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제조 디지털 전환을 위한 중소·중견 기업의 재직자 실무과정이 확대 운영된다. 청주대학교(총장 김윤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역의 중소·중견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DX 기반 머신비전 실무과정’을 운영한다. K-하이테크 플랫폼 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머신비전 실무과정은 스마트제조 핵심 기술인 머신비전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개념에 대해 집중 교육한다. 이를 위해 청주대학교 미래창조관의 K-하이테크 교육장에는 25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강의실과 머신비전 하드웨어 실습 장비 1식, 45.7㎡의 실습실을 갖추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 테스트용 SWIR(Short Wavelength InfraRed) 및 라인 비전 시스템은 실리콘 검사, 레이저 빔 프로파일링, 화학 및 플라스틱 감지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 같은 머신비전은 생산현장에서 카메라와 렌즈로 촬영해 얻은 이미지를 소프트웨어로 분석해 불량을 찾아내는 교육훈련으로 근로자들의 작업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불량요인을 분석, 생산품질을 높일 수 있다. 주요 교육 내용은 불량의 검출, 크기 측정, 생산 제품의 인식 및 추적 등으로 머신비전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해도가 낮으면 효율적으
은밀한 유해표현, 설득력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AI의 잠재 위험성 탐지 에임인텔리전스가 연세대학교, KIST, 서울대학교와 공동으로 개발한 AI 안전성 진단 체계 ‘ELITE(Enhanced Language-Image Toxicity Evaluation)’가 머신러닝 학술대회인 'ICML 2025'에 공식 논문으로 채택됐다. 이는 국내 연구진이 글로벌 AI 안전성 연구 흐름을 선도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ICML(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회 중 하나로, 매년 전 세계 연구자들이 최신 기술을 발표하고 교류하는 자리다. 올해로 42회를 맞이한 이 학회에 국내 연구팀의 논문이 이름을 올린 것은, 한국 기술력의 실질적 성과가 국제적으로 공론화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ELITE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입력받는 비전언어모델(VLM)의 응답을 ‘정밀 진단’하는 평가 체계다. 단순히 노골적인 표현만을 걸러내는 기존 방식에서 나아가, 겉보기에 문제가 없는 응답 속에서도 은밀한 유해 표현, 설득력, 구체성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AI의 잠재 위험성을 탐지한다.
비츠로셀이 미국의 수처리 기업 자일럼(Xylem)과 스마트 계량기용 리튬전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총 1802억 원으로, 이는 비츠로셀의 최근 연간 매출액 대비 약 86%에 달하는 수준이다. 계약 기간은 2026년 1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 총 3년간이다. 비츠로셀은 이번 계약이 지난 2022년에 체결된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의 공급 계약 대비 약 28.1% 증가한 수치로, 양사 간의 신뢰와 장기적인 협력 관계가 더욱 강화됐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계약은 스마트 계량기 최대 시장인 북미 지역뿐만 아니라 최근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유럽 및 중동 지역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장승국 비츠로셀 대표이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비츠로셀은 전 세계 스마트 계량기용 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 1위의 입지를 한층 더 확고히 하게 됐다”며 “양사는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함은 물론 에너지 효율성 향상과 지속 가능성 강화라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전시회서 치타, 가젤, 세렝게티 등 세 가지 핵심 솔루션 소개 예정 에이프리카가 오는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AI EXPO SEOUL 2025’에 참가해 폐쇄망 환경에서도 구축 가능한 Private AI Agent 솔루션을 공개한다. 에이프리카는 이번 전시를 통해 산업 맞춤형 RAG 프레임워크와 운영 자동화 체계를 결합한 프라이빗 AI 통합 플랫폼을 선보인다. 'Build Your Own Private AI Agent'라는 슬로건 아래, 외부 네트워크가 차단된 기업 환경에서도 신속하게 자체 AI 에이전트를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에이프리카는 이번 전시에서 치타(Cheetah), 가젤(Gazelle), 세렝게티(Serengeti) 등 세 가지 핵심 솔루션을 소개한다. 치타는 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개발, 배포, 인프라 운영까지 AI 개발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MLOps·LLMOps 통합 플랫폼이다.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 안정성과 확장성을 보장하며, 기업이 원하는 형태의 AI 워크로드를 빠르게 구축하고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가젤 RAG는 건설, 금융, 공공 등 산업별 요구에 맞춘 에이전틱 RAG 프레임워크다. 프라이빗 환
