쿤텍이 지난 9월 마쿠하리 멧세와 10월 포트 멧세 나고야에서 개최된 ‘오토모티브 월드 2025 시리즈’에 연이어 참가하며 일본 시장 공략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쿤텍은 이번 전시에서 Level 4 가상화 솔루션 ‘패스트브이랩스(FastVLabs)’를 중심으로 일본 완성차 및 부품 업계와의 기술 협력 기반을 확대했다. ‘오토모티브 월드 2025 시리즈’는 완성차, 부품,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공유하는 글로벌 전시회다. 해당 행사에서 쿤텍은 임베디드 하드웨어 완전 가상화 플랫폼 ‘패스트브이랩스’를 선보이며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Software Defined Vehicle, SDV)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혁신 기술을 소개했다. 이 솔루션은 실제 하드웨어 없이 개발자 PC에서 임베디드 타깃 바이너리를 그대로 실행·검증할 수 있는 Level 4(Full-Virtualization) 기반 ECU 개발·검증 플랫폼으로, ARM, PowerPC, TriCore 등 다양한 SoC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또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고정밀 가상화 환경과 CI/CD 연동 자동 테스트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며 테스
[첨단 헬로티]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Keysight Technologies)는 난 1월 15일부터 17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된 ‘오토모티브월드 2020’에 참가해 자율주행차, 전기차, 커넥티드 카 등 오토모티브 관련 분야를 지원하는 테스트 측정 솔루션을 다수 공개했다. 자동차가 전장화가 되면서 오토모티브에 전 분야의 기술이 요구되는 가운데, 키사이트는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오토모티브 모든 분야에 솔루션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키사이트는 이번 전시회에서 오토모티브 토탈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커넥티드 카 솔루션 ▲자율주행 솔루션 ▲E-모빌리티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키사이트 5G C-V2X 테스트 장비 키사이트 커넥티드 카 솔루션인 오토모티브 사이버 보안 솔루션은 하드웨어를 DUT(Device Under Test)에 연결해 공격을 시뮬레이션하고 취약성과 심각성을 보고하고 수정을 권장하는 종합적인 자동 보안 솔루션이다. 키사이트 자율주행 솔루션인 오토모티브 이더넷 솔루션은 BroadR-Reach, 100Base-T1 및 1000Base-T1 표준을 비롯한 컴플라이언스 테스트에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케이블 및 액
[첨단 헬로티] 로옴(ROHM)은 지난 1월 15일부터 17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된 ‘오토모티브월드 2020’에서 ADAS와 인포테인먼트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현한 콕핏(Codkpit) 시스템 데모와 전기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동시에 충전하는 기술인 ‘제3세대 주행 중 무선충전 인휠 모터’를 업계 최초로 공개해 주목 받았다. 로옴이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콕핏 타입 데모기는 실용화가 기대되는 오토모티브 시스템의 최신 기능이 모두 적용됐다. 클러스터 고장 시의 독자적인 알람 기능, 기능 안전에 대응하는 LCD 표시 솔루션, ADAS를 지원하는 음성 서포트 및 음성 출력을 지원하는 음성 합성 IC, 스피커 앰프 솔루션 등을 데모로 구현시켜 기술 이해력을 높였다. ▲로옴 부스에 전시된 콕핏 타입 데모 예를 들어, 로옴의 가속도 센서가 탑재된 자동차 스마트키는 움직이지 않을 때는 전력을 적게 사용해서 전지를 길게 유지시킨다. 자동차 도어는 로옴의 정전터치 기술이 탑재돼 도어를 바로 열거나 잠금(Lock)이 가능하고, 비가 내릴 때에도 정전터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운전자가 차량에 타서 본
[첨단 헬로티] 한미반도체는 지난 1월 15일부터 17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된 ‘오토모티브월드 2020’에서 ECU 오토 몰드 장비를 포함한 오토모티브 관련 장비를 대거 공개하며 글로벌 확대에 나섰다. 한미반도체는 차세대 자동차용 파워패키지를 위한 ‘오토모티브 ECU 오토 몰드’(Automotive ECU Auto Mold) 장비를 2010년부터 독일의 보쉬에 납품하고 있다. 참고로 보쉬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을 만드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ECU와 같이 기술적으로 높은 난이도를 요구하는 자동차용 반도체는 생명과 직결되다 보니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수율이 99.999%가 요구된다. ▲한미반도체 'ECU 오토 몰드’ 한미반도체 관계자는 “보쉬는 안전성에 있어서 매우 엄격하기로 유명한 기업이다. 한미반도체는 이런 보쉬의 품질사항을 통과함으로써 지난 10년간 독점으로 오토 몰드 장비를 공급해오고 있다. 현재 보쉬 독일 본사를 비롯해 보쉬 헝가리, 보쉬 중국, 보쉬 인도 등 글로벌 생산기지에 우리의 장비가 납품되고 있다”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국내 팹리스 기업인 텔레칩스(Telechips)는 지난 1월 15일부터 17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된 ‘오토모티브월드 2020’에 참가해 올해 4월 인포테인먼트 뿐 아니라 운전자지원시스템(ADAS)까지 커버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돌핀3(Dolphin 3)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텔레칩스는 오토모티브 시장 경쟁력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콕핏 시스템은 디지털계기판(클러스터), 헤드-업-디스플레이, 인포테인먼트(IVI) 등을 주로 승용차 1열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 탑재되는 시스템을 뜻한다. 