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증·운영 전 주기를 아우르는 통합 로봇 생태계 구축 AI-로봇 융합 실증 확대, 글로벌 로보틱스 혁신 선도 선언 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가 글로벌 휴머노이드 경쟁에 본격 합류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뉴로메카는 지난 9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국제 로보틱스 학회 ‘IEEE RSA Humanoids 2025’에서 차세대 휴머노이드 플랫폼 ‘ZEN(젠)’과 ‘NAMY(나미)’를 최초 공개했다. 뉴로메카는 연구·산업·서비스·의료 등 총 4개 분야별 현장 특화형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개발 중이며, 이번 행사에서는 연구용 ZEN과 서비스용 NAMY를 먼저 선보였다. ZEN은 포스텍과 카이스트와의 산학연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설계된 통합 연구 플랫폼으로, 동일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스택을 활용해 데이터 수집, 모델 개발, 스킬 검증, 현장 실증까지 전 주기를 아우른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물리적 제약 없이 빠르게 실험과 검증, 운영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서비스용 NAMY는 실내 반복 작업과 안전 협업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실증이 추진된다. 뉴로메카는 다양한 파트너 기관과 협력해 NAMY가 실제 현장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스킬 확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는
엘리베이터 앞에서 배송 로봇이 멈춘다. 이 과정에서 하드웨어는 멀쩡하다. 멈춘 이유는 기계가 아니라 도시의 문법 때문이다. 승강기 연동 규격, 안전·인증, 전력·통신 등 사람에겐 당연한 규칙이 로봇에게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다. 반대로 어떤 로봇은 이미 우리 집에서 청소기처럼 가전의 중심 지위를 얻었다. 기술의 성패는 더 이상 성능만이 아니다. 사용자 경험(UX), 표준·인증 등 제도, 교육·경험 디자인 등이 로봇이 사회에 들어가는 관문으로 떠오른다. ‘보여주는 로봇’에서 ‘쓰이는 로봇’으로 로보틱스 기술이 확장돼야 하는 이유다. 지난달 30일 서울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서울AI로봇쇼’는 시민이 로봇을 쉽고 즐겁게 체험하고, 기업·연구자가 성과·투자·인재를 공유하는 산업 플랫폼을 결합한 자리로 주목받았다. 서울특별시는 이 무대를 통해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도시”를 선포했다. 부대행사로 진행된 로봇 전문가 포럼 개막 환영사에 참석한 주용태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을 세계적 로봇 친화 도시로 키우겠다”며 산업계·학계·공공기관의 협력을 통한 사람 중심 로봇 도시 비전을 강조했다. “서울, 로봇 도시의 브랜드를 설계해야” 엔젤로보틱스 최고기
엔비디아, 구글 딥마인드, 디즈니 리서치 공동 개발 물리 시뮬레이션 엔진 공개 엔비디아 ‘아이작 GR00T N1.6’ 추론 모델, ‘코스모스 WFM’ 업데이트 전개 로봇 추론 능력 및 피지컬 AI(Physical AI) 모델 훈련 가속화 기대...어질리티·보스턴다이내믹스 선제 도입 엔비디아가 구글 딥마인드, 디즈니 리서치와 함께 오픈소스 기반 ‘뉴턴 물리 엔진(Newton Physics Engine)’을 자사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아이작 랩(NVIDIA Isaac Lab)’에 공개했다. 이로써 로보틱스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고 평가받았다. 이번 기술은 지난달 27일부터 나흘간 서울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에서 개막한 ‘제9회 로봇학습국제학술대회(Conference on Robot Learning 2025, CoRL 2025)’ 현장에서 강조됐다. 엔비디아가 기술 발표 무대로 삼은 CoRL 2025는 로보틱스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의 교차점에서 이뤄지는 연구 발전을 공유·탐구하는 글로벌 연례 국제 로봇 콘퍼런스다. 이 학술대회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로봇 공학 연구의 최신 동향을 공유한다. 로봇 조작, 내
식음료(F&B) 제조 환경 특화 스카라 로봇 ‘FZ 시리즈’ 3종 출시 미국위생협회(NSF) H1 등급 라인업...식용 그리스, 이물질 확산 차단 ‘벨로우’ 옵션 적용 “비포장 식품 선별·이송 등 공정 내 안전성·위생성 극대화” 엡손이 청결하고 안전한 식품 제조 환경을 구현하는 식음료(F&B) 공정 전용 스카라 로봇 라인업을 내놨다. ‘FZ 시리즈’는 F&B 산업 자동화 시장을 본격 공략하는 엡손의 신규 솔루션이다. 이번 새 제품군은 GX8-FZ·LS10-FZ·T3-FZ 총 세 가지 모델이다. 엄격한 위생 기준과 복잡한 공정을 요구하는 F&B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스펙을 갖췄다. 식품 포장부터 비포장 식품의 선별·이송 공정까지 지원한다. FZ 시리즈는 식품 산업 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해 정밀하게 설계됐다. 로봇의 Z축에는 미국위생협회(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 NSF) H1 등급의 식용 그리스(Grease)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식품과의 직접 접촉 상황에서도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한 이물질 확산을 차단하는 벨로우(Bellow) 옵션도 적용했다. 운반·포장 과정의 위생성을 제고하는 기능이다. 특히 기존
