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사곤 배터리 솔루션 데이 개최…생산성∙품질 높이는 방법은? 전기차를 등에 업은 글로벌 이차전지 산업은 막대한 성장률을 기록하며 규모를 키워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 제조 현장에서는 정밀한 생산 공정 및 품질 검증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헥사곤이 배터리의 설계부터 생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생산력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한다. 헥사곤은은 내달 13일과 14일, 양일간 배터리 솔루션 데이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를 연다며 이같이 밝혔다. 첫날인 13일의 주제는 배터리 생산력 강화 솔루션이다. 헥사곤의 임태균 팀장, 황인혁 팀장, 이정화 매니저가 각각 EV 배터리에 대한 CFD 시뮬레이션의 생산성 향상, 배터리 제조 공정을 위한 Virtual Manufacturing 솔루션, 배터리 비파괴 검출 솔루션 (CT 및 AI을 통한 배터리 품질 관리 향상)을 중심으로 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둘째 날인 14일에는 배터리 품질 검증 강화 솔루션을 주제로 한 발표가 이어진다. 김성근 매니저와 문장희 팀장이 각각 배터리 부품 가공을 위한 CAM Solution, Battery, Fuel Cell 에서의 품질관리 솔루션을 주제로 발표한
전 세계 산업 성장을 이끌 것으로 평가되는 이차전지는 2025년 1400GWh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차전지 활용에 대부분의 점유율 차지하는 전기차 시장도 같은 해 전 세계 판매량 최대 약 2000만 대에 도달한다는 예측을 내놨다. 이렇게 잠재력이 확보된 이차전지는 안전성, 효율성, 사용성 등과 관련된 숙제를 동반하고 있다. 폭발부터 주행거리까지 이슈를 극복해야 하는데, 이는 이차전지 제조 영역에서의 혁신을 요구한다. 업계는 공정 설비의 자동화와 고도화를 실현해 배터리 수율 및 안전성을 높이겠다는 품질관리 전략을 내세운다. 주로 각형·원통형·파우치형 등으로 구성되는 배터리는 전극·조립·화성 등으로 제조 공정이 세분화되며, 여기에는 양극재·음극재·전해질·분리막 등 소재가 활용된다. 배터리 품질관리 솔루션 업계는 이런 공정 및 소재를 활용한 배터리 제조 공정의 혁신에 지속 다가가는 중이다. 내달 8일 ‘2024 배터리 품질관리 세미나’가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Coex)에서 열린다. 해당 세미나는 코그넥스코리아·이스라비젼코리아·뉴로클·LMI테크놀로지스 등 배터리 품질관리 영역에서 활약하는 업체 관계자가 연사
전 세계 산업 성장을 이끌 것으로 평가되는 이차전지는 2025년 1400GWh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차전지 활용에 대부분의 점유율 차지하는 전기차 시장도 같은 해 전 세계 판매량 최대 약 2000만 대에 도달한다는 예측을 내놨다. 이렇게 잠재력이 확보된 이차전지는 안전성, 효율성, 사용성 등과 관련된 숙제를 동반하고 있다. 폭발부터 주행거리까지 이슈를 극복해야 하는데, 이는 이차전지 제조 영역에서의 혁신을 요구한다. 업계는 공정 설비의 자동화와 고도화를 실현해 배터리 수율 및 안전성을 높이겠다는 품질관리 전략을 내세운다. 주로 각형·원통형·파우치형 등으로 구성되는 배터리는 전극·조립·화성 등으로 제조 공정이 세분화되며, 여기에는 양극재·음극재·전해질·분리막 등 소재가 활용된다. 배터리 품질관리 솔루션 업계는 이런 공정 및 소재를 활용한 배터리 제조 공정의 혁신에 지속 다가가는 중이다. 내달 8일 ‘2024 배터리 품질관리 세미나’가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Coex)에서 열린다. 해당 세미나는 코그넥스코리아·이스라비젼코리아·뉴로클·LMI테크놀로지스 등 배터리 품질관리 영역에서 활약하는 업체 관계자가 연사
‘협동로봇 팔레타이징 작업에 적용하는 법’ 웨비나 개최 유니버설로봇이 협동로봇 신제품 출시를 맞아 내달 5일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를 진행한다. 유니버설로봇은 이날 웨비나에서 새로 출시한 협동로봇과 함께 팔레타이징 어플리케이션을 소개, 산업 현장에서 팔레타이징 작업에 협동로봇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소개한다고 밝혔다. 유니버설로봇이 새로 출시한 ‘UR30’은 가반 하중 30kg의 협동로봇이다. 회사는 UR30이 “산업을 재정의하는 유니버설 로봇 기술력의 집약체이자 기존 협동로봇의 한계를 뛰어넘은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전 세계적으로 모든 산업 군에선 생산 측면에 있어 더욱 민첩한 제조와 모듈화를 지향하는 추세다. 킴 포블슨 유니버설 로봇 CEO는 “이동성은 생산 과정 내 모듈화와 민첩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이번에 출시한 협동로봇은 상당한 가반 하중을 자랑하는 동시에 이동성까지 갖춘 제품”이라고 밝혔다. 웨비나는 3월 5일 오후 2시부터 한 시간 동안 진행된다.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 등록을 하고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유니버설로봇, 신제품 출시 맞아 어플리케이션 소개하는 웨비나 개최 유니버설로봇이 협동로봇 신제품 출시를 맞아 내달 5일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를 진행한다. 