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니는 자율주행 기술의 고도화와 물류시장 고객 확대를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편대관리시스템(FMS) 관련 기술 이전 계약에 이어 사업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트위니는 자율주행 물류 이송 로봇 전문기업으로, 물류센터의 오더피킹, 공장 자동화 등을 위해 실내외 어디에서나 자율주행이 가능한 로봇을 개발, 공급하고 있다.FMS는 AGV나 AMR과 같은 로봇들이 충돌 없이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총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다. 트위니는 해당 기술 이전과 ETRI와의 협력을 통해 100대 이상의 로봇이 최적의 경로로 움직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물류처리 성능 예측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물류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대규모 물류센터로의 진입을 꾀한다는 복안이다. 천홍석 대표는 “지난 3월 세 차례에 걸쳐 진행한 오더피킹 로봇 시연을 통해 잠재적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은 데 이어 문의도 상당수 들어온 상태”라며 “ETRI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대규모 물류센터에 대한 접근이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ETRI는 지난해 8월 연구인력 현장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트위니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최신 지능형 MEMS IMU인 ISM330IS 및 LSM6DSO16IS에 내장된 모션센서 프로세싱 유닛(ISPU)을 프로그래밍하는 툴체인과 관련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툴체인과 소프트웨어는 ISPU를 이용해 활동 인식 및 이상감지 등과 같은 모션 관련 작업부하를 센서에서 직접 처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전원 및 연산 시간을 줄이고 로컬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연산 없이도 센서 동작을 애플리케이션에 특화할 수 있다. ISPU 툴체인을 사용하면 개발자들이 친숙하고 폭넓게 사용되는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센서의 지능형 프로세싱 유닛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명령 라인 인터페이스(CLI: Command Line Interface), STM32CubeIDE와 같은 이클립스 기반 환경 또는 알고빌더(AlgoBuilder) 및 유니클레오(Unicleo)와 같은 GUI에서도 선택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X-CUBE-ISPU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즉시 사용 가능한 라이브러리, 템플릿, 예제 프로젝트들을 갖춰 개발자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센서의 활용법과 ISPU 프로그래밍 방법을 신속하게 이해해 맞춤형 알고
자율 로봇,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 농업, 건설 분야로 사업 영역 확장 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 인증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고 9일 밝혔다. 전기자동차(EV)와 자율주행차가 자동차의 미래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에이펙스에이아이는 이러한 차량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을 인정 받아 도요타 벤처스, 볼보 그룹 벤처 캐피털, 재규어 랜드로버의 인모션 벤처스, 에어버스 벤처스 등의 투자를 받았다. 에이펙스에이아이는 2017년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두고 설립됐으며 현재 독일(베를린, 뮌헨, 슈투트가르트), 스웨덴(예테보리), 일본(도쿄)에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이들 지역은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가들로 구성된 강력한 네트워크가 구축돼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에이펙스에이아이의 CEO인 얀 베커 박사는 "한국은 연간 자동차 생산량 기준 세계 3위의 글로벌 자동차 OEM의 본사가 있는 곳으로서 부품 공급사, 관련 생태계와 협력하기 위해서는 한국 시장 진출이 매우 중요하다"며 "노성범 신임 한국지사장은 지난 12년