모두솔루션이 2025 AMXPO(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에 참가해 자사의 대표 CAD 솔루션과 최신 기술을 선보이며 업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스타캐드(GstarCAD), PTC Creo 12와 PLM 솔루션, 자체 도면배포시스템(MDDS)을 전격 공개하며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AMXPO는 기계·제조 산업 관계자들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전시회로 올해도 다수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가해 성황리에 진행됐다. 모두솔루션 부스에서는 제품 시연과 함께 다트 행사, 퀴즈 이벤트 등 관람객 참여형 프로그램이 마련돼 현장을 찾은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지스타캐드와 PTC 솔루션, 도면배포시스템의 기능을 직접 확인하고 퀴즈를 통해 이해도를 높이는 경험은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서 진행된 ‘지스타캐드를 알고 있습니까?’ 앙케이트 조사 결과, 여전히 많은 업계 관계자가 기존 CAD를 사용 중이지만 지스타캐드에 대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스타캐드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장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일 기회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새롭게 공개된 지스타캐드
딥인사이트가 오는 13일부터 17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리는 중동 최대 ICT 전시회 ‘GITEX GLOBAL 2025’에 참가해, 휴대용 3D 공간정보 스캐너 ‘DIMENVUE’를 공식 공개한다. 딥인사이트는 이번 전시를 통해 단품 판매와 SI 용역을 모두 제공하는 유연한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며, 현지 시장에서 다양한 협력 기회를 모색한다. 전시 현장에서는 글로벌 바이어와 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제품 시연과 맞춤형 상담을 진행하고, 향후 PoC와 공동 프로젝트 협력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한 ‘DIMENVUE Pro’도 함께 전시해 제품 라인업을 선보인다. DIMENVUE는 ±1.5cm 내외의 정밀도와 360°×270°의 시야각을 제공하는 휴대용 3D 공간정보 스캐너로, 현장에서 실시간 데이터 스캔·시각화·공유가 가능한 올인원 워크플로우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건설, 플랜트,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디지털 트윈 구축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 Pro 모델 대비 경량화와 사용 편의성이 강화돼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뿐 아니라 중소 규모 현장에도 적합하다. 오은송 딥인사이트 대표는 “D
AI 의료기업 라온메디가 3D프린팅 소재 기술을 보유한 그래피와 함께 치과 소프트웨어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 라온메디는 최근 그래피 본사에서 협약을 체결하고 치과 치료 시뮬레이션 및 주문 시스템, 형상기억 레진 전용 교정장치 디자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공동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이를 통해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라이선스 사업과 마케팅 전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라온메디는 치과계에서 활용도가 커지고 있는 AI 기반 디지털 진단·치료 기술을 고도화하면서 직접 출력 방식의 투명 교정장치 제작 소프트웨어에 임상 데이터를 적용해 제품 적용 범위를 넓힐 방침이다. 치과소재 전문기업 그래피는 형상기억 레진과 3D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라온메디의 AI 교정 셋업 소프트웨어 ‘Laon Ortho(라온올쏘)’와 융합해 교정장치 제작과 진료 프로세스를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작 및 진료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온메디 관계자는 “그래피와의 협력으로 국산 AI 소프트웨어와 치과 소재 기술이 결합된 정밀한 디지털 덴탈 솔루션을 선보일 수 있게 됐다”며 “100여개국 이상 글로벌 시장에서