유니버설로봇은 이날 웨비나에서 새로 출시한 협동로봇과 함께 팔레타이징 어플리케이션을 소개, 산업 현장에서 팔레타이징 작업에 협동로봇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소개한다고 밝혔다. 유니버설로봇이 새로 출시한 ‘UR30’은 가반 하중 30kg의 협동로봇이다. 회사는 UR30이 “산업을 재정의하는 유니버설 로봇 기술력의 집약체이자 기존 협동로봇의 한계를 뛰어넘은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전 세계적으로 모든 산업 군에선 생산 측면에 있어 더욱 민첩한 제조와 모듈화를 지향하는 추세다. 킴 포블슨 유니버설 로봇 CEO는 “이동성은 생산 과정 내 모듈화와 민첩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이번에 출시한 협동로봇은 상당한 가반 하중을 자랑하는 동시에 이동성까지 갖춘 제품”이라고 밝혔다. 웨비나는 3월 5일 오후 2시부터 한 시간 동안 진행된다.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223)에서 사전 등록을 하고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현업 협업 매니저가 대형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노하우를 공유한다. 알텐코리아가 내달 7일 ‘현업 매니저가 누설하는 대형 프로젝트, 이렇게 관리했다’를 제목으로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를 연다고 밝혔다. 많은 직원이 업무를 하면서 인프라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거나 조직 간 업무 배정에 어려움을 겪는 등 프로젝트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날 웨비나에선 알텐코리아 박중규 부장이 발표자로 나서 회사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법,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돌출 상황 대응, 조직 간 업무 관리, 배경지식의 한계, 우선순위 여부 판단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짚어보고 이에 대한 관리 방법을 살펴볼 예정이다. 웨비나는 3월 7일 오후 2시부터 한 시간 동안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228)에서 사전 등록을 하고 참여할 수 있다. 알텐코리아는 토탈 엔지니어링 솔루션 회사로, 제품기획, 설계, 디자인, 시험, 평가, 생산기술, 통합유지보수까지 원스톱 솔루션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프로젝트 관리 어렵다면? 현업 매니저가 공유하는 업무 노하우 현업 협업 매니저가 대형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노하우를 공유한다. 알텐코리아가 내달 7일 ‘현업 매니저가 누설하는 대형 프로젝트, 이렇게 관리했다’를 제목으로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를 연다고 밝혔다. 많은 직원이 업무를 하면서 인프라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거나 조직 간 업무 배정에 어려움을 겪는 등 프로젝트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날 웨비나에선 알텐코리아 박중규 부장이 발표자로 나서 회사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법,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돌출 상황 대응, 조직 간 업무 관리, 배경지식의 한계, 우선순위 여부 판단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짚어보고 이에 대한 관리 방법을 살펴볼 예정이다. 웨비나는 3월 7일 오후 2시부터 한 시간 동안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 등록을 하고 참여할 수 있다. 알텐코리아는 토탈 엔지니어링 솔루션 회사로, 제품기획, 설계, 디자인, 시험, 평가, 생산기술, 통합유지보수까지 원스톱 솔루션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2024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 3일차 ‘스마트매니지먼트, 스마트퀄리티’ 개최 AI, 로봇, 디지털트윈,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제조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스마트한 제조현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많은 제조업체들이 데이터 기반의 통찰력을 활용해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제조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한 현장 솔루션과 제품 품질 관리는 스마트제조 프로세스 구축에선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현장, 품질 관리 솔루션과 적용 사례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2024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가 20일부터 사흘간 개최된다. 컨퍼런스 3일차에는 스마트매니지먼트, 스마트퀄리티 세션이 각각 오전 오후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 스마트매니지먼트세션에서는 최근 스마트제조 혁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AR/VR, 빅데이터/AI 분야의 트렌드와 전망을 살펴본다. 아울러 스마트제조의 새로운 도전과제로 떠오른 보안과 산업용 IoT 동향도 집중 조명한다. 먼저 엠아이큐브솔루션 박양호 연구소장이 나와 '디지털 트윈 기반 APS 적
