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담, 생산업체가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거나 기업마진 희생하는 형태로 나타날 것" 한국투자증권이 "관세 부과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할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7일 채민숙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다시 출범할 경우 관세 정책이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울 가능성이 높지만, 반도체 생산의 현실적 구조를 감안하면 실제로는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채 연구원은 특히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은 오랜 시간 아시아 중심으로 구축돼 왔고, 미국 내 생산은 여전히 경제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낮다"며 "관세 부담은 결국 생산업체가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거나 기업 마진을 희생하는 형태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애플과 같은 미국 대표 기업이 트럼프 1기 당시처럼 예외 대상으로 지정될 경우,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역차별을 받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경우 한국 반도체 기업은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다. AI 분야와 관련해서도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AI 서버는 반도체를 포함한 대부분의 부품을 아시
ACM 리서치는 자사의 싱글 웨이퍼 고온 과산화황 혼합물(Sulfuric Peroxide Mixture, SPM) 장비가 중국의 주요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회사로부터 품질 평가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ACM은 13개 고객사에 자사의 SPM 장비를 공급했다. 이 시스템은 ACM 고유의 노즐 설계가 특징으로 SPM 공정 중에 황산 분진(acid mist)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입자 성능을 개선하고 챔버 예방정비 세정 빈도를 줄이며 시스템 가동 시간을 향상시킨다. 이 장비는 28나노미터(nm) 이하의 기술 노드에서 전공정과 후공정 모두에 대한 습식 식각 및 웨이퍼 세정을 지원한다. 데이비드 왕 ACM 리서치 사장 겸 CEO는 “싱글 웨이퍼 중온/고온 SPM 장비는 300mm 웨이퍼 반도체 양산 제조에서 고객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ACM의 혁신 노력을 잘 보여준다”며 “중온/고온 SPM은 특히 차세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고온 SPM을 통해 웨이퍼 세정 장비 시장에서 점점 더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고 말했다. ACM의 싱글 웨이퍼 중온/고온 SPM 장비는 섭씨 90°C의 중저온 황산 세정, 170°C의 고온 황산 포토레지스트 박리,
바스프가 지난 4일 경기도 안산에 전자소재 연구개발(R&D) 센터를 개소했다고 7일 밝혔다. 전자소재 분야의 연구개발 역량과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수원 R&D 센터를 바스프 안산공장 부지에 위치한 3층 규모의 새로운 시설로 확장 이전한 것이다. 바스프의 국내 전자소재 사업부는 새로운 터전에서 식각, 포토, 금속화학(Metalization Chemical) 등 반도체용 기능성 소재 개발에 집중해 첨단 반도체 제조 공정의 기술 및 품질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바스프 그룹 전자소재 사업부 총괄 로타 라우피흘러 수석 부사장은 이날 개소식에서 “새로운 전자소재 R&D 센터는 연구개발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켜 한국 고객과 더욱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혁신과 발전의 기회가 무궁무진하고 고객과 함께 한 단계 더 높은 R&D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옌스 리베르만 바스프 반도체 소재 부사장은 “이번 전자소재 R&D 센터 확장 이전은 차세대 반도체 및 전자소재 개발 분야에서 글로벌 연구개발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주요 시장에서 선도적인 칩 기술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바스프의 혁신적인 노력의 일환”이라
