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프레딕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AI 기반 설비 예지보전 가디원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에 선보인 가디원 솔루션은 원프레딕트가 자체 개발한 AI 알고리즘과 물리적 지식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 내 핵심 설비의 상태를 진단하고 고장을 예측하는 디지털 트윈 솔루션이다. 가디원은 국내 산업AI업계 선두 솔루션으로서, 반도체, 배터리 등 다양한 첨단 제조 산업에 적용되어 공장 내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스토브리코리아(이하 스토브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용 로봇 및 MPS 툴 체인저, 전기·연료·유압 등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 ‘CombiTac’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스토브리가 선보인 산업용 로봇 ‘TX2 시리즈’는 외부 케이블이 없는 밀폐형 구조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스토브리 특허의 JCS 기어박스가 적용돼 다이나믹한 모션, 민첩성 및 경로 정밀도를 보여준다. 스토브리는 터치가 가능해 사람과 협업할 수 있는 협동 로봇 ‘TX2 Touch’도 공급하고 있다. 스토브리의 MPS(Multi Prehensile System) 툴 체인저는 로봇과 툴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시스템으로, 전자동이며 초고속인 자동 툴 교체에 사용된다. 이 시스템은 로봇에 툴을 고정시켜 압축공기, 물, 전기 신호, 서보 제어 및 고압력과 같은 에너지를 전달한다. 내장된 안전 기능은 갑작스런 분리를 방지하여 로봇 및 툴 측의 MPS가
민트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최근 기술 내재화가 이루어져 자체적 시스템으로 구축이 완성된 ‘플렉서블 피딩 솔루션’(Flexible Feeding Solution)을 시연을 통해 처음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민트로봇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플렉서블 피딩 솔루션(Flexible Feeding Solution)은 ‘로봇+머신비전+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정렬이 되어 있지 않은 비정형 물체를 포장 등의 목적으로 정렬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각종 반도체, 전자부품을 비롯한 소형 비정형 물체의 정렬 작업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인력의 수작업으로는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물체들도 정교한 작업을 통하여 빠른 핸들링이 가능하다. 민트로봇 관계자는 “자사의 강점인 IT 친화성을 바탕으로 누구나 사용하기 손쉬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비전문가들도 손쉽게 운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 외에도 민트로봇은 자체 개발한 Pal A 시리즈인 다관절
BNF테크놀로지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실시간 플랜트 운영 데이터 정보를 제공해주는 플랜트 전문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BNF테크놀로지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빅데이터 통합 관리 플랫폼 ‘HanPirsm'은 방대한 양의 실시간 및 과거 플랜트 운영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집, 저장, 분석하여 DCS의 왜곡 없는 데이터 정보를 제공해 주는 고성능 운전정보시스템이다. 또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 OPC UA/DA를 지원하며, 기존에 사용하던 특정 밴더사의 자동화 시스템(PLC, DCS, SCADA) 및 MES, ERP 등과 같은 상위 시스템과 폭넓게 통신하여 전 공정 실시간 현황과 설비 유지관리 및 품질에 대한 고차원적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BNF테크놀로지 관계자는 “HanPirsm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플랜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들이 목적에 맞는 정보를 적시에 활용할 수 있어 전략적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인아그룹 4개(인아오리엔탈모터·인아엠씨티·인아코포·인아텍) 계열사가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에 참가한다. 부스는 코엑스 1층 A홀에서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인아그룹은 ‘V-INA(Variety)’를 콘셉트로 하여 다양한 제품을 이용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전달할 계획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자동화 업계에 적용되는 △Stepping Motor △AC Geared Motor △Speed Control Motor △Actuator △FAN Motor 등 오리엔탈모터의 라인업을 소개한다. 또 주력 제품의 활용도 및 성능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역을 나눠 제품을 전시한다. 신규 제품인 AZD-KR 2D, CVD2B-KR, AZD28-KED, BLVD-KRD로 구성된 ‘NEW PRODUCT ZONE’과 인아오리엔탈모터의 AC, BLDC, STEP, LIMO, FAN을 전시하는 ‘동력/제어 ZONE’이 있다. 인아코포는 △인버터만으로 간단한 토크제한 및 서보락 기능이 가능한 GTR(NISSEI)의 ‘IPM 모터 시리즈’ △
한국페트라이트는 지난 1947년 창업 이후, 약 75년 동안 편안·안전·안심 ‘3安’의 사회 환경 실현을 기업이념으로 둔 기업으로 빛, 소리, 문자, 네트워크를 융합해 신호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는 토털 솔루션 공급 기업이다. 본사는 일본 오사카에 소재하고 있으며, 최첨단 R&D 센터, 일본과 인도네시아 2곳에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선두기업답게 전 세계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신호기기 부문 1위 기업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페트라이트 마케팅 파트 조연서 과장은 “단품만이 아닌 네트워크 솔루션 공급으로 고객의 스마트공장화를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Q.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한국페트라이트 솔루션이 주는 이점은. A. 고성능, 빠른 설치, 경제적 비용의 한국페트라이트 WD PRO 시리즈는 장비의 상태정보를 시스템으로 빠르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제품이다. 그리고 설치하는 데도 아주 간편하고 시간이 적게 드는 메리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유선 시스템의 1/10인 경제적인 비용으로 시스템 도입이 가능하다. 스마트 팩토리의 진입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비용 문제, 데이터 공용성, 시스템 확장성을 근본적으로 한국페트라이