올해 스마트제조 현장 및 품질 관리 솔루션 트렌드는? AI, 로봇, 디지털트윈,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제조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스마트한 제조현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많은 제조업체들이 데이터 기반의 통찰력을 활용해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제조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한 현장 솔루션과 제품 품질 관리는 스마트제조 프로세스 구축에선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현장, 품질 관리 솔루션과 적용 사례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2024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가 20일부터 사흘간 개최된다. 컨퍼런스 3일차에는 스마트매니지먼트, 스마트퀄리티 세션이 각각 오전 오후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 스마트매니지먼트세션에서는 최근 스마트제조 혁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AR/VR, 빅데이터/AI 분야의 트렌드와 전망을 살펴본다. 아울러 스마트제조의 새로운 도전과제로 떠오른 보안과 산업용 IoT 동향도 집중 조명한다. 먼저 엠아이큐브솔루션 박양호 연구소장이 나와 '디지털 트윈 기반 APS 적용 사례 및 구축 방안'을 주제로
스마트미디어그룹 (주)첨단이 오는 2월 20일부터 '2024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이하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조 산업을 혁신하기 위한 솔루션과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이번 컨퍼런스는 총 3일간 열린다. 20일인 첫째날에는 키노트 & 스마트 제조 이슈, 2일차에는 스마트 오퍼레이션 & 스마트 제어 시스템, 3일차에는 스마트 매니지먼트 & 스마트 퀄리티를 테마로 진행된다. AI, 로봇, 디지털 트윈, 클라우드는 디지털 제조의 핵심 키워드다. 생산성은 높이면서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디지털 제조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21일 진행하는 2일차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는 디지털 제조의 핵심인 '스마트 오퍼레이션과 스마트 제어 시스템'을 소개한다. 2일차 오전 스마트오퍼레이션 세션에서는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조 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는 주요 기술의 트렌드와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의 김건 매니저가 '개방형 자동화를 통한 미래 산업', 스트라타시스코리아 전태영 이사가 '스마트 제조를 위한 핵심 기술 3D 프린팅', 코그넥스 진태환 매니저가 '풀필먼트 최적화를 위한 머신비전 물류 솔루션
1일차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스마트 제조 이슈 및 사례 발표될 예정 스마트미디어그룹 (주)첨단이 오는 2월 20일 '2024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이하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조산업을 혁신하기 위한 솔루션과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이번 컨퍼런스는 총 3일간 열린다. 20일인 첫째날에는 키노트 & 스마트 제조 이슈, 2일차에는 스마트 오퍼레이션 & 스마트 제어 시스템, 3일차에는 스마트 매니지먼트 & 스마트 퀄리티를 테마로 진행된다. 오늘날 제조산업은 전통적인 기술과 업무 구조를 타파하고 AI, 로봇, 디지털 트윈, 클라우드가 지배하는 디지털 제조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점차 많은 제조기업이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제조 프로세스를 만드는데 집중한다. 제조 기업들은 최첨단 기술 융합을 통해 비즈니스의 역동적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데에 그치지 않는다. 완전한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각 기업에 걸맞은 전략 수립과 컨설팅이 요구된다. 이에 1일차 오전 키노트 세션에서는 스마트 제조를 위한 필수요소로 꼽히는 AI, ESG 등의 기