벡터코리아는 10BASE-T1S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2채널 인터페이스 ‘VN5614’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벡터의 VN5614는 오픈 얼라이언스(Open Alliance, 배터리 절전 및 대기 기능 표준) TC10 지원 및 저수준(low-level) 오류 보고 기능을 제공한다. VN5614는 소형 자동차 이더넷(Automotive Ethernet) 네트워크 표준 인터페이스인 10BASE-T1S 버스의 종합적인 분석, 시뮬레이션, 테스트 및 모니터링 솔루션이다. VN5614는 두 개의 독립적인 10BASE-T1S 버스를 연결할 수 있는 소형·다목적 인터페이스다. 유연한 액세스를 통해 복잡한 버스 시뮬레이션(remaining bus simulation)부터 패시브 계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용 사례를 지원한다. VN5614는 여러 개의 가상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 제어 장치)를 버스에 연결해 버스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더넷 패킷을 전송하거나 잘못된 패킷을 주입해 결함 주입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버스에 대한 심층적인 통찰력을 위해 물리계층 오류, 사이클 정보, PHY 레
충남대는 응용화학공학과 이경진·송우진 교수팀이 리튬이차전지의 무 용매 건식 전극 제조 기술 최신 연구 동향을 종합 정리한 리뷰 논문을 국제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 온라인에 게재했다고 4일 밝혔다. 건식 공정은 기존 습식보다 생산비 절감, 환경 영향 최소화, 두꺼운 전극 제조 용이성 등의 강점이 있어 차세대 전고체 전지나 전기차용 고성능 배터리 상용화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연구팀은 제조 기술 핵심 원리, 주요 공정 변수 및 소재 선택 기준, 최신 특허 및 논문 동향 등을 정리하고, 산업적 적용을 위한 6가지 핵심 연구 전략을 제시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3일 “전기자동차는 이제 하나의 생활 플랫폼”이라며 “한국 소비자들은 전기차에 대한 이해도가 아주 높다”고 밝혔다. 류 대표는 이날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관으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BYD는 올해 서울모빌리티쇼에 처음 참여해 국내 출시 두 번째 모델인 전기 세단 ‘실’을 공개했다. BYD가 지난 1월 사전 계약을 실시한 국내 출시 첫 모델인 ‘아토3’는 보조금 책정 지연으로 인도가 늦어져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류 대표는 이와 관련해 “어제 정부 보조금이 확정됐고 향후 며칠간 지방에서도 보조금이 확정될 것으로 본다”며 “한국 시장과 법규, 차주분들에게 의무와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맞춰나가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류 대표는 중국 브랜드와 관련한 국내 반감에 대해서는 “하나의 자동차 브랜드가 정착하려면 시간이 걸린다고 생각한다”며 “더 많이 소비자가 저희 제품을 알면서 인정하고 또 저희 제품으로 소비자의 주행이 편리해진다면 그것이 바로 정착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 진출을 결정하게 된 이유에 대해선 “삼성과 LG는 아주 좋은 협력사
LG화학이 이차전지 소재 중 하나인 분리막 사업에서 인력 재배치 등을 통한 효율화 작업에 나섰다.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과 중국 분리막 업체와의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악화한 데 따른 조치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LG화학은 충북 청주 분리막 공장에 대한 인력 재조정 작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성이 떨어지는 저속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하고, 상반기 중 저속 생산라인 인력들을 고속 생산라인으로 전환 배치해 생산 효율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분리막은 배터리의 폭발 방지를 위해 양극과 음극이 닿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LG화학은 캐즘으로 분리막 시장의 업황이 지속적으로 둔화하고 있는 데다 저가형 중국산 제품의 공급으로 고전하고 있다. 이에 당초 계획했던 사업 확장 역시 전면 재검토에 들어간 상태다. LG화학은 일본 도레이와 합작해 헝가리에 분리막 원단 라인을 설립할 예정이었으나, 관련 계획을 재고하고 있다. LG화학은 지난 2월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분리막의 경우 향후 업황 둔화, 평가 경쟁 심화가 지속적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헝가리 합작법인(JV) 증설 전면 재검토와 사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ASIC 설계 지원 서비스 중심으로 반도체 고객사 개발 역량 높일 것으로 보여 삼성전자가 HCL테크를 자사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프로그램인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SP)로 공식 선정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삼성전자는 차세대 주문형 반도체(ASIC) 설계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의 제품 개발 주기를 단축하며 시장 대응력을 높이게 됐다. SAFE 프로그램은 삼성의 첨단 파운드리 공정을 활용하는 고객사들이 효율적으로 반도체를 설계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 