아이브는 딥러닝 기반 검사 알고리즘으로 불량 검출을 자동화·무인화하고 생산과 불량 데이터의 축적 및 관리를 가능케 하여 스마트 팩토리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특히 고객사 제조 현장 상황에 따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장비를 맞춤형으로 공급하여 고객들이 실질적인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아이브 성민수 대표는 “사각지대 없는 불량검출 솔루션 제공으로 더 많은 고객이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아이브는 자체 개발한 딥러닝 검출 알고리즘을 하드웨어 장비에 탑재하여 제조업 고객사들의 불량 검출을 자동화하는 솔루션 공급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신경망 개발과 고도화, 비전 및 장비 제어 SW팀, 하드웨어 및 광학 설계팀, 라벨링팀과 현장 엔지니어링팀까지 모두 In-house로 운영하면서 토털솔루션 제공을 지향하고 있다. 향후 검사 자동화 뿐 아니라, 딥러닝 컴퓨터 비전으로 공정 데이터 관리, 이상 감지, 보안 등 많은 산업 현장의 문제 해결을 하는 것이 아이브 사업 비전이다. Q.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에는 딥러닝 기술에 대한 시장 입증과 주요 고객사 레퍼런스를
성문일렉트로닉스는 전자부품 스위치 제조와 제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 제안 영업을 하고 있다.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인 로터리 DIP 스위치와 미니 슬라이드 스위치는 Servo/Stepped Motor Driver 및 컨트롤러에서 전력, 정보 등을 제어하며, PC에서 여러 모션 컨트롤 제품들을 식별하고 구분해주는 역할 맡고 있다. 꾸준한 품질관리와 생산기술 향상 노력 덕분에 지난해에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며, 무역의날에 3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성문일렉트로닉스는 1995년에 창립한 올해 27년이 된 전자부품 스위치 제조 및 판매업체 이다. 주력 사업은 전자 제품의 메인 구성품인 회로기판 PCB 보드에 적용되는 전자부품 스위치로, 다양한 포지션으로 구분된 출력이 가능한 로터리 DIP 스위치, 슬림한 사이즈와 경쾌한 클릭감의 미니 슬라이드 스위치, 우수한 품질의 미니 푸시 버튼 스위치 등이 있다. Q. 지난해 사업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감사하게도 모두가 힘들었던 2021년에 우리는 좋은 성과를 거두며, 무역의날에 3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2022년 올해도 좋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 열심히 노력할
버넥트는 2016년에 설립됐으며, ‘가장 고객 중심적인 회사’를 목표로 산업현장의 문제를 XR기술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산업용 확장현실(XR) 기술 및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현재 100여 건이 넘는 프로젝트 진행 경험을 비롯해 107건의 지식재산권과 36건의 수상 실적, 나이스 기술신용평가에서 ‘매우 우수’에 해당하는 TI-2등급의 기술신용평가 인증을 받는 등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버넥트 하태진 대표는 “올해는 글로벌 넘버원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버넥트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연구센터와 국내 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XR 핵심 원천 기술과 XR 개발 플랫폼인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자체 확보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 최적화된 산업용 XR 솔루션과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버넥트 제품들은 실제로 존재하는 산업 현장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복잡하고 위험한 업무들을 쉽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LG화학, 삼성전자 등 39개 대기업 및 계열사와 한국전력공사, 한국공항공사 등 27개의 공기업에 공급되고 있다. Q. 최근 제조 현장의 이슈는 무엇이고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1969년 미국 일리노이즈주 시카고에 본사를 두고 비즈니스를 시작한 이래 현재 전 세계 100여개 지사와 9,000여명의 임직원을 둔 다국적 기업이다. 국내 및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엔드 투 엔드 솔루션 프로바이더이기도 하다. 2021년은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한국지사가 설립된 지 만 20년이 되는 해였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박현 매니저는 “보유한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자동인식 분야 글로벌 리더로서 바코드 프린터, 바코드 스캐너, 엔터프라이즈 모바일 컴퓨터, RFID 등 다양한 제품 및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효과적인 M&A를 통해 인공지능, 머신러닝, 로보틱스 등 미래의 첨단 기술 활용한 솔루션 제공 및 사업의 다각화를 가속함으로써 끊임없이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산업용 고정식 스캐너 및 머신비전 솔루션을 추가함으로써 기존 스캐너 비즈니스에 대한 시너지 향상과 신규 시장 확보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동우지씨에스는 고객에게 최상위 ‘Global Control Solution’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됐으며 반도체, 제약, 식음료, 2차 배터리, 자동차, 제철, 환경 등의 산업 분야에서 많은 IoT 구축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최적화된 자동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동우지씨에스 최민우 대표는 “시스템 통합 기술의 고도화로 현장 엔지니어링을 최소화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Q.