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금 없이 친환경 차량 호출 가능한 부가기능 '이온타다(iONTADA)' 출시 블록체인 모빌리티 플랫폼 엠블의 라이드헤일링 부문 자회사인 타다(TADA)가 싱가포르 미드뷰 시티에 '타다 스테이션'을 최초로 오픈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한 출범식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타다 스테이션 출범식에는 에이미 코르 싱가포르 국무부 교통부 장관을 포함한 정부관계자 및 우경식 엠블랩스 총괄 대표, 김석진 타다 대표 등이 참석했다. 타다는 싱가포르 및 캄보디아, 베트남에서 200만 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는 승차 공유 플랫폼이다. 타다 스테이션은 타다 승차 공유 플랫폼 및 전기차량을 이용하는 운전자가 ▲ 전기차 배터리 충전 ▲ 차량수리 및 각종 CS 지원 ▲ 커뮤니티 센터 등 다양한 업무를 처리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원스톱 드라이버 센터로 운영될 예정이다. 타다 스테이션은 타다 운전자들에게 더욱 폭넓고 다양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 더욱 향상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해 엠블 모빌리티 생태계 전체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운영된다. 특히 타다는 이날 출범식에서 친환경 차량 호출 옵션인 '이온타다(iONTADA)'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타다와 함께 운영하는 제주도 최초 유상 운송 서비스...이달 15일부터 승객 첫 탑승 자율주행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가 국내 최장거리 자율주행 유상 운송 서비스를 선보인다. 라이드플럭스는 제주공항에서 중문관광단지 사이 왕복 76km를 오가는 자율주행 유상 운송 서비스를 15일 시작한다고 밝혔다. 제주공항과 중문관광단지 인근의 4개 정류장(신라호텔, 롯데호텔,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중문초등학교)을 이동하려는 승객 누구나 '타다' 앱 내 타다 에어 메뉴에서 '제주 자율주행'을 클릭해 예약할 수 있다. 요금은 1인당 8000원이며 최대 4인까지 예약 가능하다. 라이드플럭스는 완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제주에서만 4000시간 이상 데이터를 수집해 고도화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해왔다. 지난해 말부터는 제주공항과 중문관광단지 사이 구간에서 자율주행 기술 검증을 시작했으며, 자율주행 운행 테스트만 380회 가량 실시하는 등 기술 안전성을 검증해왔다. 도내 최초의 유상 운송이 이뤄지는 이번 서비스엔 라이드플럭스만의 고난도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됐다. 여기에 모빌리티 혁신 서비스 '타다'의 운영사인 브이씨엔씨의 운영 노하우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토스가 모빌리티 스타트업 타다를 인수하며 금융 서비스 확장을 추진한다.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는 쏘카가 보유한 타다 운영사 VCNC 지분 60%를 인수하기로 하고 3사 간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타다는 현재 개인·법인 택시 플랫폼 가맹사업 '타다 라이트'를 운영 중이다. 승합차 호출 서비스를 2018년 선보이며 이름을 알렸으나, 지난해 4월 이른바 '타다 금지법'으로 불린 여객자동차운송사업법 개정을 계기로 서비스를 중단했다. 토스는 타다를 인수해 동남아 '그랩'처럼 핀테크와 모빌리티 서비스의 시너지를 노린다는 전략을 세웠다. 현재 국내 모빌리티 시장은 카카오의 카카오T가 사실상 장악한 상황에서 SK텔레콤과 우버가 손잡은 우티(UT) 등이 도전하는 형국이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택시 호출 앱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카카오T가 1016만 명에 달했다. 우티는 86만 명, 타다는 9만 명이었다. 토스는 직접 모빌리티 시장에 뛰어들어 기존 사업자와 경쟁하기보다 토스 결제 등 금융 사업의 외연을 확장하는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스 관계자는 "모빌리티와 핀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