2028년 51억 원 규모 ‘로봇 핸드 탑재형 물류 휴머노이드’ 개발 국책과제 주관기관 선정 인간형 로봇 핸드 ‘에이딘 핸드(AIDIN-Hand)’와 피지컬 AI(Physical AI) 기반 고감각 휴머노이드 지능 플랫폼 구축 에이딘로보틱스가 CJ대한통운과 함께 물류 현장에 최적화된 로봇 핸드 탑재형 휴머노이드 로봇을 공동 개발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국가 연구개발(R&D)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후 성사됐다. 해당 과제는 ‘고감각 로봇 핸드 탑재 K-물류 휴머노이드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는 멀티모달(Multi-modal)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기술을 통해 진행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오는 2028년까지 총 51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조달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CJ대한통운·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성균관대학교 등 공동 R&D 기관이 참여한다. 주관기관인 에이딘로보틱스는 그동안 축적한 힘 센싱(Force Sensing) 및 제어 기술을 공급한다. 이를 KETI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결합해 물류 특화형 휴머노이드 지능 플랫폼을 개발할 방침이다. 여기에 성균관대학교의 현장 데이터 취득 및 검증 체계를 더해 실제 물류 환
산업통상자원부·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주관 ‘고난이도 AX 연구지원 플랫폼 구축’ 과제 뽑혀 총 사업비 36억 3천만 원 규모...로봇 실증 기반 피지컬 AI(Physical AI) 구현 노려 로봇·데이터·시뮬레이션 연계 생태계 주도 ‘정조준’ 뉴로메카가 산업통상자원부·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주관 ‘고난이도 AX 연구지원 플랫폼 구축’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첨단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해당 사업은 산학연 연구자가 활용 가능한 고난이도 연구지원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도 핵심 목표다. 총 사업비는 36억 3천만 원 규모다. 이번 과제는 아이브를 주관기관으로, 뉴로메카·메타엠·디엑스웍스·오큐브·인터텍·광명테크·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계명대학교 총 9개 로봇 관련 기업·기관이 참여한다. 뉴로메카는 협동 로봇(코봇) 기술 업체로서 플랫폼과 연계된 로봇 실증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피지컬 AI(Physical AI) 구현을 지원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모션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 SDK)’가 대표적이다. 이는 모션 API(Ap
미래 로봇 산업 인재 육성 전략...현장 맞춤형 교육 과정 개발 신호탄 인적자원 교류, 현장 실무교육 지원 등 다양한 협력 활동도 브릴스와 경기 파주시 소재 세경고등학교가 미래 로봇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 육성을 위한 산·학 협력을 전개한다. 이로써 양 기관은 산·학 연계 교육과정 개발에 적극 나선다. 여기에 인적자원 교류, 교육활동 등에 필요한 교육환경 조성을 함께하고, 현장 실무교육 지원 등 다양한 협력 활동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산업 현장에서 직접 적용해, 미래 로봇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받을 전망이다. 이달 30일 열린 협약식 이후에는 세경고등학교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교사들은 로봇 산업에 대한 강의를 접하고 로봇 전시실을 견학했다. 브릴스는 그동안 한양대학교 에리카(ERICA) 캠퍼스, 한국공학대학교, 인천재능고등학교, 대한상공회의소 충남인력개발원,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등 교육기관과 연합해 인력 양성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로봇공학·프로그래밍·자동화(FA)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용 키트를 자체 개발한 바 있다. 이를 중심으로, 로봇 교육 사업에 대한 투
생성형 AI ‘챗GPT(ChatGPT)’ 기반 말벗 로봇 공개 예고...“어르신 정서적 고립 해소” 시니어 특화 콘텐츠로 인지 자극과 정서적 교감 제공 기대 에듀툴킷디자인연구소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 기술 업체 엑스오소프트가 협력해 새로운 로봇 기체를 개발했다. 시니어 케어 인공지능(AI) 로봇 '나로(NARO)'가 공개를 앞두고 있다. 생성형 AI(Generative AI) 모델 ‘챗GPT(ChatGPT)’가 적용된 나로는 독거 어르신의 정서적 고립감과 인지 돌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니어 특화 콘텐츠를 탑재한 통합 솔루션이다. 양사에 따르면, 기존 제품 대비 1/8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사의 강점을 결합했다. 에듀툴킷디자인연구소는 시니어 맞춤형 인지 자국 콘텐츠를 제공했고, 엑스오소프트는 AI 로봇 플랫폼을 그 기반으로 배치했다. 엑스오소프트는 지난해 AI 학습 로봇 ‘신비AI’로 ‘2025년 대한민국 토이어워드’를 수상한 바 있다. 또 최근에는 한국조폐공사(KOMSCO)와 AI 기반 디지털 워터마크 소프트웨어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보안 기술력도 입증했다. 이번 나로는 이 같은 역량을 반영한 것으로, 사측의