셀바스AI가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6회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 2023)'에서 신제품을 공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하는 신제품은 AI 음성기록 제품 '셀비 노트(Selvy Note) 3.0'과 디지털교과서 솔루션 '셀펍(Selpub)'이다. 셀비 노트 3.0은 음성을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환해 기록 및 저장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는 AI 음성기록 솔루션이다. 셀비 노트 3.0에는 셀바스AI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엔드투엔드(E2E) 엔진이 적용돼 인식률 향상을 위한 학습기간이 단축됐다. 파일은 물론 폴더 단위 일괄 음성기록이 가능해 대규모 파일 인식을 필요로 하는 수사/조사 기관에서의 사용성이 대폭 개선됐다. 이를 토대로 셀바스AI는 기존 셀비 노트 2.0 도입이 어려웠던 중·소규모 법률회사 및 상담센터 등 법률·상담 시장으로의 확장을 준비 중이다. 셀펍은 나만의 디지털 교과서를 제작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외국어 교육 음성인식, 수식 및 필순 인식이 가능한 필기인식, 음성합성 등 HCI 기술이 융합돼 사용성이 향상됐다. 영어 발음 평가, 수식 입력, 본문 내용 읽어 주기, 사용자의
지능형 로봇 서비스 기업 클로봇이 내년 하반기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 절차에 착수했다. 최근 로봇기업에 대한 자본시장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클로봇은 소프트웨어 기술 중심의 경쟁력을 충분히 갖췄다고 판단해 상장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클로봇은 상장 주관사 선정을 마쳤으며, 내년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선정된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으로 서비스로봇 산업과 기술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티즈, 로보스타 등의 성공적인 상장을 주도한 바 있다. 클로봇은 모바일로봇을 서비스하기 위해 필수적인 자율주행, 미들웨어, 관제 등에 대한 자체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로봇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으로 지난해 전년 대비 100% 성장한 연결기준 2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또한 2017년 창업 이후 티라유텍,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어니스트벤처스, 프리미어파트너스, 현대차 제로원 등을 통해 누적 197억 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클로봇은 자체 솔루션 개발에 집중해 범용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카멜레온’, 클라우드 기반 이기종 로봇 관제 솔루션 ‘크롬스’를 통해 물류, 제조, 병원, 공공기관 등의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등 코딩 입문자도 클릭만으로 간단히 AI 서비스 구현해 KT가 8일인 오늘 AI 교육 플랫폼 ‘AI 코디니’에 새온의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알티노’와 스마트큐브랩스의 ‘AI로봇큐브’를 새로운 AI 프로그래밍 교구로 추가한다고 밝혔다. KT AI 코디니는 복잡하고 어려운 기존 코딩 방식 대신 블록 형태로 쌓아가며 AI 코딩을 잘 모르는 사용자들도 AI 코딩의 원리를 쉽게 이해하도록 만든 AI 교육 플랫폼이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등 코딩 입문자들도 마우스 클릭만으로 간단히 AI 서비스를 구현한다. 이번 협력으로 KT AI 코디니에 새온의 자율주행 로봇 교구 알티노와 스마트큐브랩스의 AI로봇큐브가 연동돼, 학생들은 재미있게 프로그래밍을 배우게 됐다. 카메라 영상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거나 음성명령으로 알티노 로봇의 자율주행을 명령하거나, 음성과 동작인식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난이도로 AI로봇큐브를 게임처럼 만들 수 있어 더 창의적인 AI 코딩 교육이 가능하다. 한편, KT는 AI 코디니를 다양한 교육 사업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확장에 주력해왔다. 작년엔 PC와 크롬북, 태블릿 등에서의 멀티 OS 지원 기능을 추가했으며, 이번엔 교구 동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23(AW 2023)’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했습니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2월 24일(금), 2월 28일(화), 3월 3일(금) ①정책을 담다, ②신제품신기술을 담다 라는 주제로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붐업 웨비나 내용입니다. 영상에서는 정책 및 산업 동향과 지난 전시회에서 주목했던 제품 및 동향을 다룹니다. Session 1 주제 : 영상 이상 감지(Video Anomaly Detection) 기반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발표 : 김승현 R&D Lead _세이지리서치 Session 2 주제 : 비정형 불량 검출에 강한 오토 딥러닝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 발표 : 전정수 마케팅 팀장 _뉴로클 Session 3 주제 : 자율주행 로봇 고카트(GoCar
