, 디지털 혁신, 경쟁 차별화를 달성하기 위해 IoT 플랫폼에 투자하면서 이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존 메릴(John Merrill) 디지서트 CEO는 “IoT 보안은 기기 제조업체와 운영자에게 중요한 과제”라며 “일과 삶의 영역에서 스마트 기기가 보편화되면서 디지서트는 이번 모카나 인수와 함께 IoT 시장에서 더욱 중요해지는 디지털 신뢰를 제공하기 위한 비전을 구축하고 있다. 신규 및 기존 고객에게 통합 플랫폼을 알리고 IoT 기술과 산업 및 제조 분야에 대한 모카나의 전문성을 확보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ABB의 제임스 클라인
Basler AG가 카메라 제조업체 최초 5G Alliance for Connected Industries and Automation(5G-ACIA)에 가입했다. Basler는 머신 비전 부문에서 최초로 5G-ACIA의 이니셔티브를 지원한다. 5G-ACIA는 IT 및 OT 분야의 다양한 산업을 결집시켜 산업 분야의 5G 표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런 목표는 추가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다양한 산업 및 국가 전반에서 서로 다른 IT·OT 공급자 간의 협력 활동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Basler의 제품 사업 부문 이사인 르네 폰 핀텔은 “Basler는 5G가 Industry 4.0 통신 및 IoT 또는 IIoT 연결의 추가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5G는 산업의 주요 무선 통신 기술 및 표준이 되어 모바일 로봇을 위한 비전이나 예방 유지 보수와 같은 새로운 활용 사례의 가능성을 열 것이다. Basler는 이미지 처리 전문업체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컴퓨터 비전 분야가 그에 걸맞는 평가를 받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구독 모델로 초기 고비용 문제 개선...진입장벽 완화 LG CNS가 온라인 개최한 ‘OT시큐리티 테크데이 2022’ 웨비나에서 구독형 OT 보안 서비스를 선보였다. LG CNS는 초기 고비용 문제로 OT보안 도입을 망설이는 고객의 페인포인트에 주목했다. 기존에는 고객이 최소 수십억원 이상의 솔루션 구축 비용을 일괄 지불하고, 별도의 관리 계약을 맺어야 했다. 앞으로 LG CNS 서비스를 이용하면, 고객은 구축비와 유지보수비를 월 단위, 혹은 연 단위 구독료로 분납할 수 있다. 고객은 LG CNS의 우수한 OT보안 서비스를 비용부담 없이 제공받고, 다른 사업에 투입할 재원도 추가 확보할 수 있다. OT는 ‘제조운영기술’로 스마트팩토리, 발전소, 댐과 같은 대규모 시설물을 AI, 빅데이터 등 IT기술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OT시스템이 폐쇄망에서 벗어나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빈도가 늘어나면서 OT보안 중요성도 커졌다. LG CNS의 OT보안 서비스는 컨설팅, 취약점 진단, 솔루션 구축, 실시간 모니터링까지 모든 단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생산 일정을 관리하는 IT시스템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설비를 제어하는 장치인 PLC도 보호한다. LG CNS는 전자, 석
헬로티 함수미 기자 | CJ올리브네트웍스가 OT와 하드웨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지멘스와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OT는 비즈니스 중심으로 최적화되어 있는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와 달리 현장설비의 모니터링, 제어, 예측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를 뜻하며, CJ올리브네트웍스는 기존 솔루션 중심의 사업에서 OT 및 하드웨어 사업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스마트팩토리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지멘스와 지난 2일 전략적 제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행사에는 차인혁 CJ올리브네트웍스 대표와 토마스 슈미드(Thomas Schmid)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부문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CJ올리브네트웍스는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설비에 대한 관리, 운영 및 사업 인벤토리 공동 개발을 책임진다. 지멘스는 PLC와 SCADA 제품을 공급하고 구축 노하우를 제공하고, CJ올리브네트웍스 스마트팩토리 부문 임직원을 대상으로 OT 및 하드웨어 기술 교육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양사는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 설계와 구축, 영업확대, 마케팅, 기술지원 등에 상호협력할 예정이다. 차인혁 CJ올리브네트웍스 대표는 “솔루션 중심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안랩은 28일 판교 안랩 사옥에서 OT 보안 솔루션 전문 기업 나온웍스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안랩은 OT 보안 역량을 강화한다. 이번 계약 체결로 안랩은 나온웍스의 지분 60%를 인수한다. 안랩은 인수 절차 완료 후에도 현재 이준경 대표 경영체제를 유지하며 나온웍스를 독립된 자회사로 운영한다. 안랩은 이번 인수로 자사의 축적된 통합보안 역량과 나온웍스의 OT 보안 기술력을 결합해 OT 보안 영역의 기술 전문성과 사업적 시너지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안랩은 나온웍스와 ▲OT 보안 분야 공동 연구개발 ▲OT 보안 전문 솔루션 및 서비스 연계 ▲OT 보안 공동 사업 수행 등을 진행한다. 나온웍스는 2007년 7월 설립된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 및 OT 보안 솔루션 개발 전문 기업이다.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을 시작으로 산업제어프로토콜 일방향 보안 게이트웨이, 산업제어시스템 이상 행위 탐지 등 OT 보안 분야 솔루션을 개발하고 관련 사업을 영위해오고 있다. 현재 스마트팩토리, 데이터센터(IDC), 발전소, 수소 충전소 등 다수의 생산 및 기반 시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강석균 안랩 대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