DCWA 2025 참가…UL 인증 데이터센터용 배전반 공개 모듈러·HVDC 솔루션으로 데이터센터 미래 선도 LS일렉트릭이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회사는 10월 8일부터 9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 전시회 ‘데이터센터월드 아시아 2025(DCWA 2025)’에 참가해 차세대 전력 솔루션을 대거 선보인다. LS일렉트릭은 이번 전시회에서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구현하다’라는 주제로 72㎡ 규모의 부스를 마련하고 △UL 인증 데이터센터용 배전반 △모듈러 파워 솔루션 △고전압 직류(HVDC) 배전 시스템 등 통합 전력 인프라 솔루션을 공개한다. 특히 글로벌 기준을 충족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무기로 북미와 아세안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데이터센터 운영의 핵심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다. LS일렉트릭의 배전반은 내진·내아크 구조를 포함해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까다로운 성능 검증과 PI(Primary Injection) 테스트를 거쳐 신뢰성을 높였다. UL 인증을 확보한 점은 북미 시장 공략의 중요한 기반으로 꼽힌다. 회사는 고압·저압 배전반에서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덴마크 첨단 펌프 및 워터 솔루션 업체 그런포스(Grundfos) 시스템 디지털 전환(DX) 기여 클라우드 기반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도입 인공지능(AI)·모델링 등 기술 통합... 제품수명주기관리(PLM) 지속가능성 강화 목표 다쏘시스템이 덴마크 펌프 및 수자원 솔루션 업체 그런포스(Grundfos)에 자사 클라우드 기반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공급한다. 그런포스는 상업용 빌딩 서비스, 주거용 빌딩 서비스, 산업, 수도 사업 부문 전반의 디지털 전환(DX)을 위해 이번 다년 계약을 체결했다.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다쏘시스템의 레퍼런스와 노하우를 더욱 확대에 제공받게 됐다. 다쏘시스템 측은 산업 장비 산업 솔루션 경험 전체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제품수명주기(PLM)를 더욱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고 서비스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모델링, 시뮬레이션, 데이터 과학, AI를 통합한 방법론이 그런포스 시스템에 이식된다. 다쏘시스템의 이 같은 버추얼 트윈은 3500명의 사용자가 협업하고 생산성과 혁신을 제고하
[헬로즈업 세줄 요약] · 제24회 휴머노이드 로봇 국제학술대회(Humanoids 2025), 서울 코엑스서 개막 · 한국 연구자 환영사·축사…지능·조작·표준화·응용 최신 성과 공유해 · 첫날 5개 세션, ‘실험실에서 산업으로’…신뢰성·표준화·확산 전망 '제24회 휴머노이드 로봇 국제학술대회(IEEE-RA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oid Robots, Humanoids 2025)'가 서울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에서 막을 올렸다. 이 학술대회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의 로보틱스·자동화학회(RAS) 산하 대표 행사다. 인간형 로봇의 지능, 조작, 운동 제어, 인간·로봇 상호작용(HRI) 전반을 다룬다. 올해는 같은 시기 열린 ‘제9회 로봇학습국제학술대회(Conference on Robot Learning 2025, CoRL 2025)’와 일정이 하루 겹쳐 전개된다.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학습을 담당하는 CoRL과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하드웨어를 주제로 한 두 연구 축이 한 무대에서 교차했다. 개막 첫날부터 이어진 다섯 개 연구·기술 세션은 휴머노이드 연구가 걷는 로봇의 현재에서, 산업·서비스·재
[헬로즈업 세줄 요약] · 오준호 삼성전자 미래로봇추진단장, CoRL 2025 기조연설서 “휴머노이드 황금기” 선언 · 신뢰성·내구성·가용성, 산업 상용화 3대 버틀넥 우려...표준화·데이터 학습 병행 강조해 · 초기 B2B 도메인 검증 후 가정·서비스 분야로 확산 전망 韓 휴머노이드 20년...‘휴머노이드 황금기’ 선언했다 이달 30일 서울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제9회 로봇학습국제학술대회(Conference on Robot Learning 2025, CoRL 2025)’ 무대에서 오준호 삼성전자 미래로봇추진단장이 기조연설 연사자로 나섰다. 그는 한국 휴머노이드 연구의 궤적을 되짚으며 ‘휴머노이드의 황금기’가 열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핵심은 ‘데이터 기반 진화’와 ‘산업별 분화’...이것이 피지컬 AI의 시대상일까 오 단장은 먼저 로봇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을 짚었다. 전통적인 모델 기반 제어는 정밀성과 안정성에서 강점을 갖지만 외란에 취약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과 비전·언어·행동(Vision-Language-Action, VLA) 모델 등 인공지능(AI) 기반 접근은 비정형 환경 대응과 고기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