오카도 그룹(Ocado Group)이 쇼피파이(Shopify)로부터 자율이동로봇 제조사인 '6 River Systems'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6 River Systems는 물류 및 비식료품 소매 부문을 위한 Chuck 자율이동로봇(AMR)을 개발하는, 매사추세츠에 기반을 둔 2015년에 설립된 기업이다. 6 River System를 설립한 Rylan Hamilton, Jerome Dubois는 2012년 아마존이 7억 7,500만 달러에 인수한 유명한 AGV 제조업체인 Kiva Systems의 전직 직원이기도 하다. 쇼피파이는 2019년 9월에 4억 5천만 달러에 6 River Systems를 인수한 바 있으나, 최근에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인력을 20% 줄이고, 물류부서를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6 River Systems 매각 역시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최근 오토스토어(AutoStore)와의 특허 침해 소송에서 승소한 오카도는 이번 거래로 인해 물류 및 비식료품 소매 부문에서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전동화, 자율주행 분야 인력 양성 위한 기술적, 제도적 지원 나선다 모라이가 산학연 협력으로 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국내 자율주행 인재 양성을 위해 힘을 모은다. 이러한 일환으로 대학생 자율주행경진대회도 총괄 운영했다. 모라이는 지난 3일 전동화, 자율주행 기술 분야 인재 발굴과 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제10회 국제전기자동차 엑스포가 열린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협약식에는 국제전기자동차 엑스포, 도로교통공단,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법무법인 세종, 제주대학교, 중부대학교, 호남대학교 등의 기관 대표들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은 국제 대학생 EV 자율주행 경진대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전동화, 자율주행 기술 분야 인재 발굴과 산업 발전을 위해 추진됐다. 참여기관들은 전동화, 자율주행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기술적, 제도적 지원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전동화, 자율주행 기술 분야 사업 발굴과 홍보를 통한 비즈니스 활성화 및 인력 채용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러한 활동의 일환으로 모라이는 같은 장소에서 열린 제2회 국제 대학생 EV 자율주행 경진대회에서 자사의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자율주행차 경진 종목인 ADSC(Autonomo
자율주행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는 롯데글로벌로지스와 함께 신청한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수요기반 맞춤형 서비스 로봇 개발·보급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로보티즈는 이번 정부 사업을 통해 롯데글로벌로지스의 국내 유통·물류 수요처를 기반으로 물류 서비스 운영의 안정적 시스템을 구축, 실외 자율주행 로봇 사업의 성장 동력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최근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지능형 로봇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됨에 따라 서비스 시장 내 실외 배송 로봇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시점에서 서비스 로봇 개발·보급 사업에 선정됐다는 점은 큰 의의가 있다고 로보티즈는 밝혔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수요기반 맞춤형 서비스 로봇 개발·보급 사업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과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의 일환으로 기획된 3단계 연차사업으로 2024년까지 건설, 농업, 배달, 방역 등 분야를 중심으로 서비스 로봇 활용 모델을 개발하고 수요처 실증·보급까지 연계하는 사업이다. 로보티즈는 롯데글로벌로지스와 ▲오피스 건물 택배 배송 ▲마트/슈퍼/MFC(도심 소형 물류센터) 근거리 빠른 배송 ▲실내외 연계를 통한 완전 로봇 배송
제11회 부산국제기계대전(이하 BUTECH 2023)이 오는 16일부터 19일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막한다. '친환경 제조혁신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주제로 열리는 BUTECH 2023은 28개국 453개 업체가 1742부스 규모로 역대 최대규모로 개최될 예정이다. 국내외 스마트 제조기술을 선도하는 각종 글로벌 로봇과 디지털 전환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든 산업의 근간인 기계산업을 선도하는 절삭·절단·절곡기가 대거 선보이고 미래 기계산업의 전망과 스마트공장, ESG경영의 친환경 제조혁신을 위한 친환경 소재 및 에너지 절감까지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한국트럼프, 아마다코리아, 에이치케이 등 주요 레이저가공업체들과 플라스틱 사출성형 국내 점유율 1위 기업인 우진플라임, 글로벌 공작기계 제조사인 OKUMA, STAR KOREA 등 일본기업과 JINAN BODOR CNC MACHINE, WUHAN HG LASER ENGINEERING, HANS LAGER 등 중국 장비 제조사들이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BUTECH 2023은 스마트 제조에 필요한 다양한 로봇과 디지털 기술, 3D프린팅, 자동화설비가 선보일 예정이다. 협동로봇
