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비스가 20일부터 23일까지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열린 ‘2025년 한국전자파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에 참가해 최신 질화갈륨(GaN) 반도체 연구 성과와 국내 최초 X-밴드 MMIC 파운드리 서비스를 공개했다. 올해로 13회를 맞은 한국전자파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는 국내 최대 규모 ICT 학술 교류의 장으로, 매년 산·학·연·관에서 1700명 이상이 참석해 7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다. 1989년 창립된 학회는 현재 누적 회원 수 1만3000여 명을 기록하며 국내 ICT 4대 학회로 자리잡았다. 웨이비스는 이번 학술대회 홍보 부스를 통해 올해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인 0.2㎛ 공정 기반 X-밴드 질화갈륨 반도체 고주파 집적회로(MMIC) 파운드리 서비스를 선보였다. X-밴드(8~12㎓) 주파수 대역은 첨단 무기체계와 안티드론 솔루션, 차세대 6G 위성통신 등 활용 범위가 넓어 관련 산업 확장성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웨이비스는 지난 6월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에서 X-밴드 고출력 전력증폭기(HPA) MMIC 시연에 이어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X-밴드 스위치 MMIC까지 선보이며 국방 반도체 국산화 성과를 강조했다. 동시에 연구기관과 학계에 파운드리 서비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BGT60ATR24C XENSIV 60GHz 레이더 MMIC(monolithic microwave IC)를 공급한다고 30일 밝혔다. 초광대역 FMCW(Frequency-Modulated Continuous-Wave) 동작을 이용하는 BGT60ATR24C는 미세한 움직임까지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어린이 감지, 운전자 모니터링 및 승객유무 감지와 같은 다양한 수동적 안전(passive safety)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초단거리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설계된 BGT60ATR24C는 동급 최상의 지터 성능과 초저전력 소모, 광대역 동작 및 견고성을 갖추고 있어 차량의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에 매우 적합하다. 현재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인피니언의 BGT60ATR24C는 58GHz~62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완벽한 통합 레이더 트랜시버다. 이 MMIC는 2개의 송신 채널과 4개의 수신 채널, 잡음이 적은 PLL(phase locked loop), 통합 안티 앨리어싱 루프 필터, 시퀀서 및 램프 발생기용 유한 상태기(finite state machine, FSM)를 비롯해 ADC(analog-to-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빠르고 정확한EVM 측정값을 생성하고 5G 콤포넌트 설계 특성화를 50%까지 가속화하는 최초의 미드레인지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VNA)인 키사이트 E5081A ENA-X를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초저지연 데이터 속도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더 높은 무선 주파수(RF)에서 작동해야 한다. 5G NR(New Radio) 송신기가 이러한 운영상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려면 RF 엔지니어는 전력 앰프(PA)와 같은 구성 요소의 설계와 성능을 완벽하게 테스트해야 한다. 현실적인 조건에서 PA 측정값을 얻으려면 여러 장비와 테스트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5G 표준에 대한 PA 적합성을 인증하는 데 필요한 정확한 EVM 측정값을 얻으려면 고성능 VNA를 사용해야 한다. 새로운 키사이트 ENA-X는 단일 테스트 설정에서 테스트 중인 디바이스(DUT) 평면에 전체 벡터 보정을 제공하는 통합된 변조 왜곡 분석이 적용된 중간급 네트워크 분석기 플랫폼을 RF 엔지니어에게 제공해 이러한 요구를 해결한다. 고유한 아키텍처를 갖춘 ENA-X는 단일 연결로 다중 측정을 수행할 수 있어 테스트 설정
헬로티 조상록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레이더 및 탐색기용 핵심부품을 개발해 국산화에 성공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DMC융합연구단은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핵심부품인 질화갈륨(GaN) 반도체 전력증폭기 집적회로(MMIC)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최신형 전투기에 장착되는 AESA 레이더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상물까지의 거리나 위치, 모습을 탐지할 수 있어 전투기의 두뇌라고도 불린다. 레이더 앞부분에 부착된 수천 개의 송·수신 모듈 덕분이다. 송·수신 모듈은 스위치, 전력증폭기(PA), 저잡음증폭기(LNA) 등 반도체 칩을 집적해 제작된다. 연구진이 개발한 부분은 X-대역(8~12GHz 대역. AESA 레이더용으로 쓰임) 및 Ku-대역(12~18GHz 대역. 위성통신과 탐색기용으로 쓰임) 레이더 송·수신기용 전력증폭기 집적회로 기술이다. 전력증폭기는 송신 신호를 증폭시켜 원활한 신호처리 및 표적 탐지·추적을 가능케 하는 장비다. 최근 레이더가 진공관형 증폭기(TWTA) 방식에서 반도체형 전력증폭기(SSPA) 방식으로 변경되는 추세에 따라 전력증폭기 집적회로는 반도체 전력증폭기 국산화 필수 기술로 떠올랐다. 연구진의 X-대역 전력증폭기는 25W급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위성 통신 시스템은 동영상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복잡한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RF(무선 주파수) 출력 파워를 제공하는 동시에 신호가 이상적인 특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아시아 총괄 및 한국대표 한병돈)는 RF 파워와 신호 충실성(signal fidelity)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새로운 파워 증폭기 GMICP2731-10 GaN MMIC를 출시했다. 새로 출시된 이 디바이스는 마이크로칩 최초의 GaN(질화갈륨) MMIC(단일마이크로파집적회로)로, 상용 위성 및 방위 위성 통신, 5G 네트워크, 기타 항공우주 및 방위 시스템용으로 설계됐다. GMICP2731-10은 GaN-on-SiC (Silicon Carbide) 기술을 사용해 제작됐다. 27.5~31GHz 범위에서 3.5GHz 대역폭으로 최대 10W의 포화 RF 출력 파워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력부가효율은 20%, 소신호이득은 22dB, 반사손실은 15dB다. GMICP2731-10은 균형 잡힌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있어 50옴(ohm)에 잘 매칭되며, 설계
