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무력 충돌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9일 석유공사, 가스공사와 함께 긴급 상황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 강경성 2차관은 해당 사태와 관련한 국내 석유·가스 수급 현황과 국내외 유가 영향 등을 점검하기 위해 회의를 열었다. 산업부는 분쟁지역이 국내 주요 원유‧가스 도입경로인 호르무즈 해협과 거리가 있어 국내 원유·액화천연가스(LNG) 도입에 차질이 없는 상황이며, 현재 중동 인근에서 항해 또는 선적 중인 유조선 및 LNG 운반선이 모두 정상 운항 중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또한, 국내 석유와 가스의 비축량 현황을 확인하고 국내 수급 비상상황에 대비한 대비태세를 점검했다. 이번 사태의 영향으로 10월 9일 국제유가는 전 거래일 대비 약 3.6% 상승한 $87.70/B(브렌트유, 오전 9시 기준)를 기록하는 등 단기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후 유가의 상승세 지속 여부는 이스라엘 주변 산유국의 대응 등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석유공사, 가스공사와 이전 중동의 분쟁 사례와 현재 국제정세 등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이번 사태에 따른 석유 및 가스 가격의 다양한 시
[첨단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석유업계 지원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석유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석유수입·판매부과금 징수유예 등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 정부는 국내 석유업계가 직면하고 있는 자금부담 문제, 석유 저장 공간 부족 문제 해결에 나섰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지원결정은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 석유수요 감소 등의 여파로 국내 석유업계가 경영상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해 시행됐다. 정부는 국내 석유업계가 직면하고 있는 ▲급격한 실적악화로 인한 일시적 자금부담 문제 ▲석유 저장 공간 부족 문제 등의 해결을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정부는 4~6월분 석유수입·판매부과금 징수를 90일간 유예해 부과금을 납부하는 54개 석유사업자의 자금 부담을 완화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3개월간의 징수유예를 통해 9천억 원 규모의 납부부담 완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석유공사는 우리 석유 업계의 저장 공간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공사의 여유 비축시설을 최대한 활용하여 저장탱크 임대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l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에너지 공기업 R&D 협의회'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에너지 공공기관이 자체 연구개발 예산을 정부 연구개발사업에 적극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전, 한수원 등 5개사는 미션이노베이션 선언 이행을 위해 2021년까지 청정에너지 분야 연구개발 투자를 3천억 원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미션이노베이션은 파리 기후총회(COP21) 계기에 한국을 포함, 미국, 인도 등 21개국이 5년 내 청정에너지 부문의 R&D 공공투자를 2배 이상 확대하기로 한 선언이다. 한전, 한수원, 석유공사, 가스공사를 비롯한 산업부 산하 19개 에너지 공공기관은 에너지 기술개발 관련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에너지 공기업 R&D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 협의회에 참석한 19개 공공기관은 자체 연구개발(R&D) 예산을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적극 투입해 공공부문의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투자 연계성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일대일로 투자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은 올해 116억 원에서 내년 200억 원으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