클라우드 딜리버리 플랫폼 기업 베스핀글로벌이 싱가포르의 대표 통신사인 스타허브(StarHub)와 클라우드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클라우드 고투마켓(Go-to-Market, GTM) 전략에 대한 광범위한 협업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스타허브는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전환을 위해 '클라우드 인피니티 프로그램(Cloud Infinity Program)'을 추진하며, 주요 클라우드 기업 및 기술 파트너와 활발히 협력하고 있다. 이번 MOU는 해당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체결됐다. 베스핀글로벌과 스타허브는 각자 보유한 클라우드와 통신 전문 역량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생태계 확장 및 통신 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기기 위해 뜻을 모았다. 베스핀글로벌은 보유한 클라우드 전문 역량을 토대로 마이그레이션과 운영, 보안, 거버넌스 등 클라우드 서비스의 핵심 영역에 대한 최적의 자문 서비스를 스타허브에 제공할 예정이다. 베스핀글로벌은 스타허브의 '클라우드 운영 우수 프로그램' 수립과 함께, 스타허브의 핵심 B2B 마켓플레이스이자 플랫폼인 '클라우드 엑스(Cloud X)'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로써 베스핀
아이코어가 제11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3)에 참가해 다양한 머신비전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라 밝혔다. 5월 16일부터 19일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진행되는 BUTECH 2023은 스마트 제조 기술과 로봇산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회다. '친환경 제조혁신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주제로 열리는 BUTECH 2023에는 한국, 일본, 중국 등 28개국에서 453개 업체가 1천742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아이코어는 머신비전을 구성하는 핵심부품인 고성능의 하드웨어 제품을 개발하는 회사다. 스마트팩토리의 ‘눈’이라고 하는 다양한 머신비전 제품들을 세계 최고 성능으로 개발하여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으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한국머신비전협회가 주관한 Machine Vision Tech Innovation, Smart Factory Sector 부문에서 최고의 영예인 대상을 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아이코어 관계자는 "BUTECH 2023을 통해 부산·영남지역 고객에게 아이코어의 혁신 머신비전 솔루션을 소개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아이코어의 iPulse 제품은 고속의 전류제어를 통해 짧은 시간에 외
협동로봇 제조기업 뉴로메카가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 북미 협동로봇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뉴로메카는 미국 현지 시각으로 지난 2일 미국법인 내 자사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솔루션을 전시하는 쇼룸을 공개하고, 주요 관계자를 대상으로 개관식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법인 설립은 베트남과 중국 법인에 이어 뉴로메카의 세 번째 해외 거점 설립이다. 미국 텍사스 오스틴 근처 플루거빌(Pflugerville, Taxas)에 위치한 미국 법인은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영업 파이프라인 발굴, 고객 관리 및 A/S 센터 역할을 한다. 뉴로메카는 북미 주요 거점별 파트너사를 확보하여 주요 제품인 협동로봇, 자율이동로봇, 산업용 로봇의 시장 점유율 확보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플루거빌 근방으로 삼성전자, Dell, EMC, IBM, National Instruments 등 대규모 기술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다.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와 미국 법인장 마이클 박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서 뉴로메카의 대표 제품 협동로봇 ‘인디(Indy)’와 아크 용접, F&B 조리 등 혐동로봇 자동화 시스템 다수가 공개되었다.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는 “
환경의 변화에 따라 우리 제조업은 지금까지 다양하게 변화해왔습니다. 과거에는 소품종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한 생산방식이 주였다면, 이후 생산량과 품종이 변화하는 변종변량 생산, 최근에는 고객의 니즈에 맞게 맞춤형 생산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생산의 검토가 불가피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뒷받침 하듯 각 현장에서는 로봇, 센서, 각종 소프트웨어의 활용은 물론 기존설비의 설비최적화 도모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은 "Power Smart Manufacturing"을 위한 미쓰비시전기의 로보틱스 기술과 더불어 신형인버터 FR-E800시리즈와 함께 우리 생산현장의 스마트화에 더욱 다가가실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 미쓰비시전기 지능화 로봇 FR시리즈 및 신형 인버터 FREQROL-E800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