텔레칩스는 콕핏 시스템을 지원하는 돌핀플러스(TCC803x)를 2018년에 출시해 이미 여러 자동차 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텔레칩스 돌핀플러스 기반의 클러스터 데모 돌핀플러스는 ARM Cortex-A53 쿼드 또는 듀얼 코어를 기반으로 한 14나노(nm) SoC로, 생생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위해 2D와 3D 그래픽 엔진을 제공한다. 또 돌핀플러스는 자동차 등급의 안드로이드와 리눅스 운영체제 모두 대응 가능하다. 텔레칩스가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데모는 IVI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사
[첨단 헬로티] ▶▷넵콘 재팬 마에조노 유희 사무국장 리드 익스히비션 재팬(Reed Exhibition Japan)이 주최하는 전시회 <제 34회 넵콘 재팬: NEPCON Japan>가 1월15일부터 17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역대 최대규모로 개최됐다. 넵콘 재팬을 기획한 마에조노 유희 사무국장을 만나 전시회 기획 배경과 시장 동향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봤다. Q. 올해 넵콘 전시회의 참가 기업이 전년 보다 늘어났다. 다른 산업 전시회는 정체하거나 감소하는 분위기인데, 증가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넵콘 전시회는 작년에 1895개사가 참가했고, 올해는 200개사가 증가해 총 2104개사가 참가했다. 넵콘은 방문자가 원하는 전시회를 만들고자 한다. 즉, 방문자가 많기 때문에 출전기업이 많아지고, 반대로 출전 기업이 많아 볼거리가 풍부해지면서 방문자가 많아지게 된다. 이런 ‘상생효과’로 인한 결과라고 본다. 우리는 올해 34회를 맞이한 만큼 역사가 오래된 전시회다. 그동안 산업 변화에 발맞춰 웨어러블, 로봇 전시회, 카일렉트로닉 등을 추가함으로써 신선한 전시회를 기획하도록 사무국에서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넵콘 전시회에
[첨단 헬로티] ▶▷오토모티브월드 소다 마사키 사무국장 리드 익스히비션 재팬(Reed Exhibition Japan)이 주최하는 전시회 <제 12회 오토모티브 월드: Automotive World>가 1월15일부터 17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역대 최대규모로 개최됐다. 오토모티브월드는 자동차 전자화, EV기술,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에 관한 기술을 가진 기업의 참가가 매년 증가하면서 자동차 기술 전시회로 전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오토모티브 월드 전시회를 기획한 소다 마사키 사무국장을 만나 전시회 기획 배경과 자동차 B2B 시장 동향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봤다. Q. 올해 오토모티브월드 전시회의 참가 기업이 전년 보다 늘어났는데, 증가한 이유가 무엇인가? 사무국이 기획을 잘한 것인지, 아니면 자동차 산업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으로 보는가? 올해 전시회에 참관 기업은 작년 대비 104개 기업이 증가돼 총 1104개 기업이 출전했다. 원래 예상대로는 300사가 더 추가될 예정이었는데, 올해 도쿄 올림픽이 개최될 예정으로 빅사이트 전시관 일부를 사용하게 되면서 오토모티브월드가 전시관을 모두 사용할 수 없게 됐고, 이런 이유로 참관사를 모두 수용할 수 없었
[첨단 헬로티] B2B 타겟으로 자동차 신기술 대거 소개 리드 익스히비션 재팬(Reed Exhibition Japan)이 주최하는 전시회 <제 12회 오토모티브 월드: Automotive World>가 1월15일 도쿄 빅사이트에서 역대 최대규모로 개최됐다. 본 전시회는 17일(금)까지 3일간 진행된다. 오토모티브월드는 자동차 전자화, EV기술,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에 관한 기술을 가진 기업의 참가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전시에는 신규 280사가 추가 되어 총 2100개의 기업이 참가했다. 지난해에는 6만5000여명의 참관객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에는 7만명이 전시회를 참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시회 기간동안 동시 진행되는 140세션의 컨퍼런스에서는 토요타, 닛산, 혼다, 마쯔다, 덴소, 보쉬,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BYTON, 디디(DiDi), MaaS 글로벌(MaaS Global) 등의 업계 리더들이 강연하며, MaaS(Mobility as a service), 자율 주행, EV, 5G, AI 등과 같은 자동차 산업의 최신 토픽을 다룰 예정이다. 특별히 2020년 오토모티브월드에는 오토모티브 소포트웨어 포럼과 스마트 모빌리티 스타트업 포럼,
[첨단 헬로티] 내년 1월과 2월 넵콘 재팬, 오토모티브월드와 나머지 세 개 전시회 분산 개최돼 전자산업과 자동차산업의 최신 기술이 총집결되는 넵콘 재팬과 오토모티브월드, 그리고 최근 2~3년 사이에 새롭게 합류한 스마트팩토리 엑스포, 로보덱스, 웨어러블 엑스포가 상호 시너지를 통해 매년 성장하고 있다. 이들 전시회가 이만큼 성장한 데에는 전시회의 성공을 치밀하게 준비해온 이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넵콘 재팬과 로보덱스, 웨어러블 엑스포를 담당하는 마에조노 사무국장과 오토모티브월드와 스마트팩토리 엑스포를 담당하는 마사키 소다 사무국장 인터뷰를 통해 이번 전시회의 전반적인 현황, 특징과 주요 컨퍼런스 기획의 주안점에 대해 들어봤다. ▲ 넵콘 재팬과 로보덱스, 웨어러블 엑스포를 담당하는 마에조노 사무국장 Q. 넵콘 재팬을 비롯, 이번 전시회에 대한 간략하게 설명해 달라. A. 미국에서 열리고 있는 CES가 완성품 중심의 전시회라면, 넵콘 재팬은 완성품을 만들기 위한 기술 부품, 제조 장치 등의 요소들이 전시되는 전시회다. 올해 전시회 규모가 작년보다 확대돼 개최됐다. 넵콘 재팬을 포함한 오토모티브월드, 스마트팩토리 엑스포, 로보덱스, 웨어러블 엑스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