산업과 기술의 경계를 허무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실무형 테크 컨퍼런스 ‘서울메타위크 2025(Seoul Meta Week, 이하 SMW 2025)’가 오는 6월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5회를 맞는 SMW는 AI와 Web3 등 첨단 기술을 산업 현장 중심의 전략 및 비즈니스 성과로 연결하는 B2B 전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행사의 핵심인 메인 컨퍼런스 ‘SMW2025: Metacon(이하 메타콘2025)’은 6월 26일부터 27일까지 양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메타콘2025에는 국내외 대기업, 스타트업,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AI 및 Web3 기술의 산업 적용 사례, 전략적 활용법, 정책 및 인프라 발전 방향 등을 공유한다. 특히 이번 행사는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산업계 전환기의 흐름 속에서 엔터프라이즈와 스타트업 모두가 활용 가능한 실질적 AI 도입 전략, 성공 사례, 글로벌 기술 트렌드 등을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또한 Web3 트랙에서는 Web3 기술이 AI와 결합해 어떻게 비즈니스 혁신을 이끌고 있는지를 다루며, 특히 글로벌 무대에서의 성공적인 AI-Web3 융합 사례들이 심도 있게
맞춤형 에이전트 구축, 멀티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등 하이브리드 기술 생태계 공유 IBM이 연례 기술 컨퍼런스 ‘THINK 2025’를 통해 기업용 AI 도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번 발표의 핵심은 AI가 단순한 챗봇을 넘어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에이전트’로 진화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 ‘왓슨x 오케스트레이트’의 강화다. IBM은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 다양한 IT 환경,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AI 기반 업무 자동화 도구를 중심으로 IBM은 맞춤형 에이전트 구축, 멀티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가시성 확보 및 거버넌스 관리까지 포괄하는 하이브리드 기술 생태계를 공개했다. 왓슨x 오케스트레이트는 비개발자도 손쉽게 업무용 AI 에이전트를 생성하도록 직관적인 노코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동시에 숙련 개발자는 프로코드 환경에서 복잡한 API 연동이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IBM은 이 같은 유연성을 통해 기업 내 다양한 부서와 역할의 사용자가 각자의 요구에 맞는 AI 에이전트를 빠르게 생성하고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왓슨x는 인사, 영업, 구매 등 핵심 비즈니스 분야에 즉시 적용 가능한 사전
자체 개발한 하이브리드 추론 기능으로 처리 효율 극대화해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모델(LLM) 신제품군 ‘큐원3(Qwen3)’를 공개하며 생성형 AI 경쟁에서 다시 한 번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번 시리즈는 모바일부터 자율주행까지 다양한 AI 활용 환경을 겨냥해 설계됐으며, 사고 기반 하이브리드 추론 등 새로운 구조로 성능과 효율성 모두를 잡았다는 평가다. 큐원3는 총 6종의 밀집 모델(0.6B, 1.7B, 4B, 8B, 14B, 32B)과 2종의 전문가 혼합(MoE) 모델(30B 중 3B 활성, 235B 중 22B 활성)로 구성된다. 모든 모델은 깃허브, 허깅페이스, 모델스코프를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 가능하며, 곧 API 형태로도 서비스될 예정이다. 큐원3의 가장 큰 특징은 알리바바가 자체 개발한 하이브리드 추론 기능이다. 복잡한 논리 추론이나 수학, 코딩과 같은 다단계 작업에는 사고 기반 추론 모드를, 빠른 응답이 필요한 일반 대화에는 비사고 기반 추론 모드를 자동 전환해 처리 효율을 극대화한다. 개발자는 API 상에서 최대 3만8000개의 토큰까지 사고 지속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성능과 리소스의 균형을 자유롭게 맞출 수 있다. 큐
에이슬립이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인영·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 연구팀과 함께 여럿이 함께 수면하는 환경에서도 각 개인의 숨소리를 분리해 개인별 수면 단계를 정확히 구분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의 질과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표준검사다. 하지만 여러 센서를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 높은 비용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반복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웨어러블 기기와 수면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주목받고 있지만 그 정확도는 아직 수면다원검사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수면 분석 기술들은 대부분 혼자 수면하는 환경을 기준으로 설계돼있어 실제처럼 두 명 이상 수면하는 경우에는 숨소리, 뒤척임, 코골이 등 타인의 소음으로 인해 개인별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숨소리만으로 수면 단계(▲깨어있음 ▲렘(REM)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해 공동 수면 상황에서도 개인마다의 수면 단계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성인 44쌍(총 88명)이 한 침대에서 동시에 취침하도록