‘[INTER BATTERY 2024] ZEISS 배터리 솔루션 미리 보기’ 웨비나 열려 ‘R&D부터 생산까지’ AI 기반 배터리 제조 전주기 솔루션 강조 글로벌 경기 침체 및 전쟁 장기화, 안정성·효율성 이슈 등으로 전 세계 배터리 산업의 성장 기반인 전기자동차(EV) 수요가 최근 둔화되는 추세다. 배터리는 전기차를 비롯해 전자 및 IT 기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 첨단 산업군 제품의 주동력원이다. 때문에 전기차 수요가 주춤한 상황에서도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대한 전망은 연일 ‘맑음’을 도출하는 중이다. 현재 배터리 원료 중 활용 비율이 높은 리튬 이온(Li-ion). 이와 더불어 이차전지 업계는 리튬철인산(LFP), 고체 전해질 등 새로운 원료 및 설계를 담은 차세대 배터리도 지속 개발하는 중이다. 이 배경에서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InterBattery 2024)가 내달 6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해당 전시회에는 제품부터 소재 및 부품, 제조기기, 검사 및 측정 장비, 폐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기술 등 관련 업체가 참가해 배터리 산업 전주기 요소를 다룰 예정이다. 이 중 광학기술 업체 자이스는 배터리 연구개발(R&am
‘[INTER BATTERY 2024] ZEISS 배터리 솔루션 미리 보기’ 웨비나 열려 ‘R&D부터 생산까지’ AI 기반 배터리 제조 전주기 솔루션 강조 글로벌 경기 침체 및 전쟁 장기화, 안정성·효율성 이슈 등으로 전 세계 배터리 산업의 성장 기반인 전기자동차(EV) 수요가 최근 둔화되는 추세다. 배터리는 전기차를 비롯해 전자 및 IT 기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 첨단 산업군 제품의 주동력원이다. 때문에 전기차 수요가 주춤한 상황에서도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대한 전망은 연일 ‘맑음’을 도출하는 중이다. 현재 배터리 원료 중 활용 비율이 높은 리튬 이온(Li-ion). 이와 더불어 이차전지 업계는 리튬철인산(LFP), 고체 전해질 등 새로운 원료 및 설계를 담은 차세대 배터리도 지속 개발하는 중이다. 이 배경에서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InterBattery 2024)가 내달 6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해당 전시회에는 제품부터 소재 및 부품, 제조기기, 검사 및 측정 장비, 폐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기술 등 관련 업체가 참가해 배터리 산업 전주기 요소를 다룰 예정이다. 이 중 광학기술 업체 자이스는 배터리 연구개발(R&am
산업전문미디어 (주)첨단이 다가오는 2월 스마트 제조와 관련된 이슈·기술·관리·품질 등 내용을 담은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콘퍼런스’와 광학 및 배터리 품질 솔루션 등 현재 산업에서 주시하는 주제를 한 데 엮은 웨비나를 연이어 진행한다. 이달 산업계가 주목해야 할 온·오프라인 첨단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2024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콘퍼런스 1일차 - 주제 : Keynote & 스마트 제조 이슈 - 일시 : 2024년 02월 20일(화) 오전 10시 ~ 오후 3시 3분 - 참가등록 : https://dubiz.co.kr/Event/215 (온라인) 2024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콘퍼런스 2일차 - 주제 : 스마트 오퍼레이션 & 스마트 제어 시스템 - 일시 : 2024년 02월 21일(수) 오전 10시 ~ 오후 3시 30분 - 참가등록 : https://dubiz.co.kr/Event/216 (온라인) 2024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콘퍼런스 3일차 - 주제 : 스마트매니지먼트 & 스마트퀄리티 - 일시 : 2024년 02월 22일(목) 오전 10시 ~ 오후 3시 30분 - 참가등록 : https://dubi
제조 현장 개선으로 생산 효율성↑ 노하우 공유한다 AI, 로봇, 디지털트윈, 클라우드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제조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제조업체가 데이터 기반 통찰력을 활용해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제조 프로세스 구축에 나서는 중이다. 스마트제조의 첫걸음은 현장의 개선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장에서 업무나 생산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기술과 스마트제조의 근간이 되는 정확한 제조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는 주요 기술들의 트렌드와 전망에 대해 공유하는 웨비나가 마련됐다. 2024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가 내달 개최를 앞두고 있다. 컨퍼런스 2일차인 2월 21일에는 스마트오퍼레이션과 스마트제어시스템을 주제로 다양한 세션들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날 오전 웨비나에서는 주목받고 있는 소프트웨어와 3D프린팅, 그리고 예지보전시스템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알텐코리아, 스트라타시스코리아, 코그넥스 등 업계 관계자들이 발표에 나선다. 현장에서 설비 상태는 센서를 사용해 자산 상태의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해 계획되지 않은 가동 중지 시간을 제거하고 자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동시에 유지 관리 비용을 줄여줄 수 있는 솔루션들이 소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