[첨단 헬로티] 코르보(Qorvo) 제품의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코르보의 Custom MMIC 전 제품 라인을 마우저 웹사이트를 통해 주문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코르보의 Custom MMIC 제품군은 광범위한 항공 우주, 방위 및 상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고성능 질화갈륨(GaN) 및 갈륨비소(GaAs) MMIC(모놀리식 마이크로파 집적 회로)로 구성돼 있다. 코르보는 전 세계의 사람과 사물을 연결하는 혁신적인 RF 및 mmWave 솔루션 부문을 주도하는 제조업체로, 최근 Custom MMIC를 코르보 IDP(인프라 ·국방 제품) 그룹으로 인수하였다. Custom MMIC의 제품 추가로 코르보의 솔루션 포트폴리오는 더욱 강화되어 전체 RF 신호 체인 공급과 함께 국방 분야에는 위성 통신, 마이크로파 테스트 장비, 전자전 및 첨단 위상 배열 레이더를 제공하게 됐다. 마우저에서 공급하는 코르보의 Custom MMIC 제품 라인은 다양한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해 작은 크기와 저전력 소비를 요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유용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현재 입고되어 있는 CMD264P3 6–18 GHz LNA(저잡음 증폭
[첨단 헬로티] 자회사인 울프스피드(Wolfspeed) 사업 강화 기대 LED 및 RF칩 업체인 Cree이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RF 전력 사업을 약 4억 3,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이는 Cree의 자회사 인 울프스피드(Wolfspeed)의 4G와 5G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Cree는 2016년 울프스피드를 인피이언에 8억 5,000만 달러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지만, 2017년 무산된 바 있다.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으로 이 협상을 반대했기 때문이다. Cree 관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기술 설계, 패키징 기술, 제조 기술, 고객 등의 측면에서 울프스피드의 관련 사업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피니언의 RF 전력 사업은 LDMOS 및 GaN-on-SiC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전력 증폭기용 트랜지스터 및 MMIC(모놀리식 마이크로파 집적 회로)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Cree의 그렉 로이(Gregg Lowe) CEO는 "이번 인수는 Cree의 성장 전략의 중요한 요소이며, 울프스피드가 빠른 4G와 5G로의 전환을 가능하게하는 기술 개발을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InnoSenT와 24GHz ISM band 대역으로 동작하는 표면 실장 레이더(SMR) 동작 감지 모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InnoSenT의 SMR 시리즈는 인피니언의 24GHz 트랜시버 MMIC, BGT24LTR11을 탑재했다. BGT24LTR11은 24GHz~24.25GHz ISM 대역으로 동작하며, 위상 잡음이 낮은 VCO와 VCO 안정화를 위한 온도 보정 회로 및 ESD 보호가 칩 내부에 포함돼 있다. 200GHz 바이폴라 SiGe:C 기술인 B7HF200, 3.3V의 단일 전원 전압을 특징으로 한다. 인피니언의 MMIC는 InnoSenT SRM 시리즈의 핵심이다. SMR 시리즈는 매우 컴팩트해 공간 제약적인 시스템에 수월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보안, 홈 오토메이션, 조명 제어, 지능형 기계 제어, 터치 프리 스위치, 동작 감지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InnoSenT 관계자는 “SMR 시리즈는 동작 감지 시스템에 레이더를 사용하면 수동 적외선(PIR) 기술과 비교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며 “정밀한 물체 감지에 따라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와 방향 감지와 같은 추가적인 기
신호 처리 어플리케이션용 고성능 반도체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인 아나로그디바이스는 분산 전력 증폭기(distributed power amplifiers)인 HMC1127과 HMC1126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를 출시했다. 2~50GHz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전력 증폭기 die는 대역 간 RF 스위치가 필요 없어 시스템 설계가 간소해지고 성능은 향상된다. 각 증폭기는 내부적으로 50Ω으로 매칭된 I/O를 포함해서 멀티칩 모듈로의 통합이 수월하다. 칩 내부는 다이와 길이 0.31mm(12밀), 지름(wire bonds)이 0.02mm(1밀)의 와이어 본드로 연결되어 있다. GaAs(gallium-arsenide) pHEMT(pseudomorphic high-electron mobility transistor)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HMC1126과 HMC1127는 계측, 마이크로파 무선, 및 VSAT 안테나, 우주항공 및 방위 시스템, 통신 인프라, 광섬유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김희성 기자 (el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