파트너들과 함께 구성된 생태계다. HCL테크는 이 프로그램 내 DSP로 참여하며, ASIC 설계 지원 서비스를 중심으로 반도체 고객사의 개발 역량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HCL테크는 글로벌 반도체 설계 서비스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SoC(System on Chip) 설계와 IP(지식재산) 파트너십에 있어 강점을 가진 기업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협업을 통해 HCL테크의 기술인력에게 첨단 설계 기술을 교육하고, MPW(Multi-Project Wafer) 프로그램을 통한 시제품 생산과 프로토타이핑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한 모빌리티 경험 제공할 계획 LG전자가 기아와 손잡고 차량을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개인 맞춤형 공간으로 확장하는 미래 모빌리티의 비전을 구체화했다. 양사는 3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현장에서 ‘PBV 기반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구현을 위한 비즈니스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첫 공동 결과물로 ‘슈필라움 스튜디오’와 ‘슈필라움 글로우캐빈’ 콘셉트카를 공개했다. 이번 협업은 LG전자의 인공지능 기반 공간 솔루션 역량과 기아의 PBV(Platform Beyond Vehicle) 기술력을 결합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한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데 초점을 맞췄다. PBV는 단순한 차량을 넘어, 업무 공간, 휴식 공간, 엔터테인먼트 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진화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공개된 ‘슈필라움(Spielraum)’은 독일어로 ‘놀이 공간’을 의미하며, LG전자의 AI 가전이 탑재된 기아의 PV5 차량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이다. 사용자들은 각자의 생활 방식에 맞춰 가전과 가구를 조합해 차량 내부를 자신만의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슈필라움 스튜디오’는 1인 창업자나 프리랜서
이전 세대 대비 평균 1.9배 향상된 성능 기록...최신 AI 워크로드에 최적화해 인텔이 자사 최신 서버용 CPU인 ‘인텔 제온 6 P-코어’의 AI 성능을 MLCommons의 공식 벤치마크인 MLPerf 추론 v5.0을 통해 입증했다. 이번 결과는 AI 시스템의 핵심 컴퓨팅 플랫폼으로서 CPU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는 계기가 됐다. MLPerf는 AI 분야에서 권위 있는 성능 평가 지표 중 하나로, 인텔은 해당 벤치마크의 최신 버전에서 주요 여섯 가지 테스트 항목을 기반으로 AI 성능을 측정했다. 그 결과, 제온 6는 이전 세대 대비 평균 1.9배 향상된 성능을 기록하며 최신 AI 워크로드에 최적화한 CPU임을 증명했다. 카린 엡시츠 시갈 인텔 데이터센터 및 AI 그룹 부사장은 “인텔 제온 6는 고성능과 에너지 효율의 균형을 동시에 달성한 제품”이라며 “세대별 성능 향상이 꾸준히 이어지며 AI 시스템에서 CPU의 역할이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인텔은 이번 MLPerf 추론 벤치마크에서 서버용 CPU 성능 결과를 제출한 유일한 반도체 기업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받았다. 이는 인텔이 AI용 CPU 시장에서 독자적인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인 ‘2025 서울모빌리티쇼’가 4∼13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렸다. 올해 30주년인 2025 서울모빌리티쇼는 ‘모빌리티, 에브리웨어’(모빌리티, 모든 곳에)를 주제로 전 세계 12개국 451개 기업·기관이 참가한다. 전시회에서는 육(자동차), 해(선박) 공(UAM·도심항공교통) 등 다양한 이동 수단과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 기술 콘텐츠가 전시된다. 세계 최초 5종, 아시아 최초 2종, 국내 최초 14종의 신차도 공개됐다.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개막식에서 “우리가 가진 기술력과 도전정신, 협력의 힘으로 통상 파고를 이겨내자”며 “정부도 자동차산업 긴급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위기 극복을 위해 우리 산업인 여러분과 끝까지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매칭된 저항을 통합해 이득 설정을 구성하는 TSC1801 로우-사이드 전류 측정 증폭기를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제품은 회로 설계를 간소화하고 부품원가(BOM)를 절감하며 온도 범위 전반에 걸쳐 0.15% 이내의 높은 이득 정확도를 보장한다. 고정 이득을 통해 외부 저항에 대한 생산 공정 트리밍도 제거한다. TSC1801은 매우 높은 정밀도와 넓은 대역폭을 갖춰 모터 제어, 태양광 전력 컨디셔닝, 고대역폭 전류 감지, 자동차 전력 컨디셔닝 등에 사용된다. 20V/V의 이득 값을 제공하는 첫 번째 모델에 이어 5V/V 및 50V/V 모델도 출시될 예정이다. 