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인공지능(AI) 창업 초기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투자방안 마련에 나섰다. 이를 위해 9월 18일 서울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서 현장 간담회를 열고 모험적이고 지속적인 재원 확보 및 투자 모델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서 대통령 주재 ‘국민성장기금 국민보고대회’에서 30조 원 이상의 AI 투자계획을 발표하고, 국가 AI 전략위원회 출범과 청년 창업 상상콘서트 등을 통해 딥테크 창업과 AI 기업 지원 의지를 강조해왔다. 이번 간담회는 관계 부처 장관으로서는 처음으로 배경훈 장관이 직접 AI 스타트업 현장을 찾아 모험적인 투자 방안을 모색한 자리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8월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 ‘AI 스타트업 투자 및 지원 활성화 간담회’ 등을 개최해 초기 소규모 AI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해왔다. 이후 기술력과 잠재력을 갖춘 기업을 발굴하기 위한 ‘혁신가 경진대회(가칭, 이노베이터 챌린지)’를 추진하기로 했다. 경진대회는 연말까지 10팀 이내 수상기업을 선발하며, 벤처투자사,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 AI 기술 및 창업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심사위원이 참여해 객관적 평가를
AI 투자, 지난 2013년 32억 달러에서 2021년 935억 달러로 급증해 전 세계가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달아오른 가운데 오는 2025년에는 AI 기술에 대한 글로벌 민간투자 규모가 1600억 달러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인 조지프 브리그스와 드베시 코드내니는 최근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고 미국 매체 폭스비즈니스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에 대한 전 세계의 민간 투자는 2022년 919억 달러에서 올해 1102억 달러, 2025년 1584억 달러로 향후 3년간 극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는 AI 관련 투자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출발했다는 점도 주목했다. 2013년만 하더라도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엔비디아, 구글 클라우드, 아마존 웹 서비스를 포함한 AI 투자는 세계적으로 32억 달러(약 4조2800억 원)에 불과했으나 2020년 482억 달러, 2021년 935억 달러로 단기간에 급증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특히 미국이 AI 투자를 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내 AI 민간 투자 규모는 지난해 전 세계 919억 달러 가운데 절반 이상인 474억 달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