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의료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기업 와이즈에이아이(대표 송형석)가 환자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진료 안내부터 상담, 예약까지 수행하는 인공지능 통화 서비스 ‘AI콜(AI Call)’을 출시했다. ‘AI콜’은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의 자연어 대화 기술을 활용해 환자의 문의에 실시간으로 응답하고, 진료 예약까지 자동으로 완료하는 차세대 의료 아웃바운드 솔루션이다. 기존 ‘덴트온(DentON)’과 ‘에이유(AU)’ 고객 대상으로 우선 적용되며, 추가 비용 없이 순차 제공된다. 기존 병원용 AI 전화 시스템은 복잡한 ARS(자동응답) 구조로 인해 환자의 질문을 인식하지 못하고 단순 안내에 그쳐 예약 전환율이 낮았다. 반면 ‘AI콜’은 환자의 발화 의도를 정확히 파악해 진료 시간, 위치, 비용, 예약 가능 일정 등을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안내하고, 대화형 예약과 키패드 입력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특히 환자별 시술 단계나 병원 운영 정책에 맞춰 개인화된 멘트를 제공함으로써 예약 중도 이탈률을 낮추고 예약 완료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AI가 직접 예약 과정을 주도하기 때문에 복잡한 절차 없이 음성만으로 예약이 가능하며, 대화 후 모든 통화 내용이 자동 요약돼 병원 관
환경성과서 다소 주춤했으나 경제간섭 기여성과 및 사회성과서 대폭 성장해 SK텔레콤(이하 SKT)이 AI∙ICT 기술 기반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전년 대비 높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 SKT는 2022년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SV) 측정 결과 2조4927억 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 2021년 2조1062억 원 대비 18.4% 높은 성과를 거뒀다고 8일 밝혔다. SK텔레콤의 전년 대비 성장세는 AI 돌봄과 AI콜 등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보이스피싱 수발신을 차단해 고객의 피해를 줄이는 기술 등이 견인했다. SK텔레콤은 자사가 보유한 ICT 인프라와 폭넓은 고객 접점을 활용해 사회 안전망 구축과 온실가스 감축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지난 2018년부터는 사회적 가치를 화폐화해 측정하고 있다. SK텔레콤의 ‘22년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는 영역별로 경제간접 기여성과가 전년 대비 0.3% 증가한 1조9277억 원, 환경성과는 2.7% 감소한 -1111억 원, 사회성과는 131.3% 증가한 6761억 원으로 집계됐다.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고용 확대와 사업군별 경영실적 등을 통해 높은 실적을 거둔 202
서울시 AI안부확인서비스 사업… 전체 25개구의 76%가 SKT ‘누구 비즈콜’ 선택 AI콜로 대상자에 주 1회 안부 확인, 동과 연계해 담당자가 불편 사항 확인·케어 SK텔레콤은 서울시 AI 안부확인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누구 비즈콜(NUGU bizcall)'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서울 각 구별로 원하는 회사의 AI콜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는 경쟁참여 사업에서 전체 25개 지역구 중 76%의 구와 계약을 맺은데 따른 것이다. 서울시 AI 안부확인서비스는 AI콜을 활용해 1인 가구 등 대상자에게 1주 1회 전화로 안부를 확인하고, 자치구 내 행정동과 연계해 필요시 담당자가 직접 해당 가구를 확인·케어하는 서비스다. 사업 기간은 올해 10월부터 내년 말까지로, 이번 사업에는 SKT를 포함한 3개 업체가 자사의 AI call 플랫폼으로 참여했으며, 동일한 예산 하에 각 구 별로 원하는 회사의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는 경쟁 참여 형태로 진행됐다. 누구 비즈콜의 가장 큰 특징은 대상자의 안부 확인을 위한 시나리오를 구에서 필요한 내용으로 직접 작성할 수 있으며, 대상자 특성에 맞게 발화 속도를 조절하거나 남·여 페르소나를 변경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