양방향 전류 감지를 지원하는 이 증폭기는 낮은 공통 모드 전압에서 정밀 저저항 션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됐다. 또한 로우 사이드 전류 감지에 특화된 전용 아키텍처를 채택해 0.5% 미만의 총 출력 오류와 최대 ±200μV의 오프셋 전압 등 정밀한 파라미터 제어가 가능하다. 정격 2.1MHz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TSC1801은 고주파수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도 펄스 단위의 정밀 전류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모터 드라이브에서 보다 원활하게 토크를 조정해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의 정밀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기반 ADIS1657x 관성측정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모듈을 공급한다고 3일 밝혔다. 3축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를 내장한 ADIS1657x MEMS IMU는 공장 및 산업 자동화를 비롯해 건설 장비와 스마트 농업, 무인 및 산업용 자율 로보틱스 애플리케이션에서 내비게이션, 안정화, 계측 기능 등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내구성을 제공한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ADI의 ADIS1657x MEMS IMU 모듈은 가장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최적의 동적 성능을 제공하는 통합 신호 컨디셔닝과 3축 자이로스코프 및 3축 가속도계를 포함하고 있다. ADIS1657x는 2,000g의 기계적 충격 내성을 갖추고 있으며, 출고 전 공장 보정을 통해 각 센서의 감도와 바이어스 및 정렬을 강화했다. ADIS1657x 모듈은 SPI 호환 데이터 통신과 3축 델타 각도 및 델타 속도 출력을 통한 맞춤형 프로그래밍 기능을 비롯해 자동 및 수동 바이어스 보정 제어, 동기식 데이터 수집을 위한 데이터 기반(data-r
에이수스 코리아는 최신 4세대 QD-OLED 패널을 기반으로 240Hz 주사율, 4K 해상도의 스펙을 갖춘 게이밍 모니터 ‘ROG Strix OLED XG27UCDMG’을 3일 공개했다. ROG Strix OLED XG27UCDMG는 게이밍 뿐만 아니라 컨텐츠 및 일상 사용을 위한 모니터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위한 모니터로, 4K 해상도에 240Hz라는 높은 주사율을 가지고 있다. 인치당 166ppi의 높은 픽셀 밀도를 갖춘 4세대 ROG QD-OLED 기술을 탑재해 선명한 이미지 및 깨끗한 폰트 표현이 장점이다. 4세대 ROG QD-OLED 패널을 기반으로 하는 ROG Strix OLED XG27UCDMG는 OLED 패널 보호를 위해 Neo Proximity 센서를 포함하는 OLED Care Pro 기술이 적용돼 있다. 또한 게임 중에 화면 깜박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ROG OLED Anti-Flicker 2.0 기술로 패널과 게이머를 모두 보호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ROG Strix OLED XG27UCDMG는 모니터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Neo Proximity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면 검은색 화면으로 전환되어 번인되
공동 마케팅과 PoC 프로젝트로 맞춤형 생성 AI 솔루션 개발 및 공급할 계획 대원씨티에스가 하이퍼엑셀과 손잡고 차세대 생성형 AI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양사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LLM(거대언어모델) 추론 가속 솔루션을 중심으로 국내외 AI 인프라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고성능 컴퓨팅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GPU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AI 반도체 솔루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진 시점에서 이뤄졌다. 대원씨티에스는 국내 30년 이상의 유통 및 솔루션 구축 경험을 보유한 IT 기업이며, 하이퍼엑셀은 2023년 설립된 반도체 스타트업으로 LLM 추론에 최적화한 AI 전용 칩 LPU(LLM Processing Unit)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바 있다. LPU는 생성형 AI 모델의 복잡한 연산을 모두 단일 칩에서 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기존 고성능 GPU 대비 가격 대비 성능과 전력 효율이 두 배 이상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특성은 고성능 서버 인프라의 구축 및 운용 비용 절감은 물론,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기업 환경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하이퍼엑셀의 기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