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맥스소프트가 최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위한 프레임워크 전략’을 제시하는 고객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유연하고 민첩한 차세대 시스템에 필요한 비즈니스 프레임워크(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솔루션의 결합)와 그 도입 성공사례를 소개하는 세션이 진행됐다. 새로운 비즈니스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는 시스템 수요가 높아진 가운데, 행사에 참석한 100여 명의 고객들은 그 어느 때보다 티맥스소프트의 프레임워크 기술과 성능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회사는 전했다. 단순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이전)이 아닌, 구조적인 현대화 전략의 해법이 될 프레임워크 솔루션의 차별성과 특장점이 주목받았다. 이형용 티맥스소프트 대표이사는 인사말에서 글로벌 플랫폼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도약하는 회사의 견실한 로드맵을 강조하고, 디지털 경쟁력을 극대화하려는 고객의 목표에 더욱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자바(Java) 기반 ‘프로오브젝트(ProObject)’, C 버전 ‘프로프레임(ProFrame)’을 인공지능(AI)·클라우드 시대의 프레임워크 솔루션으로 자리매김 시키고 지속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티맥스소프트는
오라클이 자바의 최신 버전 자바 23(Java 23)을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자바 23은 개발자 생산성을 개선하고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수천 가지 개선 사항을 제공한다. 또 플랫폼 성능, 안정성 및 보안이 향상돼 기업의 비즈니스 성장 가속화를 지원한다. 아르날 다야라트나 IDC 소프트웨어 개발 담당 연구 부사장은 “자바는 점점 더 다양해지는 기업의 최신 애플리케이션 개발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며 “신규 릴리스는 개발자가 툴셋을 확장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AI 등 혁신 기술을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축 및 제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자바는 6개월마다 새로운 혁신 기능을 제공해 개발 팀이 기업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돕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바 23은 개발자를 위해 추가된 새로운 개선 사항 및 기능에 더해 기업에도 상당한 가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자바 23은 자바 관리 서비스(Java Management Service, JMS) 9.0의 최신 GA에서 지원된다.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 네이티브 서비스인 JMS 9.0은 통합 콘솔 및 대시보드를 제공해 온프레미스
VMware Korea가 개발자 행사 ‘한국 스프링 밋업(Korea Spring Meetup)’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지난 22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행사에는 약 250명의 국내 데브옵스(DevOps) 전문가, 소프트웨어 리더가 참석해 쿠버네티스 환경에서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앱 개발에 관해 논의했다. 한국 스프링 밋업은 쿠버네티스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VMware Tanzu 팀이 국내 개발자들의 개발 경험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진행하는 행사다. 스프링(Spring)은 속도, 단순성, 생산성에 초점을 맞춘 자바(Java) 프레임워크로, VMware는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스프링의 최신 업데이트 발표와 실시간 데모 시연,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스프링 개발자 애드버킷(Advocate)이자 자바 챔피언인 조쉬 롱(Josh Long)이 특별 연사로 참여해 ‘새로운 스프링,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신규 스프링 기능을 발표했다. VMware Korea의 CTO 앰배서더(Ambassador) 신혜원 상무와 Tanzu 솔루션 엔지니어 홍기성 부장은 스프링 클라우드 및 스프링 클라우드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설명하고 데모
"인텔리전스 클라우드,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로 자바 시장의 표준될 것" 글로벌 자바 플랫폼 기업으로 알려진 아줄시스템즈의 한국지사인 아줄시스템즈코리아가 당사의 비즈니스 로드맵을 발표했다. 아줄시스템즈코리아는 지난 24일 서울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바 소프트웨어(SW) 시장현황과 함께 과도한 클라우드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솔루션 소개와 향후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오늘날 클라우드에 대한 기업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 수의 기업이 구체적인 전략의 부재로 초기 예상보다 많은 클라우드 운영 비용으로 인해 기존 시스템보다 많은 비용 부담을 지고 있다. 아줄시스템즈코리아 권범준 대표는 이를 '클라우드의 역설'이라고 언급했다. 벤처캐피탈 업체인 안드레센 호로위츠가 발표한 '클라우드의 비용, 1조 달러 패러독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상위 50개 공공 SW 기업을 분석한 결과 클라우드 서비스 비용으로 1000억 달러 가량의 시장가치가 손실된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많은 실무자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가 확대될 경우 클라우드 비용은 기존 인프라 구축 및 운용 비용 대비 최소 2배 예상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