GPU 리소스 자동 스케줄링, 초단위 배포 환경 구성, 고병렬 추론 테스트 등 핵심 기능 공개 예정 케이투스(KAYTUS)가 오는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AI EXPO KOREA 2025’에 참가해 자사의 AI DevOps 소프트웨어 ‘MotusAI’와 통합형 AI DevOps 인프라 솔루션을 선보인다. 케이투스는 이번 전시를 통해 복잡한 AI 인프라 운영 환경에서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와 빠른 모델 배포를 가능케 하는 턴키 기반의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생성형 AI 기술이 학습 단계를 넘어 실시간 추론과 대규모 배포로 확산되는 가운데, 기업들은 GPU 활용률 저조, 데이터 병목 현상, 느린 배포 속도 등 AI 운영상의 다양한 장애물에 직면하고 있다. 케이투스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DevOps 플랫폼 ‘MotusAI’를 중심으로 한 통합 클러스터 시스템을 통해 모델 개발부터 배포, 운영까지 전 과정을 안정적이고 간결하게 연결하는 인프라 해법을 제시한다. 전시 부스에서는 MotusAI 기반 클러스터를 활용해 한 명의 운영자가 딥러닝 모델과 추론 서비스를 5분 이내에 배포하는 실시간 데모가 진행된다.
최태원 회장 "고객 신뢰는 그룹 존재 이유...재발 방지 마련에 최선 다할 것" 최근 발생한 SK텔레콤의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해 전국적으로 고객 불편과 혼란이 이어진 가운데, SK그룹이 국민과 고객을 향해 공식 사과의 뜻을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7일인 오늘 오전 서울 중구 을지로 SK텔레콤 사옥에서 열린 'SKT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데일리 브리핑에 참석해 사과문을 발표했다. 최태원 회장은 그룹 차원의 보안체계 전면 점검과 함께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보보호혁신위원회’를 구성해 근본적 재발 방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고객과 국민 여러분께 불편과 불안을 초래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히며, 특히 사고 초기의 미흡한 소통과 대응에 대해 경영진 차원의 깊은 반성과 책임 의식을 드러냈다. SK그룹은 사고 당시 매장을 찾거나 해외 출국을 앞둔 고객이 겪은 불편을 언급하며, “세심한 고객 대응이 부족했던 점은 경영진 모두가 뼈아프게 반성할 부분”이라고 인정했다. 이어 “언론과 국회, 정부기관의 지적 역시 겸허히 수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SK그룹 차원의 후속 조치도 공개됐
조용진 파네시아 부사장, 행사에서 CXL 3.x 기반의 인프라 구축 사례와 응용 방향 제시 파네시아가 ‘CXL DevCon 2025’에서 고출력 CXL 3.x 스위치 기반 프레임워크를 선보이며 글로벌 기술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파네시아는 올해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해당 행사에 전시 기업으로 참여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서 4월 29일부터 이틀간 열린 이번 행사는 CXL(Compute Express Link) 표준을 주도하는 CXL 컨소시엄이 주관하는 글로벌 컨퍼런스로, 케이던스, 텔레다인 르크로이 등 주요 회원사가 대거 참여해 차세대 고속 인터커넥트 기술을 선보였다. 파네시아가 이번에 선보인 고출력 CXL 3.x 스위치는 CPU, GPU, 메모리 등 다양한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주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한다. 고유의 저지연 IP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된 해당 스위치는 멀티 레벨 스위칭, 포트 기반 라우팅을 모두 지원하며, 장치 연결 수를 극대화함으로써 평균 홉 수를 줄이고 시스템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기술은 특히 고성능 컴퓨팅(HPC)과 대규모 AI 응용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저비용 고성능 인프라 구현을