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동우지씨에스는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우리가 그동안 진행해 왔던 수많은 레퍼런스들을 통해 증명해 왔듯이 여러 가지의 산업군에서 다양한 시스템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는 현재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많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SI 업계를 리딩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Q. 지난해 사업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도에는 반도체 및 제약 산업군에서 크고 작은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향후 성장성을 확실히 자리매김했다고 본다. 2022년에는 2차 배터리 제조 분야와 환경 고도화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현재 많은
전기·전자 및 오토메이션 전문기업 와고코리아(이하 와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와고는 이번 전시회에서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 파워 서플라이, 레버형 단자대, 컨트롤러 PFC 시리즈, I/O 모듈 시스템 등을 전시한다. 와고의 이더넷 스위치는 이더넷 네트워크 인프라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뛰어난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며, IEEE 802.3, IEEE 802.3u 및 IEEE 802.3ab와 호환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앞선 보안 기능, 통합 모니터링 기능, 다양한 작동 모드 기능 등이 있으며, 모듈식 및 확장이 가능하다. 와고의 파워 서플라이 ‘Pro 2’는 최대 96%의 효율성을 지녔으며,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디지털 시스템 구축에 용이하다. 최대 600%의 임시 출력 전류 덕분에 소형 회로 차단기의 빠르고 안정적인 트리핑이 가능하며, 5초 동안 최대 150%의 출력 전류 덕분에 빠른 충전 및 빠른 접점 전환이 가능하다. 와고의 ‘PFC200 컨트롤러’는 산업, 프로세스 및 빌딩 자동화 분야의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
페트라이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해 시그널 타워, 네트워크 시스템 등을 전시한다. 페트라이트가 전시하는 시그널 타워 수신기 ‘WDR-LE-Z2-PRO(이하 WD PRO)’는 무선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일부로, 시그널 타워의 LED 유닛 상태를 무선으로 실시간 수집한다. WD PRO는 이전 수신기의 향상된 버전으로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작업 현장의 호스트 시스템 및 기타 장치와 쉽게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배선 공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WD PRO는 수신기와 연결된 송신기 간의 무선 연결 품질을 추적할 수 있다. 10분 간격으로 최대 72시간의 진단 결과를 수집할 수 있으며, 5단계의 진단 결과가 있어 사용자가 설치 환경 수정이 필요한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설정 브라우저를 통해 컴퓨터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
인더스트리얼 메타버스 전문기업 익스트리플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해 산업용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뷰(MetaVu)’를 선보인다. ‘메타뷰-리모트’는 확장현실(XR) 기반의 양방향 영상통신을 이용해 각종 산업현장의 현장 작업자와 원격 전문가 간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을 도와주는 서비스다. 메타뷰-리모트의 원격지와 현장간의 영상 화면 공유 기능과 AR드로잉, AR화살표 지시, AR이미지 등을 활용한 AR 원격지원, 전문가와의 음성·영상 통화 및 이미지·문서 공유, 문자채팅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들은 열악한 산업현장에서 화상통화만으로는 역부족이었던 구체적이고,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각 현장마다 출장을 가지 않더라도 현장 작업자와의 실시간 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현장 작업자 역시 문제상황 발생 시 관리자의 출장 없이도 장비의 가동 및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익스트리플은 5G, IoT, 확장현실(XR : AR, VR, MR), 디지털 트윈 등 다양한 ICT 기술과 기존 산업의 융합을 통해 산업 현장의 다양
소음 진동 계측 및 원격 모니터링 전문기업 에스엠인스트루먼트(이하 에스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에스엠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AI 기반의 기계진단 학습 프로그램 등이다.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BATCAM 2.0’은 작고 가벼운 제품으로, 초음파 대역의 신호까지 측정해 가스 누설과 전기 아크를 검출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112개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측정 감도를 높였으며, 최대 48kHz의 초음파 대역의 신호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BSR(Buzz, Squeak, Rattle) 노이즈를 포함한 고주파 소음 측정에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BATCAM 2.0은 가스 공기 누설, 전기 설비 이상, 부분 방전 탐지, BSR 소음 측정, 기타 산업현장 내 소음 평가 등에 활용된다. 주로 오일·화학, 군사·항공·우주, 전자, 가스, 플랜트, 발전소·기계, 전력 설비 등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에스엠은 소음 진동 계측 및 원격 모니터링 전문기업으로,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AI 기반의 기계진단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