탑머티리얼이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 위치한 배터리 및 반도체 혁신 기술 선도기업 포지나노에 투자했다고 7일 밝혔다. 탑머티리얼의 이번 투자는 포지나노가 신규로 유치한 4000만 달러(USD) 규모의 투자금 중 일부이며, 이로써 포지나노의 총 누적 투자금은 약 1억4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포지나노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라는 기술을 보유한 회사다. 이는 양극 활물질 또는 실리콘 음극 활물질에 원자 수준의 표면 코팅을 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수명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이차전지 외에도 반도체 웨이퍼, 제약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앞서 포지나노는 GM(제너럴 모터스)의 투자회사인 GM벤처스와 폭스바겐 등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으며,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확정해 노스케롤라이나에 3GWh 규모의 배터리셀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탑머티리얼은 양사간의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히 포지나노의 ALD 기술을 현재 탑머티리얼이 개발중인 고전압 미드 니켈계와 망간계 양극재에 적용함으로써 성능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킬 계획이다. 탑머티리얼은 인산철
시놀로지(Synology)는 고성능 스토리지 솔루션인 새로운 디스크스테이션(DiskStation) 모델 DS1825+ 및 DS1525+의 출시를 7일 발표했다. Owen Liao 시놀로지 제품 매니저는 “DS1825+와 DS1525+는 데이터 관리와 협업을 위한 강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며 “데이터 관리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이 두 제품은 비즈니스급 성능, 확장성, 신뢰성을 모두 갖춘 솔루션으로 완벽하게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DS1525+와 DS1825+는 요구가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듀얼 2.5GbE 포트를 기본 탑재했다. DS1525+는 E10G22-T1-Mini 모듈을 통해 10GbE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DS1825+는 PCIe 3.0 슬롯을 통해 10GBASE-T 또는 10/25GbE SFP+/SFP28 네트워크 카드를 지원한다. 두 모델 모두 M.2 슬롯 2개를 갖추고 있어 올플래시 캐시 또는 스토리지 풀 구성이 가능하다. 성능 테스트 결과 DS1825+는 최대 2239 MB/s 읽기 및 1573 MB/s 쓰기의 SMB 순차 처리량을 기록했으며, DS1525+는 최대 1181 MB/s 읽기 및 11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업무 협업 설루션 ‘팀즈’와 자사 통화망을 연동한 ‘마이크로소프트 팀즈폰’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는 실시간 채팅, 음성·영상 통화, 온라인 회의, 파일 공동 작업 등 광범위한 업무 협업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365를 비롯해 다양한 파트너 앱과 연동된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폰은 KT와 마이크로소프트 간 전략적 파트너십 기반으로 출시되는 AICT 서비스로 기존 기업의 사무용 통화 서비스는 사설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나 데스크폰 등 별도 통신 장비와 전용 단말이 필요했다. 기업은 마이크로소프트 팀즈폰 도입으로 통신 인프라 구축 없이도 사무용 전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관리·유지보수 등 최소화로 효율적인 IT 운영이 가능하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폰을 도입한 기업의 임직원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환경과 PC에서 팀즈 프로그램을 통해 전화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앱을 통해 손쉽게 사무용 번호를 할당하고 설정할 수 있어 임직원의 개인 휴대전화번호를 노출하지 않고 업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일정, 콘텐츠 생성, 회의 분석과 같은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는 AI 전용 보안 솔루션 ‘AI 방화벽(Firewall for AI)’을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무단 쿼리, 적대적 입력, 대규모 데이터 스크래핑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AI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한다.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산하면서 기업들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에이전틱 AI, 기타 최신 AI 툴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적대적 공격, 모델 추출, API 악용, 대규모 데이터 스크래핑 등 기존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으로 방어하기 어려운 새로운 형태의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아카마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PI LLM 디스커버리(API LLM Discovery)’ 등 새롭게 향상된 기능과 결합한 AI 방화벽을 통해 기업들이 AI 기술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루페시 초크시 아카마이 애플리케이션 보안 담당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기존 보안 시스템만으로는 AI를 겨냥한 새로운 형태의 공격을 차단하기 어렵다. AI 시대를 맞아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AI를 적극 도입하려는 시점에서 이제 AI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